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경기육괴 북서부 영흥도-선재도-대부도에 분포하는 변성퇴적암 내 쇄설성 저어콘의 SHRIMP U-Pb 연대

        나준석(Junseok Na),김윤섭(Yoonsup Kim),조문섭(Moonsup Cho),이기욱(Keewook Yi) 한국암석학회 2012 암석학회지 Vol.21 No.1

        경기육괴의 북서부에 위치한 영흥도-선재도-대부도는 지구조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지질 및 지질연대 자료가 거의 없는 지역이다. 우리는 이 지역에 산출하는 변성퇴적암의 암상과 쇄설성 저어콘의 U-Pb 연대를 밝히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지역의 변성퇴적암은 대부분 규암-변성사암 및 규암과 편암의 호층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규암 역을 포함하는 석회질 역질 사암, 석회질 편암 그리고 변성이질암이 소규모로 산출한다. 변성이질암에는 석류석 반상변정이 두드러지게 산출하며, 변성이질암 내의 석영맥에서는 남정석 또는 홍주석이 백운모와 함께 산출한다. 두개의 변성사암 시료에서 분석한 쇄설성 저어콘들은 신시생대(~2.5 Ga), 고원생대(~2.0-1.5 Ga), 신원생대(~1.1-0.7 Ga), 초기 고생대(~560-400Ma) 연대가 우세하게 분포하며, 가장 젊은 연령의 군집은 ~420 Ma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분석된 변성사암이 실루리아기 이후, 아마도 데본기에 퇴적되었음을 시사하며, 태안층에서 보고된 쇄설성 저어콘의 연령분포와 유사하다. 이와 함께 임진강대 변성퇴적암에서도 유사한 쇄설성 저어콘의 연령분포와 바로비안형 변성상이 보고되었다. 따라서, 경기육괴 서부에 산출하는 태안층은 임진강대의 서남 연장부에 해당될 것으로 판단된다. We investigated the various lithologies and zircon U-Pb ages of metasedimentary rocks from the Yeongheung-Seonjae-Daebu Islands, western Gyeonggi Massif, whose geologic and geochronologic features are poorly constrained in spite of their significance for tectonic interpretation. Major lithology consists of quartzites or meta-sandstones commonly alternating with semi-pelitic schists, together with lesser amounts of calcareous sandstones with matrix-supported quartzite clasts, calcareous schists, and pelitic schists. Pelitic schists uncommonly contain large porphyroblasts of garnet as well as quartz veins with large crystals of muscovite and andalusite or kyanite. SHRIMP U-Pb ages of detrital zircons from two analyzed metasandstones define four age populations: Neoarchean (~2.5 Ga), Paleoproterozoic (~2.0-1.5 Ga), Neoproterozoic (~1.1-0.7 Ga), and Early Paleozoic (~560-400 Ma). The youngest zircon ages are clustered at ~420 Ma.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position of meta-sandstones took place after the Silurian, possibly during the Devonian, and are analogous to those of the Taean Formation reported from the western part of the Gyeonggi Massif. Moreover, The age distribution patterns of detrital zircons and the Barrovian-type metamorphic facies of pelitic schists are similar to those reported from the Imjingang belt, suggesting that the Taean Formation likely corresponds to southwestward extension of the Imjingang Be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