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8년 촛불 시위와 10대 여성의 정치적 주체성 : ‘촛불소녀’를 중심으로

        나효은(HyoEun Na) 한국NGO학회 2020 NGO연구 Vol.15 No.3

        2008년 촛불 시위에는 다양한 여성들이 참여했고 여성 주체의 역할이 두드러졌으며, 10대 여성들의 역할이 특히 부각되었다. 10대 여성들이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의 목소리를 가장 먼저 광장으로 끌고 나와 초기에 시위를 대규모로 확산하는 데 도화선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위에 나선 10대 여성들은 ‘촛불소녀’로 명명되면서 시위 참여자들 사이에 하나의 마스코트로서 대상화되고 소비되었던 측면이 있다. 첫째, 촛불소녀 캐릭터의 순수함과 귀여움을 강조한 마스코팅은 집회 홍보수단으로 효과적으로 이용되었다. 둘째, 촛불소녀 이미지와 관련 텍스트에는 “지켜주지 못해 미안하다”는 논리 등 여성·청소년·아동 보호주의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 이것은 여성들을 시위의 대상이자 보조적 존재로 보는 배제와 차별의 고정관념이 반영된 것으로 성인 남성들을 시위에 동원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셋째, 촛불소녀 이미지에는 ‘학생으로서의 규범을 준수하면서도 순수한 열정으로 거리로 나온 착한 시위자’라는 메시지가 있었고, 이것은 촛불 시위의 ‘정치적 순수성’을 강조하고 정당화하는 데 기여했다. 이처럼 2008년 촛불 시위에 10대 여성들이 활발하게 참여했으나, 그들은 독자적인 정치 주체라기보다는 대상으로 인식되었던 측면이 있다. 그러나 촛불소녀의 등장은 한국 사회에서 청소년 여성 정치 주체 등장을 알리는 신호탄이 되었다. 그리고 이 세대의 움직임은 이후 청소년이라는 측면에서는 청소년 인권운동으로, 여성이라는 측면에서는 뉴 페미니즘 활동으로 계승되기도 했다. In 2008, various women participated in candlelight protests and the role of female subjects was prominent, but the role of teenage women was especially highlighted. This is because teenage women were the first to draw the voice of opposition to US beef imports to the square and act as a fuse to spread the protests in the early days. However, the teenage women who were in the demonstration were named as candlelight girls and there was a aspect that was objectified and consumed as a mascot among the protesters. First, mascoting emphasizing the purity and cuteness of the candlelight girl character was effectively used as a means of promoting the rally. Second, the candlelight girl image and related texts strongly reflect the protectionism of women, youth, and children, such as the logic of I am sorry that I can not keep it . This reflects the stereotypes of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that women see as objects and auxiliary beings of demonstrations, and was used as a means of mobilizing adult men to protest. Third, there was a message that the image of candlelight girl was a good protester who came to the streets with pure passion while keeping the norm as a student , which contributed to emphasizing and justifying the political purity of candlelight demonstrations. As such, teenage women actively participated in candlelight protests in 2008, but they were recognized as objects rather than independent political sub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