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中 象嵌技法의 種類와 技術的 差異

        나상철(Na, Sang-chul) 호서사학회 2020 역사와 담론 Vol.0 No.93

        이 연구의 목적은 고려청자의 대표적 장식기법인 상감기법의 종류를 살펴보고 중국 상감기법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명확히 하는 것이다. 중국 상감기법은 사용 시기에 따라 네 시기로 나눌 수 있다. Ⅰ기는 9세기 중반부터 10세기 초까지이며 黑釉刻花塡白彩기법이 발생, 소멸하는 시기이다. Ⅱ기는 五代에서 北宋 초기로 河南省에서 白釉劃花塡黑彩와 珍珠地劃花가 사용된 시기이다. Ⅲ기는 1기와 2기로 나누어지며. 제1기는 北宋 초에서 12세기 중반까지로 白釉劃花塡白彩가 사용된 시기이다. 제2기는 11세기 후반에서 金代로 黑剔花刻塡과 白釉剔花塡彩기법을 사용한 시기이다. Ⅳ기는 金代 말에서 元代까지로 劃花塡彩기법을 사용한 시기이다. 상감기법의 요소는 사라지고 배경에 黑彩를 하여 白釉剔花塡彩와 유사한 시각적 효과를 보인다. 한국 상감기법은 역시 네 시기로 나눌 수 있다. 태동기는 10세기 중반에서 11세기 초이다. 靑磁塡彩象嵌기법를 사용하였으며 붓으로 그리거나 중국과 같이 액체성의 顔料를 바른 후 닦아내는 방법으로 상감한 것으로 추정된다. 성립기는 11세기에서 12세기 중후반이다. 靑磁剝地白彩象嵌기법과 鐵釉白象嵌기법을 사용한 시기이다. 이 시기 상감기법은 바탕이 대부분 검은색 혹은 갈색이며 문양은 백상감을 이용하여 표현한다. 발전기는 흑백 상감 기법이 탄생한 12세기부터 14세기까지다. 소멸기는 15세기에서 16세기 중반으로 고려의 상감기술 위에서 백색화장토를 사용하는 粉靑沙器 특유의 상감기법이 사용되었다. 한국과 중국 상감기법을 비교한 결과, 한국과 중국의 상감기법은 일부 기술적 유사점만을 가지고 있을 뿐 시간의 궤를 함께하지 않고 발전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한국과 중국 모두 감입이라는 원초적인 상감기술을 사용하며 각기 다르게 발전해 왔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한국 상감기법은 박지기법과 같은 중국 제자기술의 일부 수용은 이야기할 수 있으나 한국 장인들의 노력으로 변화, 발전되었다고 여겨진다. Sanggam technique is a typical decorative technique of Goryeo celad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bout the kinds and technical dif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sanggam techniques. The phase of the transformation of China’s sanggam techniques is divided into four period. The first phase is from the mid-9th century to the early 10th century, when black glaze Carved white draw technology developed and disappeared. The second phase is from the Five Dynasties to the Northern Song Dynasty. It is the time when White glaze Carved black draw techniques and Pearl Carved techniques are used. The third phase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was the period when White glaze Carved white draw techniques were used from the beginning of the North Song Dynasty to the 12th half. The second part was the period when Black sgraffito fillup techniques and White glaze sgraffito fill up draw techniques were used from the late 11th to the Jin Dynasty. The fourth phase is from the latter of Jin Dynasty to Yuan Dynasty. This is the time when Carved fill up draw technique was used. The phase of the transformation of Korea’s sanggam techniques is divided into four period. The first phase is from mid-10th to early 11th century, when celadon fillup draw sanggam technique was used. The second phase is from the 11th to the early 12th century. when celadon sgraffito black draw technique and celadon sgraffito white draw technique was used. The third phase is from the 12th to 14th century, when black and white sanggam techniques were born. The fourth phase is from around the 15th century to the mid 15th century. It is the period when Buncheong Ware with sanggam, Buncheong Ware with sgraffito black draw and White porcelain with sanggam were produced. According to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Chinese sanggam techniques, there are som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but the exact same technique does not exist and the time of use is also very different. Thus, the Korea"s sanggam techniques was changed and developed by Korean potters" efforts to improve self-quality, improve artistic quality, and some of the Chinese sgraffito techniques were accepted.

      • KCI등재

        한국전쟁기 보국대의 의미와 성격

        나상철 ( Na Sang Chul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20 學林 Vol.45 No.-

        한국전쟁 동안 민간인은 군에 동원되어 노무력을 제공했다. 군과 민은 이러한 민간 노무인력 동원 및 전쟁 지원 행위를 ‘보국대’라고 칭했다. 그러나 해방으로부터 한국전쟁이 휴전에 이르기까지, 실체성이 있는 하나의 국가행정조직으로서 ‘보국대’라는 것은 없었다. 따라서 보국대는 법제적 근거가 없는 구어적 표현이었다. 현재에 이르러서도 전쟁을 회고하는 과정에서 노무를 위해 동원된 개인과 그 집단을 ‘보국대’ 또는 ‘보국단’이라고 일컫는다. 본고는 이처럼 국가기구가 아님에도 전쟁당시 두루 사용되었던 ‘보국대’의 특성과 성격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의 첫 단계는, 어의적 특성과 계보를 확인하는 것이다. 어의적 특성이란 ‘보국’이라는 표현이 과거부터 어떻게 쓰였고 기록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그것이 조직을 이르는 ‘隊’와 접목되어 ‘보국대’로 실체화되는 현상을 추적한다. 그런데 보국의 수사가 집약되어 조직화되는 것은 일제 강점기의 ‘근로보국대’가 유일한바, 한국전쟁기의 보국대는 일제의 그것에 적어도 어의적 계보의 연결성이 있다고 보았다. 이어서는, 한국전쟁을 겪은 인물의 회고에서 ‘보국대’가 어떤 모습으로 재현되는지를 살핀다. 회고자는 크게 민간인 노무자, 사병, 장교 출신자로 구분된다. 각각의 사회적 지위를 가지고 있었던 이들은 보국대의 모습과 성격에 입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회고에서 주목되는 점은 그들 대부분이 보국대를 전시 군경에 의해 강제된 것으로 기억한다는 점이다. 이처럼 한국전쟁기 보국대는 단지 일제의 총동원체제기 전쟁 장치였던 근로보국대와 어의적으로만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조직하고 운용하는 형태와 그 인식까지도 매우 닮았다. 따라서 보국대는 전시근로동원에 대한 법제적 근거가 마련되지 않았던 당시, 대중의 기억에 자리하고 있던 가까운 과거의 일련의 전시 민간인 동원 기법이 소환된 것으로, 일제가 남긴 또 하나의 잔재이다. During the Korean War, civilians were mobilized to the military for provide labor. The military and the civilians have called these acts of mobilizing civilian laborers and supporting the war as a ‘Bogukdae’. From liberation to the Korean War, however, there was no such thing as a substantive nation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Bogukdae’. Therefore, it was a colloquial expression with no legal basis. And in the course of retrospecting the war, the individuals and their groups mobilized for labor is also called as ‘Bogeukdae’ or ‘Bogeukdan’. This thesis confirm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geukdae’, which was used throughout the Korean War even though it was not a national organization. The first step in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genealogy.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 is to identify how the term ‘Bogeuk’ was used and recorded in the past. And also tracks the phenomenon of being ‘Bogeukdae’ with a ‘corps’ attached to the ‘Bogeuk’. Japanese Empire’s ‘Civilian Labor Corps(勤勞報國隊)’ is the only one, which integrate the meaning of ‘repay for nation’ to real organization. The ‘Bogukdae’ which was called during the Korean War is believed to have at least the link between the linguistic connection about the Japanese Empire’s ‘Civilian Labor Corps’. Soon after, in the memoirs of those who went through the Korean War, we can see how ‘Bogukdae’ is recreated. Retrospective people are divided into civilian laborers, enlisted men and army officers. These distinctions give a three-dimensional picture of the figure and character of ‘Bogukdae’ from each social status. Noteworthy thing in their memoirs is that most of them remember “Bogukdae” as being forced by wartime military and police. As such, ‘Bogukdae’ during the Korean War is not only connected linguistically to the ‘Civilian Labor Corps’, which was a war device under the Japanese Empire, but also very similar to the way it was organized and operated. Thus, ‘Bogukdae’ is another remnant left by the Japanese Empire, that was summoned for a series of wartime civilian mobilization techniques of the near past, that were in the public’s memory at the time when legal grounds were not laid for wartime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