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여 林川郡 城隍祠와 庾黔弼

        김효경(Kim, Hyo-gyou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08 역사민속학 Vol.- No.26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에 위치한 成興山城 안에 고려 太師 庾黔弼을 모신 사우가 있다. 이 사우는 고려시대로부터 행정관청에서 주관하던 城隍祠로 추정된다. 임천군은 통일신라시대로부터 국가 祀典의 하나인 小祀의 제장으로 인식되어 종교적인 공간으로 인식되었고, 금강의 주요 물길과 직접 연결되어 군사적, 행정적 요충지로 백제시대로부터 부각되었다. 이러한 토대 속에 고려의 후 삼국 통일 후 요구되는 사회적인 욕구 즉 지역 내에 면면히 흐르고 있던 후백제의 극복이라는 정치적 측면까지 복합되면서 유금필이라는 인물이 신령으로 좌정하게 된다. 후백제의 잔당의 횡포로 인해 피폐해진 지역사회를 회복시키는 공을 세웠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지역의 신령은 인간적인 치적보다는 종교적인 심성을 자극할 수 있는 것이 계기가 되어야 한다. 많은 지역에서 실존인물이 신령으로 좌정하는 경우에 그의 역사적 인물평이나 공적 보다는 지역민에 대한 선행이 원인이 되었다. 유금필 역시 동일한 차원에서 주신으로 봉안된 것으로 여겨진다. 백성에 대한 진휼, 즉 사회적으로 가장 절실한 문제를 극복해준 존재였기에 신령으로 탄생된 것이다. 유금필을 모신 성황사는 변화를 겪으면서도 지금까지 존속되었다. 『東國輿地勝覽』(15세기 중반)에는 백제 때 축성된 성흥산성 안에 위치했다. 그러나 『與地圖書』(18세기 중반)에는 산성 밖으로 옮겨지고 건물로 이루어진 성황사에서 제단의 형태인 성황단으로 바뀐다. 『湖西邑誌』(19세기 후반)에 수록된 지방도에 성황사와 성황단 모두 표기되어 있다. 산성 안의 성황사에는 유금필 태사가 모셔져 있는데, 주민들 사이에서 오래도록 숭앙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렇다면 성황단이 건립된 후에도 여전히 성황사가 존속했으며, 그 신당의 主神은 여전히 유금필이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 남아 있는 성흥산성 안의 유금필 사당은 고려시대로부터 조선후기까지 줄곧 관치제가 베풀어지던 성황사이며, 그 주신은 고려의 개국공신이자 태사직을 수행한 유금필이다. 현재의 사당 안에는 유금필과 더불어 그 가족이 신령으로 봉안되어 있다. 부인을 비롯하여 아들 1명, 딸 2명이 봉안되어 있는데, 이것은 실제의 가족관계와는 무관하다. 그러나 부모와 아들, 딸로 구성된 조화로운 가족구성원은 화평하고, 안정된 가정의 본보기가 된다. 이러한 신령의 존재는 결국 화평과 안정을 이끄는 존재로 간주되며, 그의 영향력 아래에 있는 군민들은 그러한 신령의 영향속에서 동일한 화평의 세계를 맞게 된다. 이처럼 신령으로 탄생된 유금필은 그가 지닌 인간적인 武人으로서의 모습이 아닌 주민의 어려움을 돌보고, 지역을 돌보는 자애로운 성격을 지니게 된다. 부인을 비롯하여 아들과 두 딸을 거느린 여느 가정의 가장처럼 고을의 좌장이 되어 지역신으로 숭앙되고 있다.

      • KCI등재

        조선 왕실의 기양의례

        김효경(Kim, Hyo-Gyou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09 역사민속학 Vol.- No.30

        이 연구는 왕실에서 운이 좋지 않거나 액이 닥치거나 괴이한 일이 발생했을 때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 행한 移御를 통해 왕실의례 생활의 한 측면을 살피고자 한다. 어느 시대나 막론하고 운이 좋지 않거나 액이 닥치거나 괴이한 일이 발생했을 때에 다양한 행위를 통해 위기를 벗어나고자 한다. 조선 왕실에서는 왕실 구성원의 거처를 바꿈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려했다. 이것이 ‘移御’이다. 왕을 비롯하여 왕실 가족 구성원의 안위는 국가의 안위와 더불어 무엇보다 중시된다. 때문에 이어는 당시 왕실에서 꺼리던 다양한 원인이 이유가 되어 베풀어졌다. 이어의 이유는 사나운 運數, 감기로부터 전염병에 이르기까지 사소하거나 중증의 疾病, 궁궐 안에서의 왕실 가족원의 죽음, 變故 등이다. 개인의 사나운 운수나 공간이 지닌 불미스러움이 빌미가 되어 탈이 날 수 있다는 관념은 시대가 갖고 있는 한계이다. 그 탈은 질병이나 죽음으로 이어지기에 반드시 극복해야 했다. 관상감이 택한 길한 날짜와 방위로 이어하지만 이어를 행할 때는 세 단계로 나누어 의례를 베풀었다. 이들 의례는 낯선 곳의 생활이 지닌 불완전성을 극복하기 위해 매 순간마다 위험을 막는 것이다. 이것이 비록 국가 祀典에는 수록되지 않았지만 祈禳과 관련한 의례가 辨祀로 처리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비유교적인 의례가 활용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실제 이어와 관련한 의례는 유교식 의례가 아닌 古例에 의거한 다양한 의례들이 사용되었다. 中宗 대에 이르면 유교적 이념인 德만이 재변을 이겨낼 수 있다는 名分論이 강화되면서 위기론의 입장에서 베풀어진 이러한 의례들은 모두 淫祀로 거부되기 시작한다. 그러나 숙종 대까지는 수시로 되풀이되어 행해졌다. 결국 위기론의 입장이 강조되면서 관련 의례는 소멸되었지만 이어는 국말까지 존속되었다. 이어가 조선전기로부터 국말까지 줄곧 유지되었던 것은 그것이 지닌 효험과 관련 깊다. 해당 공간이 지닌 위험이나 불운으로부터 벗어나 길하고, 깨끗한 공간으로 옮기는 것 자체가 심리적으로 편안해지는 계기가 된다. 더불어 다양한 원칙과 규제로써는 해결될 수 없는 삶의 영역에서 야기되는 불확실하고 불완전한 삶을 질서정연한 삶으로 바꾸는 의례로 이어는 필요한 것이었다. This study is about one side of royal rituals, 移御 (moving King’s dwelling place) which is for overcoming disaster, misfortune or strange affairs. People would get out of crisis through various actions when unlucky or bad things happen regardless of periods. Therefore, royal family tried to solve the problem with changing dwelling place in royal family of Joseon Dynasty. It is called 移御 (moving King’s dwelling place). Security of royal family member including king is important with national security. Therefore, 移御 (moving King"s dwelling place) was happened because of various reasons which were avoided the royal family at that time. The reasons of 移御 (moving King’s dwelling place) are epidemic which is from small to serious, death of royal family member in the palace or accident. The conception, personal tough fortune could come out a trouble, is limit in the idealistic times. As the trouble was followed at disease or death, so it had to certainly overcome. The government office where took care of astronomy and geography set good time and direction for 移御 (moving King’s dwelling place), and the ritual was given as three steps. Those rituals are to overcome incompleteness that life of strange place and to prevent risk in every moment. Even though this ritual was not in the national dictionary, ritual which is related to Affliction was treated Byeonsa (special ritual), so it could apply as confusional ritual. Actually, ritual which is related to 移御 (moving King’s dwelling place) was used various rituals on the basis of Gorye (Ritual which came down from the past), not from confusional ritual. Up to era of King Jungjong (中宗), 名分論(moral obligation) that virtue could get over from accident by disaster was strengthened, so it was refused all of those rituals as 淫祀 (Umsa, Ritual for bad spirit). However, it was often held repletely until era of King Sokjong. After all, ritual which is related to 名分論(moral obligation) while crisis was more emphasized, but 移御 (moving King’s dwelling place) was continued until the end of country. The reason why 移御 (moving King"s dwelling place) could be continued from the early to the end of Joseon Dynasty was that it has deep connection with its efficacy. Moving the place from danger or bad luck to good and clean is chance to feel comfortable psychologically. 移御 (moving King’s dwelling place) was necessary as the ritual which incomplete and uncertain life that couldn’t solve in the area of life changes the life of apple-pie order.

      • KCI등재

        『淸臺日記』를 통해서 본 18세기 士族의 편지 往來

        김효경(Kim Hyo-Gyoung) 한국사학회 2007 史學硏究 Vol.- No.88

        『淸臺日記』는 권상일(1679~1759)이 23세 때부터 생을 마감할 때까지 50여 년간 쓴 일기이다. 이 일기에는 그가 평생에 걸쳐 살아가면서 주변 사람들과 주고받은 편지와 편지에 대한 기사가 1,680여건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서 권상일이 1710년 증광시 병과에 합격하였을 때와 1706년과 1712년에 각각 첫째 부인ㆍ어머니가 사망하였을 때 특히 편지를 많이 받았다. 일기에 편지 원문이 수록된 것은 모두 5통인 반면 『청대전집』에는 160여 통의 편지가 수록되어 있었다. 일기와 문집 모두 이만부ㆍ이익ㆍ황익재ㆍ오치중과 주고받은 편지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일기에 수록된 편지 기사를 기준으로 내용을 분류해 보면 역병으로부터 무탈한지를 묻는 안부, 喪事에 대한 慰問이 주를 이루었다. 특히 18세기 전반기에는 전국적으로 역병이 대단히 심하였으므로 편지 기사의 상당부분이 바로 역병에 대해 무탈한지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었다. 권상일의 어머니와 아내, 장인, 처남, 장모 등이 역병으로 사망하거나 그로 인해 자주 주거지를 옮겨 다녔기 때문에 이러한 역병으로부터 안전한지 여부가 가장 중요한 관심사였다. 또한 역병으로 인해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으므로 자연스럽게 상사에 대한 위문이 잦게 되었다. 한편, 문집은 일기와는 수록내용이 조금 달랐다. 이것은 문집의 편찬의도에 일정부분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문집에는 성리학 사상관련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그 외에도 책 간행이나 글을 지어달라는 요청, 喪事의 복제문제 등이 있다. 일기에 비하면 문집은 다소 무겁고 딱딱한 내용이 중심을 이루었다. 권상일이 편지를 주고받은 사람들은 주로 가족, 친인척, 친구나 지인, 관리 등이었다. 가족 중에는 주로 부친ㆍ손부ㆍ손녀와 주고받았고 의외로 아들과는 편지를 주고받은 것은 거의 없었다. 친인척으로는 장모ㆍ처남ㆍ자식의 사돈ㆍ숙부ㆍ종질 등이며, 친구나 지인은 문집에 수록된 인물과 거의 일치할 만큼 많다. 젊은 시절에는 이만부ㆍ오치중ㆍ고뢰여ㆍ한광도 등과, 중반 이후로는 정옥ㆍ고유ㆍ이중구 등과 편지 왕래가 빈번하였으며, 황익재와 이익은 평생에 걸쳐 꾸준히 편지를 주고받았다. 관리로는 상주를 비롯해서 인근 고을 지방관, 무신 관료와 교유하였다. 권상일은 편지를 통해서 가족과 친척들과 소식을 전하거나 안부를 묻는 것은 물론 그들과의 인간적인 유대를 돈독히 하였다. 첫째 부인 김씨가 사망한 후에도 장모나 처남에게 끊임없이 편지를 보내 안부를 묻는 것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친구나 지인, 사환과 동료 등과의 관계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직접 방문하여 서로가 담소를 나누며 정을 쌓거나 학문적으로 교유를 하기도 하였지만 편지라는 매개체를 통해서 끊임없이 인간적인 상호관계를 돈독하게 다짐은 물론 지속적인 정보 소통을 하는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Cheongdae Ilgi』 is Gwon Sang Il (1679~1759)'s diary covering more than 50 years, from his 23 to death. In the diary, 1,680 or more pieces, including letters he had corresponded with acquaintances throughout his life and articles about the letters, are collected. He received especially more letters when passed state examination (Byung class (丙科) of Jeunggwang examination(增廣試)) in 1710 and his first wife and mother died in 1706 and 1712, respectively. Five letters are recorded in full in Cheongdae Ilgi while 『Cheongdae Jeonjip』 gave more than 160 letters in full. Much of articles in both Cheongdae Ilgi and Cheongdae Jeonjip are letters corresponded with Lee Man Bu, Lee Ik, Hwang Ik Jae and Oh Chi Jung. When classifying the letters in Cheongdae Ilgi by contents, main contents are worrying about safety from plague and conveying the message of mourning. In the early years of 18th century, plagues had been so prevalent that even the mother, wife, father-in-law, mother-in-law and brother-in-law died of plagues or moved often their residences. Naturally, many letters asked after safety from plague and expressed mourning message to whom died of plague. However, the contents of Cheongdae Jeonjip is a bit different from those of Cheongdae Ilgi. This seems to be affected somewhat by the editing intend of Cheongdae Jeonjip. Main content of the collection is the ideology related to Sung Confucianism, with other minor contents such as requests for book publication, writing request and dress regulation for mourning. Most contents of Cheongdae complete collection are serious and classical compared with Cheongdae Ilgi. People with whom Gwon Sang Il corresponded chiefly are his family, relatives, friends, acquaintances, government officials and fellows. Among family, he corresponded with his father, the wives of his grandsons and granddaughters, unexpectedly little with sons. Relatives include mother-in-law, brother-in-law, in-laws of childe, uncle, a male cousin´s son, etc. There are so many friends or acquaintances that they are almost same with the people recorded in the collection. He exchanged letters frequently with Lee Man Bu, Oh Chi Jung, Go Roi Yeo and Han Gwang Do while young, Jeong Ok, Go You, Lee Jung Gu and others in his middle-age. Hwang Ik Jae and Lee Ik were his life long corresponding partners. Government officials with whom he exchanged letters are military officials and local officials in neighboring districts including Sangju. Gwon Sang Il not only conveyed news to or asked after family and relatives but also strengthened human relationship with them. It could be checked out that, by letter, he ceaselessly inquired after mother-in-law and brother-in-law after his wife's death. So did he with friends, acquaintances, government officials and fellows. Of course, he also visited them to have a pleasant chat or keep academic company interchange but he used letter as a medium to maintain sincere interrelationship constantly as well as a means for continuous information exchange.

      • KCI등재

        조선 왕실의 歲時風俗과 액막이

        김효경(Kim, Hyo-Gyou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10 역사민속학 Vol.- No.33

        일년을 단위로 반복적으로 베푸는 세시풍속은 한 해에 이루어지기를 소망하는 다양한 바람이 담겨져 있다 ‘?邪進慶’ 혹은 ‘除厄招福’을 소망하듯이 벽사는 우리네 삶에 중요한 것 중 하나이다. 조선의 왕실에서도 때에 따라 액막이 의례를 베풀었다. 미래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복된 날들로 만들기 위한 액막이는 주로 시간의 분기점에 해당되는 交點에 시행되었다. 정월 초하루, 正初, 端午, 冬至, 交年, 除夕, 臘日 등은 묵은해와 새해, 낮과 밤의 교차 등의 新舊를 구분 짓는 중요한 분기점이다. 이들 시간은 변화의 순간으로 혹여 라도 잡된 것이 침입하여 왕실의 안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을 이에 궁궐 대문으로부터 벽, 문설주에 이르기까지 귀신을 막는 문배로 치장한다. 궁궐은 禁宮으로 왕실 가족구성원의 안전을 위해서 무엇보다 우선 보호되어야 하는 공간이다. 왕실은 액막이 의례와 관련한 물건을 라는 형식을 통해 爲民과 仁政을 베푼다. 액을 막는 여러 도구들 門排, 艾虎, 端午符籍등의 주술적인 도구와 煎藥, 臘藥 등의 약의 하사가 대표적이다. 하늘의 시간인 때[時]에 맞추어 액막이 물건을 반하하여 그들을 보호하는 국왕의 모습을 보임으로써 임금은 백성의 고통을 함께 나누는 종교적 지도자가 된다. 頒下는 왕실의례가 민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한다. 반하품은 특별한 상징을 지닌다. 그 자체만으로도 모방의 대상이 된다. 다양한 액막이 의례는 비유교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폐지되기에 이른다. 비록 왕실에서는 사라졌지만 민간에서는 오히려 더욱 더 활성화되기도 했다. 동짓날 팥죽 뿌리기, 애호, 도판, 도지의 활용 등이 그러하다. 민중은 자기화의 과정을 통해 오늘날까지 민속으로 자리매김했다. 왕실의 유교화와는 반대로 민간의 액막이 의례는 왕실의 의례까지를 수용하여 다양한 삶의 질곡에 맞서기 다변화되었다. 왕실에서는 액막이 의례를 正道가 아니므로 중단하는 예가 빈번했다. 유교화의 진행으로 의례가 유교적 이념으로 대체되어 가기도 했다. 폐지되기 보다는 축소, 변화를 통해 변화를 추구했다. 지극히 개인적인 부분은 존속되는 경향이 강하며, 왕실 전체의 규모와 관련한 것은 폐지되었다. 비록 왕실에서는 사라졌지만 민간에서는 오히려 더욱 더 활성화되기도 했다. 歲時風俗(the annual customs) which is held repeatedly in the unit of one year, is contained diverse hopes for being achieved in one year. As "?邪進慶(Byeoksajingyeong)" or "除厄招福(Jeaekchobok)" is wished, 度厄(affliction) is one of what is important in our life. Even in the Royal family of Joseon, the ceremony of Aekmaki was held according to time. Aekrnaki, which aims to overcome a fear of future and to make it fortunate days, was performed mainly at the intersection point, which corresponds to the junction of time. Lunar New Year"s Day, the beginning in 正初(January), 端午(Dano, the fifth day of the fifth month of the year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冬至(Dongji, winter solstice), 交年(Gyonyeon), 除夕(Jeseok) and 臘日(Napil) are the important intersection points, which divide the old and the new such as the junction in the old year & new year and in day & night. As these days are the moment of a change, a problem may happen to safety of Royal family of being invaded by what is vulgar in case. Accordingly, from the gate in the royal palace to wall and Munseolju, those are decorated with Munbae of preventing ghost. As the royal palace is 禁宮(Geumgung), it is the space that needs to be preferentially protected for safety of Royal family members. The Royal family gives 爲民(Wimin) and 仁政(Injeong) through a form of 頒下(Banha) in goods related to the ceremony of Aekmaki. Several tools of preventing 厄(misfortune) are typical in magical tools such as 門排(Munbae), 艾虎(Yeho), and 端午符籍(Danobujeok) and in the gift of drugs such as 煎藥(Jeonyak) and 臘藥(Napyak). The king becomes the religious leader who shares the people"s adversity, by showing the king"s image of protecting them through Banha in goods of Aekmaki in line with the time, which is the one of the heaven. Banha also becomes the direct cause for which Royal familial ceremony has influence upon the folks. Banhapum has special symbol. It just itself becomes a target of imitation. Diverse Aekmaki ceremonies were regarded as non-Confucian, thereby leading to be abolished. Even if having disappeared in Royal family, it was further vitalized rather as well. Those are so in sprinkling Patjuk(Red bean soup) on winter solstice, and applying Aeho, Dopan, and Doji. Through the people"s process of personalization, it has been positioned as folklore until toda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