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n Accounting Change , Performance Evaluation , and Forecast Accuracy : The Case of Change in Foreign Currency Translation Accounting in 1981

        나인철 한양대학교 경제연구소 1988 경제연구 Vol.9 No.1

        This paper examined the initial impacts of SFAS No. 52 on performance evaluation and on forecast accuracy for firms which adopted the statement for financial reporting on or before March 15, 1982. Capitalizing on the fact that these firms disclosed the earnings effect of SFAS No. 52 in compliance with the FASB's requirement, the disclosed effect was used as a vehicle to test impacts of a change in FCT accounting on performance ranking and forecast accuracy during the time when the implication of the new accounting rule was disseminated in the capital market. When 141 early adopters and 180 late adopters were ranked in terms of their accounting performances, the result of an empirical test indicated that the earnings effect had the potential to change performance rankings of multinational firms. This result was based on a comparison of mean ranking of early adopting group and late adopting group. While the setting employed in this paper was different from the one used in Benjamin et al.(Op. cit.), empirical result in this paper questions the soundness of their sweeping judgment that SFAS No: 52 did-mot affect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early adopters. Accuracy measure was foun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scaled earnings effect of SFAS No. 52 on earnings. This result was obtained by examining the accuracy of consensus forecast reported on EFCML for 141 early adopters over the period of mid-October, 1981 through firm-specific preliminary earnings release dates. Forecasts were aligned in event time to control for the confounding effect of the difference in forecast horizon on forecast accuracy. Evidence collected supports the arguments that the magnitude of the earnings effect of SFAS No. 52 was too significant to be neglected by the information users and that the initial implementation period was symptomatic of increased uncertainty in information processing environment. An implication of these results is that investors in equity securities of the early adopters might have responded to a change in FCT accoanting by adjusting their portfolio holdings since the change had significantly affected the earnings reported and the magnitude of the effect was mostly unexpected. Of course, delineation of motivation for reaction on the part of investors is necessary to link an accounting change and investors' response in the capital market(see Na(Op, cit.) for this link in the context of SFAS No. 52 adop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기업 매출목표의 공시와 재무분석가 매출예측치의 수정

        나인철,이남주 한국회계학회 1999 會計學硏究 Vol.24 No.1

        본 연구의 초점은 경영자가 사업보고서 혹은 영업보고서에 공시하는 당년도 매출목표의 내용에 따라 재무분석가들이 그 공시 직후에 발표하는 당년도 매출예측치를 체계적으로 수정하였는지 그 여부를 검토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관하여 매출목표 공시시점에 즉, 재무분석가의 예측치 수정 이전에, 투자자는 매출목표가 기업가치평가에 적합한(value relevant)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는지를 살펴보고, 또한 재무분석가는 매출목표의 함의에 따라 수정한 결과, 그 예측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는지를 검토하고자 하는 것이다. 여기서의 정확성이란 랜덤웤 예측치의 정확성에 대비한 재무분석가 예측치의 상대적인 정확성이다. 위의 검토들에 사용한 표본자료는 12월 결산 상장·제조 370개 기업의 1992년-1994년 자료로부터 취합되었는데, 그 중 매출목표는 경영자가 사업보고서 혹은 영업보고서를 통하여 금액 혹은 성장률로 공시한 것이었으며 재무분석가의 매출예측치는 공시직전과 공시직후에 대우, 쌍용 및 대신증권이 발표한 예측치였다. 자료 검토결과는 위의 검토사항들을 대체적으로 지지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경영자가 표본기간동안 사업보고서 혹은 영업보고서에 자발적으로 공시한 매출목표가 우리 나라 자본시장에서 투자자에 의하여 기업가치평가에 적합한 정보로 해석되었고 또한 재무분석가도 매출목표에 내재된 정보를 체계적으로 이용하였고 그 결과 예측치의 상대적 정확성을 향상시켰다는 증거가 나타남을 보고하는데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연구대상 기간, 전망정보의 내역 및 그 공시 수단과 시기 등의 측면을 달리하고 나아가 재무분석가 뿐만 아니라 주식투자자의 반응도 고려하며 또한 경영자의 자발적 공시동기 등을 연구하는 후속 연구의 수행에 도움이 되는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는 것도 본 연구의 의의에 속한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발생액 품질이 이익의 회사채 신용등급에 대한 정보성에 미치는 영향

        나인철,김종현 한국회계정보학회 2009 회계정보연구 Vol.27 No.4

        Since Kaplan and Urwitz(1979), quite a few studies have evinced the existence of positive relation between corporate bond ratings and corporate earnings. With the relation of this nature conceptualized as the informativeness of earnings with respect to corporate bond ratings, this paper explored whether quality of accruals would moderate it or not. Specific questions were (1) whether a higher quality would strengthen the informativeness of earnings levels with respect to the levels of bond ratings (hypothesis 1) and (2) whether an enhanced quality would increase the informativeness of changes in earnings or the levels thereof with respect to the changes in ratings (hypothesis 2). Raw materials for the quality measures were the equivalents of sresids per Dechow and Dichev(2002) and the unsigned replicates, dubbed |DA|s, of discretionary accruals per Jones(1991) à la Dechow et al.(1995). The level of quality was proxied by QD(QJ), an indicator variable with a value of 1 when sresid(|DA|) for a firm was less than a cross-sectional median for a year. And the change in quality was dichotomized into △QD(△QJ) according to the sign of annual change in QD(QJ). When the 19-notch(7-notch) detailed(broad) corporate bond ratings for 1,086(805) firm/year data were regressed, via ordered logistic regressions, on the earnings levels, the earnings interacted with quality, and the control variables, the coefficients for the interaction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positive rendering support to hypothesis 1. The tests of hypothesis 2 were conducted similarly with their dependent variables being changes in ratings. When the levels of earnings were interacted with the changes in quality, hypothesis 2 was supported. It was not the case, however, when the changes in earnings were used, implying that hypothesis 2 would only partially be supported. These basic findings were replicated by the further investigations with both QD and QJ (△QD and △QJ) employed in testing hypothesis 1 (hypothesis 2) and/or with qualities measured as continuous variables. 본 연구는 이익수준과 회사채 신용등급 수준 간의 양(+)의 체계성과 이익수준․이익변화와 신용등급 변경 간의 양(+)의 체계성 각각을 이익의 신용등급에 대한 정보성으로 규정하고, 발생액 품질이 높은 경우 각 측면의 정보성이 강화되는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 발생액의 품질이 높으면 이익수준과 회사채 신용등급 수준 간의 양(+)의 관계가 더 크게 나타나는 지 여부(가설 1)와 발생액의 품질이 향상되면 이익수준․이익변화와 회사채 신용등급 변경 간의 양(+)의 관계가 더 크게 나타나는지 여부(가설 2)를 살펴보았다. 2001년부터 2008년까지의 12월 결산 비금융기업 중 회사채 신용등급을 부여받은 1,086개 기업/년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는데, 주된 분석에는 19단계로 세분한 신용등급 및 그 변경을 종속변수로 활용하였고 강건성 분석에는 7단계로 구분한 광역신용등급 및 그 변경을 종속변수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발생액 품질은 Dechow and Dichev(2002) 모형으로 계산한 잔차의 표준편차[수식]와 Dechow et al.(1995)에 의하여 수정된 Jones(1991)의 모형으로 추정한 재량적 발생액의 절대값(|DA|) 각각의 크기가 연도별 횡단면 중위수 이하이면 즉, 품질이 높으면 1의 값을 가지는 더미변수 QD와 QJ로 측정하였고, 발생액 품질의 향상 여부는 기초 대비 기말 [수식]와 |DA|가 감소하면 즉, 품질이 개선되면 1의 값을 가지는 더미변수 △QD와 △QJ로 측정하였다. 순위로짓모형으로 분석한 결과는 첫째, 모형1로 구체화된 가설 1의 검증에서는 발생액 품질을 QD로 측정하건 QJ로 측정하건 신용등급 수준을 이익수준과 발생액 품질의 상호작용변수(E⋅QD와 E⋅QJ)에 회귀시켰을 때의 계수부호는 유의적인 양(+)으로 검출되었다. 둘째, 모형2로 구체화된 가설 2의 검증에서는 발생액 품질 변화를 △QD로 측정하건 △QJ로 측정하건 신용등급 변경을 이익수준과 발생액 품질 변화의 상호작용변수(즉, E⋅△QD와 E⋅△QJ)에 회귀시켰을 때의 계수부호는 양(+)으로 나타났지만, 이익변화와 상호작용시킨 △E⋅△QD와 △E⋅△QJ의 경우에는 유의적인 결과가 검출되지 않았다. 강건성 분석의 일환으로 첫째, 발생액 품질(과 그 변화)에 대한 두 변수를 함께 고려한 수정모형1(과 수정모형2)를 분석하였으며 둘째, 광역신용등급과 그 변경에 대한 발생액 품질과 그 변화의 정보성을 살펴보았으며 셋째, 발생액 품질과 그 변화를 5분위구분변수와 연속변수로 측정한 경우를 검토하였다. 그 분석 결과 역시 이익수준은 회사채 신용등급 수준과 그 변경에 대하여 정보성을 가진다는 주된 분석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한편, 이익변화의 신용등급 변경에 대한 정보성이 검출되지 못한 이유를 규명하지 못한 점은 본 연구의 주된 한계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