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언론출판사의 저작인접권 도입에 관한 소고

        나강 ( Kang La ) 한국상사판례학회 2016 상사판례연구 Vol.29 No.1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도래와 함께 기존의 신문, 잡지 등을 통해 뉴스를 소비하던 독자들의 뉴스 소비행태에도 큰 변화가 있었다. 독자들은 주로 인터넷과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하여 뉴스 콘텐츠를 이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언론출판사들도 변화를 시도했지만 정작 이용자들은 주로 ``구글``같은 인터넷 포털을 통하여 뉴스 콘텐츠를 검색하고 이용하고 있다. 네트워크 상에서 독점적 지위를 누리고 있는 포털 등은 많은 이익을 창출하고 관련 사업을 확장해 왔지만 뉴스를 생산·유통하는 기존 언론출판사들은 광고수익이 급감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언론출판사에 대하여 저작인접권 도입을 통한 보호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타나게 되었다. 저작인접권이란 저작물을 창작한 자는 아니지만 저작물을 소비자에게 전달함에 있어 일정한 기여를 하거나 자본을 투자한 자에게 부여되는 권리이다. 저작인접권으로 보호받는 기존의 실연자, 음반제작자, 방송사업자 등과 비교해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언론출판사에게도 어떠한 형태이든 법적 보호가 필요하다는 점에 이견은 없어 보인다. 다만 저작인접권같은 독점·배타적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 적절한가에 대하여 의문이 있다. 언론출판사의 저작인접권 도입은 최근 유럽연합의 각 국가에서 새로운 입법의 형태로 구체화되고 있으며 많은 논란이 야기되고 있다. 인터넷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확산으로 뉴스 콘텐츠 이용이 더욱 다양해지고 있는 현실에서 이러한 논의는 우리에게도 당면한 문제라고 할 수 있으며 이에 본고에서는 관련 해외 입법 동향 및 법제를 분석한다. 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media era,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news consumption behavior of readers consume news content over existing newspapers, magazines, etc. Readers were mainly used for news contents via the Internet and mobile devices. To keep pace with this trend, the news contents publishers also tried to change but actually, users are searching and using the news content mainly via the Internet portal such as ``Google``. Although Portal which enjoys a monopoly over the network has been expanding related businesses and has benefited enormously from traditional publisher`s news contents, The press publishers which has been produced, distributed news contents are struggling, such as advertising revenue has plummeted. Accordingly, The opinion that the protection need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neighboring rights has emerged. Neighboring right is an intellectual property right of a performer or of an entrepreneur such as a publisher, broadcaster, or producer who is not the person creates the works, but has contributed to the delivery of works to the consumers or has invested capital. Compare with the performers, producers of phonograms, broadcasters protected by neighboring rights, It seems that there are no other opinion regarding to the point that the press publishers also need legal protection. But it is a question with respect to an acceptable choice to grant the exclusive rights like neighboring rights. Recently, across European Union countries, the introduction of press publisher`s neighboring rights has been materialized in the form of new legislation, has been causing a lot of controversy.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the use form of news contents is diversified because of the proliferation of the Internet and mobile devices, this kind of discussion is an urgent issue to us. This study is analyzing related legislative trends and legislations of EU countries.

      • KCI등재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최초판매원칙의 적용에 관한 소고 -최근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나강 ( Kang La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홍익법학 Vol.16 No.1

        The first sale doctrine is the rule that the purchaser of a physical copy of a copyrighted work, such as a book or CD, may give or sell that copy to someone else without infringing the copyright owner`s exclusive distribution rights. With regard to that physical copy, the copyright owner`s distribution right is said to be exhausted. So this doctrine is also referred to as rule of exhaustion. The first sale doctrine was made at a time when most copyrighted material had physicality. Now, much of copyrighted material hides invisibly within computers and mobile devices. As with many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a new issue is raised on whether the first sale doctrine can be applied to various digital contents with physical medium and digital contents transferred, downloaded via internet without physical medium. Roughly speaking, The main issue of the applicability of the first sale doctrine in relation to digital contents is whether the acquisition of a digital contents is a sale transaction or merely a license. In the United States, the issue of whether a digital music file, lawfully made and purchased, may be resold by its owner through ReDigi under the first sale doctrine, the court held that it cannot. In contrast, The European Union has taken steps towards making digital contents available in resale markets.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determined that exhaustion applies to used computer software in the Usedsoftcase. The decision`s application to other digital contents is uncertain. The recent decision by the German Regional Court stated that the reasoning in UsedSoft does not apply to other digital contents and therefore held that exhaustion does not apply to digital audio books. The purpose of Copyright Act is to protect the rights of authors and the neighboring rights and to promote the fair use of work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the culture industry and related industries. The author`s rights and user`s rights both are important object to protect. The issue of the application of the first sale doctrine for digital contents should be solved the problem in this point of view and solutions made from unbiased positions.

      • KCI등재

        그라피티와 관련한 저작권법상 쟁점에 관한 소고

        나강 ( La Kang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홍익법학 Vol.19 No.2

        그라피티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거리예술의 하나이다. 초기 그라피티는 건물 소유자나 정부 허락 없이 불법적으로 작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그라피티는 기성문화에 반항하고 불복종하는 저항의 메시지를 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현대미술의 한 장르로서 발전해왔다. 이러한 그라피티의 특성상, 불법적으로 창작된 그라피티도 저작권의 보호대상이 되는가에 대하여 오랜 논의가 있어 왔다. 우리 저작권법은 저작권의 보호대상으로서 저작물로서의 성립에 있어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의 표현으로서 창작성을 가치 기준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그라피티의 본질적 특성인 불법성은 음란성, 이적성 등 다른 가치기준에 대한 논의와 같이 저작물로서의 성립에 영향을 줄 수 없으며 저작권법상 저작물로서 보호될 수 있다. 더하여, 해당 건축물의 철거나 개발 등으로 그라피티가 폐기, 훼손 되는 경우 해당 그라피티의 저작권자와 건물 소유자 사이에 저작권과 소유권의 충돌 문제가 발생한다. 소유권자의 처분행위로서의 폐기와 저작자의 인격적 이익에 관한 동일성유지권이 충돌할 경우 양자의 권리 충돌을 어떻게 해석하고 조정할 것인지가 문제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러한 쟁점에 대하여 명문의 규정을 두고 있지 않고 직접적인 분쟁사례도 찾기 어렵다. 이에 대법원의 소유권과 저작인격권의 충돌에 관한 도라산역 벽화사건에서의 판단 및 미국의 5Pointz 판결과 시각예술가권리법, EU 지침과 영국 저작권법의 재건축 관련 규정 등을 분석하였다. 우리 대법원의 경우 저작권법상 동일성유지권을 근거로 소유자의 처분행위에 대항할 수 없다고 판단을 유지하고 있는 데 반해, 미국의 시각예술가권리법과 5Pointz 판결의 경우 제한적인 적용범위와 ‘인정된 지위’요건 등 대륙법계 국가에 비하여 제한적인 보호라 할 수 있지만 저작자의 인격적 이익에 대한 보호가 이루어지고 있다. 새로운 문화현상으로서 모든 그라피티에 대한 보호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하더라도 적어도 소유자의 허락을 얻고 창작되었거나 저작권등록제도 등을 통하여 등록된 그라피티 등에 대해서는 저작자의 인격적 이익의 보호 및 그라피티의 보존 등을 위한 최소한의 보완장치가 필요하고, 반면 소유자의 입장에서도 일정 절차를 통해 저작인격권 침해의 책임에서 자유롭게 하는 보완장치를 통해 양자의 이익을 균형있게 보호하는 입법이 필요할 것이다 Graffiti is one of the street arts that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Early Graffiti was generally illegally written without the building owner or government permission. Graffiti has evolved to include a message of resistance that rebels and disobeys the established culture. Due to the nature of these graffiti, there has been much debate about whether illegally created graffiti is subject to copyright protection. Since our copyright law requires that the work be a representation of human thought or emotion, and that there should be creativity, graffiti can also be protected as a work under copyright law if creativity is acknowledged. Illegality, which is an intrinsic characteristic of graffiti, can not affect the establishment of a work as a discussion of other value standards such as obscenity, behavior to benefit the enemy. In addition, if Graffiti is destroyed or demolished due to demolition or development of the building, there will be a problem of copyright and ownership conflict between the copyright owner of the graffiti and the building owner. In addition to author's property rights, copyright holders have moral rights to protect the personal interests of authors, If there is a conflict between the disposition of the owner as the act of disposition and the right to maintain the identity of the author, the issue of how to interpret and adjust the conflict of rights of both parties arises. This paper analyzed the Supreme Court decision of Dorasan Station case concerning the conflict between ownership and moral rights, the 5Pointz judgment of the United States, the Visual Artist Rights Act, the EU Directive, and the restructuring provisions of the UK Copyright Act. The Supreme Court of Korea ruled that the copyright law can not counteract the disposition of the owner based on the right of integrit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Visual Artist Rights Act and 5Pointz judgment, the limited scope of application and the requirement of 'recognized stature' are protected against the personal interests of the authors although they can be regarded as limited protection compared to the author's right system. Realistically, protection for all graffiti is difficult. However, for graffiti created under the owner's permission or registered, protection is required for the personal interests of the author and preserving graffiti. On the other hand, an owner who meets certain conditions needs a device that is not responsible for infringement of moral rights. In conclusion, it would be necessary to legislate to protect the interests of both parties in a balanced manner.

      • KCI등재후보

        추급권 도입과 관련한 최근 해외 동향 및 사례 연구

        나강(La, Kang)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법학논총 Vol.26 No.3

        예술가의 재판매권이라고도 불리어지는 추급권이란 예술가에게 그들의 작품이 재판매될 때 발생하는 수익에 대해 관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하는데 1920년 프랑스에서 처음 입법화되었다. 1948년 브뤼셀에서 채택된 문학과 예술 작품의 보호를 위한 베른조약 14조의3은 추급권을 미술저작물의 원작품과 작가 및 작곡가의 원고에 대하여 저작자가 그 원작품 및 원고를 양도한 후에 행하여지는 원작품 및 원고의 매매이익에 관여하는 양도불능의 권리라고 규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어문저작물의 작가나 음악저작물의 작곡자 같은 저작자들은 복제권이나 이용허락 및 기타 방법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자신의 저작물로부터 이익을 향유할 수 있는 반면에 미술작품의 저작자는 자신의 저작물인 회화나 조각 등을 한번 매도하면 그것으로 더 이상의 수익을 가질 수 없다. 여타 저작물 저작자와 다른 독특한 성격을 가지는 것이다. 추급권 규정이 없는 한국 저작권법은 미술저작자에게 계속되는 이익의 향유를 보장해 주지 못한다. 우리나라에서 추급권이란 개념이 세간의 주목을 받게 된 것은 한국과 EU간 FTA 협상 과정에서 EU 측이 추급권 문제를 제기하면서 부터라고 할 수 있다. 한.EU FTA는 2011년 5월 4일 비준되었고, 2011년 7월 1일자로 발효되었지만 추급권 관련 조항은 협정 발효 후 2년 이내에 한국에서의 추급권 도입의 적절성과 실행 가능성을 협의하는 것으로 유보되었다. 유예기간이 끝난 현재 추급권 도입의 논의는 당면과제가 되었다. 추급권 도입 문제가 제기된 후 그 동안 EU의 2001년 지침과 2006년 규칙 및 EU 회원국들의 입법례 등에 관하여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추급권 도입 문제에 대해 완벽하게 준비되었다고 하기는 어려울 듯 하다. EU의 2006년 규칙 이후 EU 회원국에서 주목할 만한 몇 가지 변화와 법원의 결정들이 있었다. 또한 미국은 예술가의 재판매권 관련해서 연방법 제정을 시도해 왔다. 본고에서는 주로 추급권과 관련한 영국, 프랑스, 미국 등 해외 국가들의 최근 동향과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프랑스와 미국에서는 추급권 규정의 위헌성 논란이 있었고 각국의 법원들이 이에 대해 주목할 만한 판결을 내렸다. 각국 법원의 판단과 해당 국가들의 입법과정 등을 살펴봄으로써 추급권 문제에 대한 근거와 해결책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저작권 제한의 규정 체계 개선에 관한 소고 : 저작인격권에 대한 공정이용의 확대 적용을 중심으로

        나강(La Kang)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60 No.1

        디지털 시대에 있저작권을 둘러싼 환경은 급격하게 변화해 왔으며, 최근 제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흐름은 이를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하지만 저작권 관련 법제도는 이러한 변화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최근의 디지털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한 저작권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현재의 저작권 제한 규정 체계는 새로운 변화를 모색해야 할 시점이 되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한 급격한 저작권 관련 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의 저작권 제한의 규정 체계를 개선하고 공정이용의 저작인격권에의 확대 적용을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전면적인 규정 체계의 개선이 바람직하겠지만 최소한 공정이용에 해당하는 이용행위로서 저작자의 명예훼손 등 직접적인 인격적 이익의 침해가 없거나 재산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상업적 목적의 저작물, 업무상 저작물 등에 대한 면책규정의 도입 등이 필요할 것이다. 이로써 문화 및 관련 산업의 발전을 궁극적 목적으로 하고 있는 저작권법의 목적에도 부합하게 될 것이며 저작물 자유이용의 활성화를 통하여 저작자의 이익과 저작물 이용자로서 시민의 이익에 대한 균형적인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In the digital age, the environment surrounding copyright has changed dramatically. The recent tren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ccelerating the change. The copyright law system can not catch up with the pace of change. Due to the recent rapid changes in the copyright environment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present copyright restriction system has become a time to seek new changes. This study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regulation system of current copyright restrictions and to extend the use of fair use to moral rights in order to cope with rapid changes in the copyright related environment. While a overall revision of the system would be desirable, at the very leas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n exemption regulation for commercial purpose work and works made for hire in which property value has a relative importance and there is no violation of direct personal interests such as defamation. The introduction of immunity regulations will also meet the purpose of our copyright law, which is ultimately aimed at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related industries, and It will activate the free use of the works. Ultimately, the interests of the authors and the citizens interests as users of the works can be balanced.

      • KCI등재

        클라우드 서비스제공자의 책임제한에 관한 연구

        나강(La, Kang)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법학논총 Vol.26 No.1

        최근 네트워크의 발전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확산에 따라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이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원의 정의에 의하면, 최소한의 관리 노력 또는 서비스 제공자의 개입으로 신속하게 제공되고 배포될 수 있는 컴퓨팅 자원들(네트워크, 서버, 스토리지,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을 하나의 공유 풀에 어디서든지 편리하게 수요자 요구에 따라 네트워크 접속을 할 수 있는 모델을 말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서 이용자는 필요한 서비스를 확장할 수 있고, 정보시스템을 유지하는 내부비용과 소프트웨어 구입비용 등을 줄일 수 있다. 이런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아직 명확하게 해결되지 않은 지적재산권 관련 법적 쟁점들을 가지고 있다. 본고는 온라인서비스제공자로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의 법적 책임문제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한EU FTA와 한미FTA의 이행을 위한 개정 저작권법은, 온라인서비스제공자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면책을 위한 요건들을 열거하고 있다. 온라인서비스제공자가 법적 책임을 면하기 위해서는 저작권법상 면책요건들을 충족시켜야 한다. 더하여 저작권법은 특별한 유형의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기술적 조치 의무를 부과하고 있는데, 이 조항은 일반 유형의 온라인서비스제공자와 저작권침해가 만연한 서비스제공자를 구분하여 부가적인 주의의무를 부과하기 위한 규정이다.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법적 책임과 관련하여, 클라우드 서비스제공자는 저작권법상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이용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는 호스팅서비스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특수한 유형의 온라인서비스제공자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견해가 지배적이지만, 본고에서는 다른 관점에서 분석해 보았다. P2P나 웹하드 등의 전례에 비추어, 이용자에 의한 저작권 침해가 일어나고 있는 해당 서비스의 실질과 헌법재판소가 제시한 여러 기준들, 침해의 정도 등을 고려하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급속히 성장하고 서비스 형태는 다양해지고 있다.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법적 책임 문제에 대해서도 이러한 성장과 변화에 발맞춰 많은 연구와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Recently, use of cloud computing service is dramatically increasing due to network development and the spread of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official NIST definition, Cloud computing is a model for enabling ubiquitous, convenient, on-demand network access to a shared pool of configurable it resources(e.g., networks, servers, storage, applications and services) that can be rapidly provisioned and released with minimal management effort or service provider interaction. By using cloud computing service, users can expand the service as needed, reduce the internal expenses for maintaining information systems, and reduce the initial cost of purchasing the software. However these kind of advantages, cloud computing has many legal issues not clearly resolved related with intellectual property issue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legal liability of cloud service provider as a online service provider. Under the present Copyright Act amended to execute Korea-European Union FTA and Korea-United States FTA, Online Service Providers are classified by the types and the requirements for indemnification are enumerated. In order to be exempted from the legal liability of online service provider, Online service provider should meet the requirements of Copyright Act. In addition to that, the Copyright Act requires certain special types of online service provider should apply technological measures to their services. It is a provision that differentiate heavily infringing service providers from general type of online service providers and to enjoin more duty of care. Regarding the legal liability of online service provider, cloud service provider can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online service provider and cloud services widely used by users in Korea can be categorized as a type of hosting service under the copyright act. Although the opinion cloud service provider is not classified as a special type of online service provider is predominated, this study is trying to analyze it from different point of view. Judging from precedents of P2P, Webhar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real form of cloud service occurring copyright infringement by user, certain standards given by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a certain degree of infringement. Cloud computing service is rapidly expanding and forms of cloud service are diversifying. Catching up with the growth and change, more researches and changes are needed regarding legal liability of online service provider issue.

      • KCI등재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 제한 규정체계 개선에 대한 소고

        나강(La, Kang)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東亞法學 Vol.- No.80

        디지털 네트워크 환경하에서 콘텐츠와 정보의 유통은 매개자인 온라인서비스제공자가 제공하는 각종 온라인서비스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해당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불법행위에 대하여 직접 침해자가 아닌 온라인서비스제공자는 어떤 법리를 근거로 책임을 물어야 되는가에 대하여 많은 논의가 있어 왔다. 온라인서비스제공자에 대한 법적 책임에 대한 입법은 일정요건을 충족하면 책임을 면제해 주는 미국의 DMCA, 유럽연합의 전자상거래지침 등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 제한 형태의 입법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3년 저작권법에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 제한 규정이 도입된 이후 몇 차례의 개정을 거쳐, 2011년 저작권법에서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유형을 세분하고 유형별 면책요건을 규정하는 DMCA와 매우 유사한 규정체계를 취하게 되었다. 한편, 저작권법상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 제한 규정과는 별도로 2007년 정보통신망법을 시작으로 게임산업진흥법, 아동청소년성보호법, 전기통신사업법 등에서 불법정보에 대하여 형사책임 및 행정적 제재를 부과하는 개별 입법들이 계속되는 등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 제한과 더불어 책임을 확대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해외의 입법례들은 원칙적으로 온라인서비스제공자에게 책임을 부과할 때 인식하지 못한 정보에 대해서는 책임을 부과하지 않도록 하고 있으며, 사전검열이 될 수 있는 필터링 기술 등 일반적 감시 의무를 부과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경우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 제한 규정에 더하여 책임을 확대하고 일반적 감시의무라 볼 수 있는 개별 입법들이 이어지며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 제한의 규정 취지를 퇴색시키고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혼란을 야기하는 규정체계가 되고 있다는 점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디지털 시대의 인터넷은 소통의 공간이며 자유로운 정보 유통의 공간이다. 일반적 감시 의무의 부과는 사전검열로 인한 폐해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고 이러한 폐해는 불법으로 인한 폐해 못지않게 우리 사회와 문화에 중대한 피해가 될 수 있으며 자유로운 정보의 유통과 소통이라는 인터넷의 특성과도 배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 감시 의무를 부과하는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일반적 감시 의무를 중심으로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 제한에 관한 우리 법상 규정체계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해외의 입법례 및 판례 등을 분석해 봄으로서 현행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 제한 규정체계의 개선을 모색해 본다. The distribution of contents and information under the digital network environment is carried out through various online services provided by an online service providers as a mediator. There has been much debate as to why online service provider who is not a direct infringer should bear responsibility for the illegal activities that occur in the service. Legislation on legal liability to online service providers has emerged as a legislative form of liability for online service providers who exempt them from liability under certain conditions. The DMCA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EU e-commerce directive are such legislations. In Korea, the limitation of liability of online service providers was introduced in copyright law in 2003. After several revisions, In 2011, the Copyright law has taken a very similar set of rules to the DMCA that subdivides the types of online service providers and sets out the requirements for exemptions by type.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limitation of liability of online service provider in the copyright law, individual legislations that imposed criminal liability and administrative sanctions against illegal information such as Game Industry Promotion Act, Child Juvenile Protection Act, There is a tendency to expand liability along with online service provider liability restrictions. In principle, foreign legislations prohibit liability for information that is not recognized when liability is imposed on online service providers, and prohibit the imposition of general monitoring obligation, such as filtering techniques that may be pre-screened. However, in Korea, in addition to the liability limitations of the online service providers, individual legislations are being followed, which can be seen as a broadening of liability and a general monitoring obligation. This phenomenon needs to be improved because it fades the intention of introducing online service provider liability restrictions and is becoming a confusing regulatory framework for online service providers. The Internet in the digital age is a space for communication and a space for free information distribution. The imposition of general monitoring obligation may create harm caused by pre-screening. In addition, it does not compatibl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such as free distribution and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For these reasons, imposing a general monitoring obligation should be prohibited. In this study, I analyze the regulation system and problems of Korea law regarding the limitation of liability of online service providers and the legislative cases and precedents of foreign countries, and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current liability limitation system of online service providers in Korea focusing on general monitoring obligation.

      • KCI등재후보

        일시적 복제에 관한 소고

        나강(La Kang)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14 法學論文集 Vol.38 No.2

        Under the internet and mobile network circumstances, temporary reproduction be made inevitably by using digital works. In the past, under the former copyright act, the issue whether the temporary reproduction can be included the scope of reproduction was a highly controversial issue. After the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amended copyright act clarified that temporary reproduction shall be included the scope of the reproduction by amending the definition provision. The main issue of discussion has changed from the recognition issue of temporary reproduction to the issue that how can it be protected to what extent and what can be exceptions and limitations. But there are still remaining ambiguous concepts and terms on the amended copyright act. Legislations and rulings can be used to establish the specific standards regarding temporary reproduction have yet to be set. Recently,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and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 made rulings regarding temporary reproduction. Seoul Central District Court's ruling is the first ruling of temporary reproduction under the amended copyright act after the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Court's ruling addresses classic issue regarding temporary reproduction to RAM and other issues highly controversial.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 made ruling that temporary reproduction made from ordinary web browsing does not infringe copyright. Article 5 (1) of Directive 2001/29/EC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that the copies on the user's computer screen and the copies in the internet cache of that computer's hard disk, made by an end-user in the course of viewing a website, satisfy the conditions as well as the conditions laid down in Article 5 (5) of that directive, and that they may therefore be made without the authorization of the copyright holders. When similar cases will occur, these rulings can be considered to establish the specific standards regarding temporary repro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