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골유도재생술을 동반한 임플란트의 생존율에 대한 연구

        정석현,구영,김준환,남궁다정,김윤정,정재은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2018 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지 Vol.22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of dental implants installed with guided bone regeneration (GBR), and also elucidate the factors related with the survival of dental implants. Material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148 dental implants installed in 76 patients by one specialist (Y.K.) at the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and Implant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2001 to 2010. The cumulative survival rates were obtained by the Kaplan-Meier method. The correlations between various factors and dental implant survival were analyzed by using the log-rank test and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Results: Among 148 dental implants installed in 76 patients, 8 implants in 7 patients were lost and the cumulative survival rates up to 5-years and 10-years were 97% and 89%, respectively. Gender, smoking status and location of implan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of implants (p < 0.05). Age, history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of implants (p > 0.05). Conclusion: The dental implants installed with guided bone regeneration is predictable techniqu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umulative survival rate over 10 years. Ⅰ. 서론 : 치과용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아를 수복할 때 가장 먼저 고려되는 술식 중 하나이다. 1969년 Bränemark에의해 처음 골융합(osseointegration)의 개념이 소개된 이후 지난 수십 년간 임플란트 관련 술식에는 큰 진전이 있었다1. 최근의 임플란트의 성공률이 과거에 비해 비약적으로 높아지긴 했지만 여전히임플란트를 이용한 치료에서 여러 문제점들이 발견되고 실패한다. 임플란트의 실패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실패의 원인이 되는 인자들을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임플란트가 장기간 안정적이고 양호한 예후를 가지기 위해서는 임플란트 주위에 충분히 많은 골량 뿐아니라 양호한 골질을 보이는 골의 확보가 필요하다. 심한 치주질환, 종양으로 인한 조직절제, 외상에 의한 치아의 상실 등의 경우 치조골이 과도하게 위축되며, 이 경우에는 임플란트 식립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여러 종류의 치조골 증대술이 필요하다2, 3. 임플란트를 식립하기에 충분하지 못한 수직적 혹은 수평적 잔존 치조제를 가지는 경우에는 임플란트의 고정체가 완전히 골조직 속에 식립되지 않게 되며, 주위연조직의 퇴축이나 적절한 구강관리가 어렵게 되어 임플란트 주위의 감염의 발생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Nyman 등4은 치주 치료 시에 결손부에 차폐막을 이용한 조직유도재생술(Guided tissue regeneration) 을 도입하였다. 6-8주간 창상으로부터 빠른 성장을 보이는 상피와 결합조직의 이동을 차단하면, 상대적으로 성장속도가 느린, 술자가 원하는 조직이 치아주위 공간으로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를 응용하여 임플란트 치료에 있어서 치조제 증대를 위한 목적으로 골유도재생술(Gudied bone regeneration) 이 도입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5. 골유도재생술은 특정 조직을 배제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조직유도재생술과 유사하나, 단순 골조직만의 재생을 원한다는 점에서 이론적으로 더 간단하다. 국소적인 골 결손부위의 증대를 위해 임플란트 식립 전이나 식립 과정에서 함께 행할 수 있는 여러 방법들이 소개되었으나, 이러한 술식들 중 골유도재생술이 노출된 임플란트 나사산 부위의 골을 재생하기 위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골유도재생술은 초기의 단순한 골 이식술에서 더욱 발전하여 흡수성 차폐막이나 비흡수성 차폐막을 이용한 성공적인 결과가 보고되었다6. 골유도재생술은 임플란트식립 시에 수평적 골결손부의 골증대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7-11, 임플란트 식립 후 열개나 천공이 보이는 경우12-14, 그리고 심한 치주질환 등으로 인하여 발치와가 매우 크거나 비전형적인 창상치유를 보이는 경우에서도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15-17. 이와 같이 많은 연구들이 골유도재생술에 대해 양호한 결과들을 보여주고 있지만, 골유도재생술을 동반한 임플란트의 누적 생존율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골유도재생술과 함께 시술된 임플란트의 장기적 누적 생존율을 조사하고 환자의 성별, 나이, 당뇨 또는 고혈압 병력 유무, 흡연, 임플란트의 직경, 고정체의 길이, 구강 내의 식립 위치, 골이식재 종류, 차폐막 종류 등이 임플란트의 생존율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향후 임플란트 치료 시 예후판정에 있어서 기반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Ⅴ. 결론 : 본 연구에서는 골유도재생술과 함께 식립된 치과용 임플란트의 장기적인 누적 생존율을 조사하고, 임플란트의 누적 생존율에 영향을 ...

      • KCI등재후보

        즉시 식립 임플란트의 장기적 누적생존율에 관한 후향적 연구

        김세진,구영,김준환,남궁다정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2018 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지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11-year cumulative survival rate on immediate implants placed between 2006 and 2016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by one periodontist (Y. K). With an aggregate 185 implants were calculated 11-year cumulative survival rate with Life table method and assessed the effect of predictor variables with Kaplan-Meier analysis and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After a mean follow-up time 4.67 years, 16 implants failed and 169 survived among 185 implants. The overall cumulative survival rates at 5 and 11 years were 90% and 90%, respectively.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was detected between the implant survival rates and the possible risk factors: gender, age, location, history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smoking, implant type, fixture diameter and length and bone graft.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retrospective study, immediate implant placement is a reliable and predictable restoration procedure to replace missing teeth. 임플란트 치료는 중·장기적으로 높은 생존율과 성공율을 보이기 때문에 다양한 원인으로인한 치아상실을 회복시켜주는 예지성이 높은 치료방법으로 간주되고 있다1. 임플란트의발전과 함께 오랜 기간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던 것이 바로 임플란트의 식립시기이다. 임플란트 치료 도입의 초기에는 발치 후 6-8개월간 기다렸다가 임플란트 매식체를 식립하는Brånemark식의 지연 식립 방식(late placement technique)이 주로 행해졌는데2, 이는 골융합(osseointegration)이라는 개념을 토대로한 근대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발전이 주로 오랫동안 무치악으로 지내 치유가 완료된 완전 무치악 환자의 저작능력 회복을 목적으로 발달했기 때문이다3. 그러나 이후 부분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치료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단일 치아 결손의 임플란트 대체가 많아지면서 기존의 식립 방식에서 파생되는 문제점들이 크게 대두 되었다. 첫째로, 발치 후 치유기간동안 발치와에서 연조직 변화를 동반한 3차원적인 치조골 흡수가 일어난다는 점이다. 두번째로, 기존의방식으로는 발치 후 치유기간만큼 치료기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며4, 세번째로, 수술 횟수(surgical intervention)가 증가하는 만큼 경제적, 시간적 손실과 함께 감염의 위험도 증가할 수 있다는 점이다5. 1978년 Schulte 등6에 의해 발치 후 바로 발치와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즉시 식립 임플란트’라는 술식이 처음 소개된 이래로, Chen 등7, Quirynen 등8 및 Chen과 Buser9에 의해 즉시 식립 임플란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임플란트의 식립 시점이 치과의료계에서 본격적으로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1993년 Wilson과 Weber10가 임플란트의 식립 시점을 즉시(immediate), 최근(recent), 지연(delayed), 만기(mature)라는 용어를 사용해 분류한 것을 계기로 다양한 정의들이 등장하였는데, Hämmerle 등11은2004년 컨센서스(consensus statement)를 발표해 각 단계의 명확한 정의를 내리며 네 단계(Type 1-4)로분류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 분류 시스템은2 008년 ITI (International Team for Implantology)에서 Chen 과 Buser12에 의해 재정비되어 즉시 식립(immediate, 발치 당일에 임플란트 식립), 조기(early, 4-8주 후; 연조직 치유 후), 조기(early, 12-16주 후; 부분적 골조직 치유 단계), 후기(late, 6개월 후; 완전한 골조직 치유 후 식립)와 같이 정의 되었으며, 이후 현재까지 공통된 기준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는 치료의 안정성과 성공률을 기본으로 하면서 심미성과 간편함 그리고 신속성에 대한 요구가 함께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즉시 식립 방식의 임플란트 시술에 대한 수요는 점점 증대될 것이라고 예측되며, 임플란트 치료 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임플란트 식립 시점은더욱 주된 고려 사항 중 하나가 될 것이다. 최근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즉시 식립 방식의 임플란트 시술에대한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장기간의 관찰은 아직 적으며 특히 국내에서 시행된 즉시 식립 임플란트 시술의 경우 관련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번 임상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즉시 식립방식으로 시술된 임플란트의 장기적 누적생존율을 살펴보고, 생존율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여러 위험 요소들을 분석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결론 : 이 연구는 2006년부터 2016년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임플란트 진료센터에서 한 명...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