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약과 태토 사이의 중간층을 통해 본 高麗와 宋 · 金代 청자의 제작기술 관계

        나상철(Na, Sangchul)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0 美術史學 Vol.- No.39

        도자기는 화학반응을 일으켜 제작되는 최초의 수공업 제품이다. 그리고 장인들은 자기의 질을 높이거나 혹은 예술성을 향상하기 위한 방향으로 기술을 발전시켜 나아갔다. 이런 이유로 자기기술의 발전은 언제나 생산된 자기 위에 반영되어 나타난다. 중간층이란 태토와 유약 사이에 백색의 띠 형태로 존재하는 물질로 이 역시 생산된 자기에 자기기술이 반영된 결과일 것이다. 중간층이 처음 발견됐을 때에는 존재하는 위치와 색깔로 인해 화장토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중간층에 대한 과학적 분석 연구가 이루어진 후 중간층은 자기 소성시 발생하는 화학반응으로 생성되는 광물계열의 회장석으로 밝혀졌다. 중간층이 존재하는 청자를 생산한 요장은 陝西省 남부와 河南省 서남부에 집중되어 있다. 중국 남방계 청자와 고려청자에서는 보이지 않는 중간층은 중국 북방계 청자만의 독특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중간층의 생성요인은 유약 기술의 차이가 중요한 원인으로 여겨진다. 중간층의 생성 원인 중 가장 큰 요인은 유약의 차이라고 생각하여 제게르식 값을 이용한 유약 조성 그래프를 작성하고, 이를 통해 중국 남방계 청자 유약과 고려청자의 유약 계통이 유사하다는 것을 밝혔다. 중국과 고려청자의 제작기술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면, 고려 초 越州窯에서 남방계 자기기술이 유입된 이후 12세기 중반까지는 중국 북방계의 수준 높은 제작기술은 고려에 유입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12세기 초중반에 유입된 중국 북방계의 압출양각기법과 문양 같은 낮은 수준의 제작기술만이 고려에 유입되었다. 12세기 중반에 이르면 南宋과 연관된 높은 수준의 제작기술이 유입될 수 있는 정황이 감지된다. 다만 이러한 의견은 기법과 중간층의 존재 여부를 중심으로 추론한 것으로 이후 기형과 문양에 관한 양식사적 연구가 필요하겠다. 마지막으로 중간층이 가지는 의미는 생산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중간층의 존재는 고려청자와 중국 청자를 판별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이것은 기형이나 문양을 파악하기 힘든 작은 편에서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발굴 현장과 같이 작은 片 형태로 유물이 출토되는 곳에서 특히 유용하다. Ceramics are the first handmade products to be produced by chemical reactions. And potters have advanced their skills in ways to improve of Ceramics quality or enhance artistry of Ceramics. For this reason, the development of ceramics technology is always reflected on the product. A middle layer is a substance that exists in the form of a white band between the body and the glaze. This will be the result of the reflection of ceramic techniques on ceramics. When the middle layer was first discovered, it was recognized as a whtie slip because of its location and color. However, after the scientific analysis of the middle layer was done, the middle layer was found to be mineralized anorthite produced by chemical reactions occurring in the manufacture of ceramics. The creation factor of the middle layer is considered to be the main cause of the difference in glaze technology. I thought that the biggest cause of generation in the middle layer was the difference in glaze. The biggest cause of the middle layer" creation was the difference in glaze, so prepared a graph of the composition of the glaze using the Sigel Formula value and revealed that the glaze system of the southern Chinese celadon and Goryeo celadon are similar.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nese and Goryeo celadon technologies, focusing on the middle layer and technique, only low-level techniques such as decoration techniques and patterns in the northern part of China were introduced in Goryeo until the middle of the 12th century after the introduction of Ceramics technology from Yuezhouyao(越州窯), China. By the middle of the 12th century, the situation is detected that the production technology associated with Nansong(南宋). Finally, the middle layer means that it is easy to identify the production site. In addition, the existence of the middle layer can serve as a basis for distinguishing between Goryeo celadon and Chinese celadon. This is especially useful in places where relics are excavated in small forms, such as excavated sites, because they can be used in relics of small forms where deformities and patterns are difficult to identify.

      • KCI등재

        한국전쟁기 육군예비사관학교의 도입과 성격

        나상철(SANGCHUL NA)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0 한국군사학논집 Vol.76 No.1

        This study traces the history of the Army Reserve Officer Academy, which was founded in May 1951 during the Korean War and disbanded in October of the same year, in the category of ‘micro-historical military history’. This Academy was established simultaneously with the 5th Corps (reserve), which was established following the disbandment of the National Defense Corps. The Reserve Officer Academy is presumed to be an organization to clean up the remaining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f the National Defense Corps Officer Academy. However, unlike before, the officers who graduated and commissioned the academy followed the Army"s officer hierarchy, although they were a reserve. The Reserve Officer Academy produced about 4,500 officers during its six-month until disbandment. Some of them were turned into active-duty officers and have been deployed to the front and rear mopping up and counterterror echelon. And many of them have become the link of the ROKA and U.N. military alliance, with the deployment of a number of senior members of the Korean Service Corps. In addition, they played a role in ensuring the robustness of the labor force to support the U.N. military"s defense. But memories of them have been forgotten and excluded from the study of Military History which was implemented from national history research institutions. Therefore, in this paper, I attempt to restore the nature of the Reserve Officer Academy and its military historical character by compiling the statements of the veterans along with the extremely scarce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