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추나무 ‘황실’의 수령에 따른 결실 및 과실특성과 수확량

        김철우 ( Chul-woo Kim ),나민호 ( Min-ho Na ),박효원 ( Hyowon Park ),이욱 ( Uk Lee ) 한국산림과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4

        대추나무 ‘황실’의 고품질 생대추 생산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령(3∼7년생)에 따른 생육특성, 과실품질, 수확량 등을 분석하였다. 대추나무 ‘황실’의 평균 수고와, 수관면적, 근원경, 지하고, 주지수, 주지간거리는 각각 230.8 cm(224.4∼247.2 cm), 3.0 ㎡(2.1∼3.8 ㎡), 4.8 cm(2.4∼6.2 cm), 69.1 cm(46.6∼78.0 cm), 12.9개(8.6∼19.6개), 8.1 cm(7.4∼9.0 cm)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항목 간 상관분석 결과, 수령과 수관폭, 근원경, 지하고는 정의 상관을 보인 반면, 주지수는 음의 상관을 나타냈다. 결과모지 및 본당 평균 과실수는 20.0개(14.3∼26.3개)와 302.8개(257.3∼373.5개)인 것으로 각각 나타났다. 특히 수령과 결실특성(주지당 결과모지수, 결과모지당 결과지수, 결과지당 과실수)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대추나무의 수형은 생육면적과 하우스 형태에 따라 일정하게 관리하기 때문이다. 평균 과중은 24.2 g(22.4∼26.8 g)이었으며 과실의 경도와 당도는 각각 28.4 N(27.3∼30.0 N)과 19.0%(17.1∼19.8%)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수령 간에 유의한 차이는 각각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당 수확량은 7.4 kg/본(5.7∼9.1 kg/본)으로, 6년생과 7년생에서 통계적으로 가장 많은 수확량을 나타냈다. The fructification characteristics, fruit quality, and yield of the ‘Hwangsil’ jujube tree were analyzed at various stages of growth age (3-8 years old) to obtain basic data for developing high-quality jujube production technology. The average height, crown area, stem diameter near the root, stem clear length, the number of the main branches, and the distance between any two main branches were 230.8 cm (224.4∼247.2 cm), 3.0 ㎡ (2.1∼3.8㎡), 4.8 cm (2.4∼6.2 cm), 69.1 cm (46.6∼78.0 cm), 12.9 (8.6∼19.6), and 8.1 cm (7.4∼9.0 cm), respectively. Tree ag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rown area, stem diameter near the root, but stem clear length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main branches. The average number of fruits per mother bearing shoot and tree was 20.0 (14.3∼26.3) and 302.8 (257.3∼373.5), respectively.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ree age and fructific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the number of fruit-bearing mother shoots per the main branch, the number of fruit-bearing shoots per fruit-bearing mother shoot, and the number of fruits per fruit-bearing shoot. Since the shape of the jujube tree is constantly managed based onthe growing area and type of greenhouse where the tree grown. The average fruit weight, fruit hardness, and soluble solid content were 24.2 g (22.4∼26.8 g), 28.4 N (27.3∼30.0 N), and 19.0% (17.1∼19.8%), respectively, with no correlation between the tree age and fruit quality. The average yield was 7.4 kg per tree (5.7∼9.1 kg), with significantly high quantities were produced in six and seven years old trees.

      • KCI등재

        열풍건조에 의한 건조기간 동안 ‘반시’와 ‘고동시’의 품질 특성 변화

        김철우 ( Chul-woo Kim ),박효원 ( Hyowon Park ),나민호 ( Min-ho Na ),이욱 ( Uk Lee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2

        본 연구는 열풍건조 시 건조기간 동안 ‘반시’와 ‘고동시’ 건조감의 품질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두 품종을 과실 무게에 따라 각각 4등급(2L, L, M, S)으로 구분하여 건조기간별 중량감소율, 경도, 가용성고형물함량 및 수분함량을 측정하였고, 각 항목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중량감소율의 경우, 품종 간 차이는 없었으며 건조기간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경도는 품종에 관계없이 후숙과정 중 감소하였다가 이후 건조과정에서 유의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가용성고형물함량은 두 품종 모두 초기 19.6%에서 건조 12일에 55.3%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분함량 또한 품종에 관계없이 건조기간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품종에 관계없이 반건시(수분함량 기준 45∼55%) 생산을 위한 건조기간은 4일, 건시(수분함량 기준 25∼35%) 생산을 위한 건조기간은 8∼10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열풍건조 방법을 이용한 품종별 고품질의 건조감 생산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quality characteristics of hot-air dried persimmon during the drying period in ‘Bansi’ and ‘Godongsi’. These cultivar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ades: 2L, L, M, and S based on the fruit weight. Weight loss, firmness, soluble solid content (SSC), and moisture contents were measured during the hot-air drying period. The weight los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drying period (p<0.05),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ultivars. In the initial drying period, the firmness decreased due to softening during the ripening stage and increased significantly due to hardening during the water loss stage. Regardless of the cultivars, the SSC increased from 19.6% in the initial period to 55.3% at 12 days after drying. Moisture content statistically decreased in both cultivars over the whole drying period. It took 4 days and 8∼10 days to produce semi-dried persimmon (45∼55% moisture content) and dried persimmon (25∼35% moisture content) in both cultivars. These results could be effectively used as basic data for producing high-quality semi-dried and dried persimmons using the hot-air drying method in ‘Bansi’ and ‘Godongs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