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目連傳>의 小說的 傳承樣相 硏究 : 孝行 모티브를 中心으로

        김효림 용인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9 인문사회논총 Vol.- No.16

        조선 후기 사회는 불교에 대한 탄압이 매우 강하던 시기였다. 그러한 상황에서 불교가 살아남기 위한 방법으로 택한 것은 불교사상을 우회적으로 표현하거나 유교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사상을 받아들이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효’라는 것은 유교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덕목이다. 불교에서는 이러한 사상을 내세워 전승할 수밖에 없었고, <목련전>은 효행을 주제로 한 대표적인 작품이다. 그러나 조선 후기 불교에 대한 탄압이 더욱 심해지자 <목련전>은 불교적 색채를 약화시켜 다양한 전승양상을 보인다. 그래서 <심청전>과 같은 작품에 영향을 주게 된 것이다. <심청전>은 심청의 효행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소설로서 목련의 효행을 다룬 <목련전>과 닮았다. 본고는 <심청전>과 <목련전>의 효행서사구조를 비교하여 두 작품의 상관성을 찾아내고자 했다. 이것은 <목련전>이 후대의 소설작품에 끼친 영향관계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목련전>은 불전계 효행소설로서 ‘효’를 주제로 했기 때문에 불교 탄압이 심했던 시대에도 불교의 사상을 전파할 수 있었다. There was a tremendous repression on Buddhism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in this circumstance, the only way for buddhism to survive was to adopt some ideas from Confucianism or to express Buddhist ideas in the indirect way. For example, "filial piety" has been the most important virtue in Confucianism. Buddhism couldn't help handing down its ideas in the guise of "filial piety", and <目連傳(Moklyunjun)> was a representative work whose theme is about the filial piety. However, as the repression on the Buddhism became more severe in the later Chosun dynasty, <目連傳(Moklyunjun)> began to show more diversified traditional forms with the dilution of the Buddhist ideas. This work influenced <沈淸傳(Simchungjun)>. Thus <沈淸傳(Simchungjun)> which was the novel focusing on the filial piety of Simchung had similarity with <目連傳(Moklyunjun)> focusing on the filial piety of Moklyun. This thesis aims to find out the mutual relations through comparison between two filial piety epic structures of <沈淸傳(Simchungjun)> and <目連傳(Moklyunjun)>. And this comparison can make us hypothesize the influence of <目連傳(Moklyunjun)> to the later novels. As the conclusion, <目連傳(Moklyunjun)> could spread the ideas of Buddhism despite of the severe repression on Buddhism because of its adaption of filial piety as a the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