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학생의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성공적 전환을 위한 지원요소 및 실행방안

        나수현 한국특수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학연구 Vol.49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 통합교육 현장에 실제 적용 가능한 장애학생의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성공적 전환을 위한 지원요소 및 실행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총 13명의 초·중학교 일반교사 및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결과 수집된 자료는 지속적 비교분석법에 의해 분석하였고, 신뢰도 확보를 위해 연구참여자 검토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장애학생의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성공적 전환을 위한 지원요소로 1) 학업적 지원, 2) 학교생활 지원, 3) 사회적 관계 지원, 4) 심리적 지원, 5) 환경적응 지원, 6) 가족 지원이라는 6가지 주제가 도출되었고, 전환 지원 실행을 위한 방안으로는 1) 교사의 교수능력 강화 및 교사 간 협력, 2) 또래 지원 체계의 개발, 3) 초등학교와 중학교 간 교류, 4) 전환 지원 프로그램의 제공, 5) 전환 관련 부모교육 실시, 6) 교육행정기관의 지원이 제시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는 한국 통합교육 현장에서 장애학생의 전환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으며, 장애학생의 성공적 전환을 위한 방향을 정립하고 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key components and strategies of transition support from elementary to middle schoo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orea. This study suggested components for successful transition support through focus-group interview. Thirteen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focus-group interview including 7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6 gener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experiences in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beyond 1 year.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participants and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for data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es, six key components of transition support were identified including (1) academic support, (2) school life adjustment, (3) social relationship, (4) psychological support, (5) school environment adjustment, and (6) family support. The strategies of successful transition support were as follows: 1) improving teachers' teaching capacity and collaborations between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2) developing peer support systems; 3) implementing exchange programs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4) providing transition support programs; 5) parent education; and 6) administrative support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useful data which can contribute to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transition support system from elementary to middle schoo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orea.

      •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사회성과 우정 발달의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나수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6 특수교육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social skills related to friendship about the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It was reviewed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friendship in the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asperger syndrome by selecting six of there searches published inspecial education journals from 1990 to 2005. This research is written for (1) finding out the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friendship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aspergersyndrome, (2) analyzing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ir perception of friendship, (3) explaining how this perception of friendship is related to the nature of social deficits in autistic children, (4) discussing the way of developing the friendship of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본 연구의 목적은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사회성과 우정 발달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사회성과 우정 발달의 특징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0년부터 2005년까지 특수교육 분야의 주요 저널에 간행된 논문 중 6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문헌 검토를 통하여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우정 특징 및 변인들을 알아보고,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들의 우정 관계의 특징이 자폐의 사회성 장애와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1)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는 사회적 맥락에 대한 인식, 언어 이해 능력, 정서적 능력, 자기 인식 및 자아 개념등이 나타났고, 2) 이러한 변인들은 자폐의 사회성 장애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3) 우정 발달 촉진을 위한 방법들로는 사회성 기술 교수, 정서적 능력 향상을 위한 전략 교수, 구조화된 프로그램의 활용 및 성인과 교사 역할의 중요성 등이 제시되었다. 결론에서는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들의 우정 발달에 관한 연구의 시사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 지원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의 중학교 학교적응도에 미치는 영향

        나수현,박승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특수교육학연구 Vol.4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elementary to middle school transition support program on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they entered the inclusive middle school.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30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were moving from elementary schools to middle schools. A group of 15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transition support program was compared with a matched group of 15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didn't. In this study, a school adjustment scal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used to measure the students' school adjustment to the inclusive middle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transition support program displayed significantly higher the total score of school adjustment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area scores of school satisfaction, academic engagement in inclusive class, and school environment adjustm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ir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s of academic engagement in special class, observance of the school rules, and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n elementary to middle school transition support program can improve the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middle schools.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s to transition suppots for studetns with disa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ovided. 본 연구는 초등 장애학생의 중학교로의 전환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로 초등학교 6학년 말부터 중학교 입학 초기까지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장애학생의 중학교 입학 초기의 학교적응에 미친 효과를 밝힌 국내 최초의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전환을 앞둔 특수학급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전환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장애학생의 중학교 학교적응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여 15명의 실험집단 학생들에게는 초등학교 6학년 겨울방학과 중학교 입학 직후 2주 동안 총 22회기의 전환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였고, 15명의 통제집단 학생들에게는 중재를 제공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집단 학생들의 중학교 학교적응도는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적응의 5가지 하위영역 중에서 학교만족도와 일반학급에서의 수업참여도, 학교환경 적응도 영역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중등학교에서 통합교육의 확산과 내실화를 위한 노력을 경주하는 현 시점에서 장애학생의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 지원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재차 관심을 환기시켰고, 초등학교 6학년 장애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전환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프로그램의 구체적 내용을 제시하였으며, 실제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 시기에 전환 지원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친구관계에 대한 인식

        나수현 ( Su Hyun Na ),윤선아 ( Sun Ah Yoon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을 대상으로 친구관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이들의 친구관계의 특성 및 친구관계의 형성과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등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친구관계에 대한 구체적이고 심층적인 정보를 얻기 위하여 아스퍼거 증후군 초등학생 10명을 대상으로 개별적인 심층면담(in-depth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모두 전사되었고,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전사 자료를 코딩하고 범주화하여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5개의 주제와 20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ㄱ) 친구의 개념, (ㄴ) 아스퍼거의 특성, (ㄷ) 친구관계의 특성, (ㄹ) 친구관계 변인, (ㅁ) 친구관계에 대한 요구.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친구관계에 대한 이해 및 관계 향상을 위한 지원 방안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friendship faced by children diagnosed With Asperger syndrome.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ir children`s friendship features and the influential factors on building and maintaining their friendship.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students with Asperger syndrome in elementary school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use of semi structured interviews.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interview transcriptions, five themes emerged as follows: (a) concepts regarding friendships, (b) characteristics of Asperger syndrome, (c) friendship features, (d) influential factors on friendships, (e) desire for friendship. Based on the findings, further implications were provid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of friendship in children with Asperger syndrome. And the insights provided b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valuable for teachers and parents playing in facilitating friendship formation and in supporting ongoing relationships in Asperger childre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 자녀의 장애인등록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개선요구

        박승희,나수현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0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2 No.4

        Perceptions and Improvement Needs of the Disability Registration System by Nationwide Parents of th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Korea 본 연구는 장애인등록제도에 대한 전국의 특수교육대상 자녀 부모의 인식과 활용에 대해 그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실행된 국내에서의 첫 번째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대상 자녀를 둔 부모의 장애인등록제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부모들은 장애인등록제도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고, 부모들이 지적한 장애인등록제도의 문제점들은 무엇이며, 장애인등록제도가 특수교육분야와 관련되어서는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의 부모를 지역과 학교과정별(초등, 중등부, 고등부)로 층화표집하여, 총 285명의 자료(특수학교 182명, 특수학급 103명)를 전체 의견과 두 집단 차이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특수교육대상 자녀를 둔 부모의 장애인등록제도에 대한 정확한 지식 부족과 자녀의 장애인등록의 적절성 문제, 자녀의 장애인등록 활용 실태의 문제,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장애인등록제도의 문제와 개선방안이 논의되었다. 본 연구는 장애인등록제도가 특수교육분야와 접목한 부문에 대해 특수교육대상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한 장애인등록제도의 현행 쟁점과 개선방향에 대한 제언을 처음으로 제시하는 의의를 지닌다.

      • 전반적 발달 장애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대처에 관한 질적 연구

        윤선아,나수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5 특수교육 Vol.4 No.1

        본 연구는 전반적 발달 장애아동을 둔 어머니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하여 장애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의 특성과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방법 및 자원을 심도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의 스트레스의 양상, 스트레스의 요인, 대처행동, 스트레스가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등 총 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스트레스 양상은 어머니 개인 내적인 증상과 외적 발산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의 요인으로는 전반적 발달 장애아동의 특성, 자원의 부재, 부정적 사회 인식, 역할기대에 대한 부담감 및 자아실현의 어려움과 같은 하위 요인들이 나타났다.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로는 대처자원을 활용하는 것 이외에도 아동의 발달적 향상을 인식하는 발전된 내적 지각력이 나타났으며, 스트레스를 잊기 위한 방법으로 취미활동을 하는 어머니들도 있었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스트레스가 가족(배우자, 비장애 형제, 장애아동)구성원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궁극적으로는 가족의 결합력이나 가족의 적응에 영향을 주고 있음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esses and coping strategie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Five mothers of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were interview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four themes emerged: (1) features of stress, (2) the stressors, (3) coping, (4) impacts on the family. In the present study the first stressor was the child-related factors focusing on unique behavioral challenges of children with PDD, and concerns about their children's successful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and to life stages beyond childhood. The second stressor was lack of resources available to caregivers of their children. And they were stressful without economic support and more helpful knowledges/experts for PDD. The third stressor was the other persons' negative perspectives toward their children. These three factors were main stressors of mothers with PDD children. In our interviews, all of the mothers reported the symptoms of stress, frustrations and disappointments about their children, themselves and their spouses. But also their primary coping resources were their children's progress and the supports of their family. That suggested a significant redesign of comprehensive and coordinated ways to deliver support at the individual family level as well as at the systems level. That was finally the results in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family support model. So we expected future research of the family support system be undertaken.

      • KCI등재후보

        특수학교 학생의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한 교사와 학생의 고등부 교육과정운영 개선 요구

        박승희,나수현 한국특수교육학회 2003 특수교육학연구 Vol.38 No.3

        A Nationwide Study on Special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Needs for Quality Curriculum Implementation for the College Entrance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특수학교 학생들의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한 특수학교 고등부 교육과정에서의 대학진학지원 현황과 고등부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지원요구 및 학생들의 만족도와 지원요구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에서 표집된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특수학교 33개교의 교육과정 담당교사 33명과 고등부 교사 187명 및 고등부 학생 174명의 질문지 응답자료가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들은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거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해 분석하였고, 학생들의 장애유형에 따른 만족도와 지원요구의 차이 검증을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특수학교 학생들의 대학진학지원은 미흡하였고,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운영 개선에 대해 교사와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높은 요구를 보였는데, 학생들의 장애유형에 따른 지원요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사후분석 결과 시각장애 학생들과 청각장애 학생들 간의 지원요구와 지체부자유 학생들과 청각장애 학생들간의 지원요구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장애유형에 따른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사후 분석결과 시각장애 학생들과 지체부자유 학생들간의 만족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수학교 학생의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해 현재 특수학교 고등부 교육과정 운영의 시급한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제안들과 더불어 일반 중고등학교에서의 질 높은 통합교육 제공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검색어> 장애학생 대학진학, 특수학교 고등부교육과정, 장애학생 특별전형, 교육과정운영개선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