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한국의 지방별 일사량

        김효경,Kim, Hyo-Gyeong 대한설비공학회 1976 설비저널 Vol.5 No.3

        Based on the measurement data on Radiation on a Horizontal Surface at 84 different areas in South Korea which were collected and recorded by the Central Meteorological Office, the average values in the period of 5 years from 1971 thru 1975 at 12 particular areas of Gangreung, Gyeongju, Gwangju, Gimhae, Mogpo, Seoul, Iri, Jeju, Jinju, Cheongju and Chungju are indicated in this report. For above 12 areas the following data have been obtained and are indicated in each tables. Annual totalization of Radiation on a Horizontal Surface and its yearly averaged daily totalization$cdots$Table 1. Monthly totalization of Radiation on a Horizontal Surface and its monthly averaged daily totalization$cdots$Table 2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daily totalization of Radiation on a Horizontal Surface$cdots$Table 3 Daily variation of monthly averaged Radiation on a Horizontal Surface$cdots$Table 4 thru 15 Decade averaged Radiation on a Horizontal Surface$cdots$Table 16 thru 27

      • KCI등재후보

        간찰에 나타나는 ‘謹空’의 의미 고찰

        김효경(Kim Hyo-gyeo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장서각 Vol.0 No.24

        본 논고는 간찰의 결사에 사용되는 ‘謹空’ 표현에 대해 실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아울러 근공의 의미를 고찰해보았다. 중국의 경우는 이미 書儀가 본격적으로 발달되기 시작한 唐代부터 서의 속에 근공이 쓰였고, 특히 宋代 『司馬氏書儀』에 와서 정착되어 사용되었다. 일본의 경우는 엔닌(圓仁)의 『入唐求法巡禮行記』 속에 들어 있는 간찰을 통해서 唐代 간찰의 양식에 영향을 받았음은 물론 이미 9세기부터 간찰에서 근공 표현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경우는 중국과 일본처럼 그와 비슷한 시기의 자료에서 근공의 표현을 찾을 수는 없었지만 조선시대에 간행된 가례서의 慰狀과 간찰을 통해서 근공이 사용된 실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일본과 우리나라에 있어서 근공의 사용은 중국 당대 서의의 영향을 받아들인 결과이고, 平交 이상 즉 尊丈의 경우에 사용되었다. 근공의 의미는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 첫 번째는 空拜手를 나타내는 것으로 존경의 표시이고, 두 번째는 以下餘白의 의미이다. 마지막은 상대방의 답장을 기대한다[批反]는 의미로 보는 견해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의 문헌에 사용된 근공이 실제로 앞의 세 가지 의미 중에 정확하게 어느 경우에 해당하는지는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이하여백의 의미도 타당성이 많지만, 보내는 사람이 사연을 다 적었지만 그래도 상대방에게 충분한 뜻을 다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간찰을 끝맺으면서 상대방의 답을 기다린다는 세번째 견해가 가장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된다. This work looked at the expressions of ‘Geun-Gong’ (letter endings) found at the end of traditional letters. Its use in the literature of China, Japan and Korea, as well as its meaning, was examined. In China, Geun-Gong began appearing in letters during the Tang Dynasty when letter structure began to take shape, and later in Sa-Ma-Ssi-Seo-Eui(a history book written by Sa-Ma-Ssi during the Song Dynasty), in particular, its use became more entrenched. In Japan, Ip-Dang-Gu-Beop-Soon-Rye-Haeng-Gi (a travel log written by a Japanese monk after touring sacred places of Buddhism in China during the Tang Dynasty) by Ennin includes a letter with its letter style and Geun-Gong expressions adopted from the Tang Dynasty. In Korea, the use of Geun-Gong in literature during the same time period is not found, but ‘Wi-Jang’ (a condolence letter) in ‘Ga-Rye-Seo’ (a family formality guide) and letters found during the Joseon Dynasty, show that Geun-Gong was used at that time. The use of Geun-Gong in Japan and Korea is the result of influence from the letter structure of the Tang Dynasty of China and it was used in letters written between acquaintances and to the elderly. The meaning of Geun-Gong is three-fold. First, it indicates a polite letter ending in order to show respect to the recipient. Second, it means ‘an intentionally blank page.’ Third, Geun-Gong was added to show that the writer is “awaiting a reply” from whom he or she is writing to. However, it is difficult to know for certain from Geun-Gong found in literature in China, Japan and Korea, which usage was adopted. The second meaning ‘an intentionally blank page’ seems very plausible, but the third meaning seems most convincing: a person writing a letter wants to hear from whomever he or she is writing to.

      • KCI등재

        西海의 신령이 된 田橫

        김효경(Kim Hyo-Gyeo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11 역사민속학 Vol.35 No.-

        중국의 전국시대의 난세를 험난하게 살아야 했던 齊나라의 장수이자 제왕이었던 전횡이 한반도의 서해안 최극단 섬들인 於靑島, 外煙島, 鹿島 등의 마을 제당의 신령으로 모셔져 있다. 전횡은 不事二君의 정조를 지키며 죽음을 택한 인물이기에 麗末蘇初로부터 줄곧 관심의 대상이었다. 성리학에서 강조하는 節義와 忠情의 상징의 표상이었다. 兩亂과 명청 교체기를 겪으면서 명나라에 대한 再造之恩의 분위기 속에서 명나라와 중국 영웅에 대한 숭배가 일어났다. 전횡에 대한 관심도 그와 더불어 다시 한번 부각된다. 儒林이 그를 위해 사우를 건립하고자 한 것과 같이 민간에서는 그를 마을의 신령으로 좌정케 했다. 한반도보다는 산동반도에 가까운 이들 섬은 조선중기 이후에 嗚呼島 혹은 田橫島라 불렀다. 오호도가 중국의 용어라면, 전횡도는 조선의 용어이다. 조선전기에는 空島정책으로 인해 섬에 사람이 거주하지 못하도록 했다. 그러나 서해의 최극단의 방어를 위해 이들 섬에 烽燧를 건립했고, 인근지역에서 봉군을 모아 들여보냈다. 조선중기 이후 避役이나 罪를 피하기 위해 섬들로 이주하기 시작하면서 섬에 사람이 거주하기 시작했다. 이들 섬도 예외는 아니었을 것이다. 이들 섬은 모두 농지가 부족하여 농업이 발달할 수 없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섬 생활의 가장 큰 문제는 식량난이었다. 이를 타개한 인물로 전횡이 부각된다. 稅穀船을 부채로 끌어들여 그 곡식을 빼앗아 섬사람에게 나누어 주는 善政을 베풀었고, 그의 부하는 장군을 하루라도 더 연명시키기 위해 500명이 한꺼번에 죽음을 맞이했다. 이러한 전설에는 극심한 식량난을 겪어야 했던 섬사람의 삶의 질곡을 잘 드러난다. 이는 전횡의 역사적 평가와는 전혀 다른 것으로, 민간의 종교적 열망을 담고 있다. 선정을 베푼 전횡을 마을의 신령으로 숭배하면서 마을의 제사 구조는 산신제-전횡제-하당제로 구조화된다. 농업의 신령인 산신과 더불어 새로운 종교적 목적을 위해 전횡이 모셔졌기에 상당제가 산신제-전횡장군제로 분화된 것이다. 새로운 종교적 열망을 위한 전횡은 지속적으로 발발하는 어업과 관련해서 어업의 신으로 숭배된다. 선주와 고래잡이가 중심이 되어 전횡에게 치제했다. 전횡은 새롭게 부각되는 당제의 어업신으로 좌정한 것이다. Tian Heng, the general and emperor of Qi(齊) State who lived through the turmoils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of China, is worshiped as a divine spirit at a village shrine in the westernmost islands of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Eocheong(於靑島), Oiyeon(外烟島), and Nok Island(廘島). He chose death over the order to serve two kings and thus attracted ongoing attention from the end of Goryeo to the beginning of Joseon, ultimately becoming the symbol of integrity and patriotism emphasized in Sung Confucianism. Going through two invasions from Manchuria and Japan and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Ming to Qing Dynasty, Joseon was overwhelmed by an atmosphere of returning its boon to Ming Dynasty and witnessed the rising worship of Ming Dynasty and Chinese heroes. It was in the period that attention to Tian Heng was highlighted once again. While Confucian scholars tried to build a shrine for him, common people established him as the divine spirit of their villages. The islands closer to the Shandong Peninsula than the Korean Peninsula were called Oho or Tian Heng Islands after middle Joseon. While Oho Islands were in a Chinese term, Tian Heng Islands were in a Korean term.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the vacant island policy prohibited people from residing in the islands. Once signal fires were built to protect the westernmost parts of the Yellow Sea, however, Bongguns were gathered around from the neighboring areas and moved to the islands. After middle Joseon, people started to move in islands to avoid forced labor or punishment, and the islands must have been no exception. The islands lacked in farming land and could not develop agriculture. The biggest problem with living in the islands was the shortage of food. It was Tian Heng that emerged as a figure to solve the problem since he pulled ships carrying grain for tax to his territory and distributed the grain to the residents of his islands. Even 500 subjects of his faced death in order to prolong his life one day more. Those tales well reflect the difficulties the residents of the islands had to endure through a severe food crisis. They are clearly different from the historical assessment of Tian Heng and contain the religious aspiration of common people. As the villagers worshiped Tian Heng as the divine spirit of their villages for his good administration, their religious service became structured in a system of Sanshin-Tian Heng-Hadang Service. Since Tian Heng was worshiped for a new religious purpose along with Sanshin, the divine spirit of agriculture, the Sangdang(上堂) Service was divided into Sanshin and Tian Heng Service. Meeting a new religious aspiration, Tian Heng was also worshiped as a divine spirit for fishing in relation to the continuously growing fishing industry. The ship owners and whale hunters were the central figures in the service for Tian Heng. Thus Tian Heng established himself as the god of fishery in the newly emerging Dangje(堂祭).

      • KCI등재

        조선 전기 俗節의 명칭과 인식체계

        김효경(Kim Hyo Gyeo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13 역사민속학 Vol.43 No.-

        어느 시대나 시간을 관념하고 활용하는 방식이 존재한다. 전근대사회에는 통념적으로 陰曆에 기초한 朔望을 비롯하여 俗節을, 陽曆에 기초한 24절기 등이 그 역할을 했다. 이중 자연력이 아닌 생활상의 혹은 종교상의 필요에 따라 특별한 의미를 담은 날을 지칭하는 용어는 다양하다. 이중 속절은 한 시대의 시간성을 담아 文語體로 표현할 때에 주로 사용된다. 俗은 마음이 안정되고 고요한 상태로 이미 내제화된 상태로, 한 시대에 활용되었던 시간의 의미를 이해할 때에 적합한 용어가 속절이다. 이외에 국가적 경축일을 의미하는 令節, 시간의 흐름만을 언급하는 歲時,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의 기념일을 의미하는 節日, 아름다운 시간만을 강조하는 佳節 등이 있다. 어느 시대나 시간을 관념하고 활용하는 방식이 존재한다. 전근대사회에는 통념적으로 음력에 기초한 朔望을 비롯하여 俗節을, 양력에 기초한 24절기 등이 그 역할을 했다. 조선은 새로운 이데올로기에 기반을 두어 건국된 나라였기에 그에 걸맞은 다양한 제도 개혁을 이루어졌다. 속절에 대한 관심은 명종 대에 씨름과 각저 등의 놀이 문화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대두되면서 시작되었다. 인심과 풍속이 각박해지고 五倫常綱이 무너지는 일을 금단하고자 하는 목적에서였다. 이러한 인식이 부각되면서 16세기 중반 『주자가례』 중심의 생활규범서인 제례서가 출현하면서부터 『주자가례』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시작되면서부터 관심이 더욱 증폭되었다. 그러한 과정에서 속절에 대한 인식을 보여준 이는 이이와 윤선도이다. 두 사람 모두 하늘의 도를 계승하여 인간 세상에 실현하는 도구를 속절로 보았다. 유교적 명분론에 입각해서 天人合一의 입장에서 천도와 인사를 연관 지어 계절의 변화를 알수 있는 것은 괴이한 것이 아닌 것으로 간주하였다. 그것의 실행에 있어 『주자가례』의 입장을 중시하였으며, 그 이외의 것은 군자가 언급할 필요가 없다거나, 妄知나 妄言이므로 입에 올리지는 않았다. 이 시기에는 속절은 여전히 정부차원에서나 사회적으로 활용되었다. 정부에서는 관료의 휴가일, 宴享, 朝賀, 시험일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했다. 사회적으로는 유교적 이념의 실천을 위해 四名日(한식, 단오, 단오, 중추)에 조상숭배를 하는 묘제가 그것이다. 이 시기에는 고려적 모습이 유지되었다. 『주자가례』가 중시되면서 그에 준하는 四時祭를 설행하기를 주장하기도 했지만 구습을 바꾸는 것에 대해서는 현실을 무시할 수 없다는 인식론과 공존했다. 이러한 인식론이 시대적 조류속에서 변모하지만 여전히 그 가운데서 변화의 방향성을 제시한 것은 俗節이 지닌 기본적인 안정되고 평안한 俗의 성질이었다. Every era has a method to think and use time. In premodern society, ancestor-memorial days(俗節) including syzgyy based on lunar calendar were used conventionally. The 24 divisions of the year based on solar calendar etc. played the role. Among them, there are various terms which indicate days including special meaning according to necessities for daily lives or religion, not natural calendar. Ancestor-memorial days are mainly used in expressing in literary style along with temporality of an era. Sok(俗) means an internalized state where mind is stable and calm. Ancestor-memorial days(俗節) are terms proper when understanding meaning of time used in an era. Besides, there are several other terms such as Yeongjeol(令節) meaning national holidays, times and seasons(歲時) mentioning flow of time only, holidays(節日) meaning not only domestic anniversaries but also foreign anniversaries, beautiful season(佳節) emphasizing beautiful time only etc. Every era has a method to think and use time. In premodern society, ancestor-memorial days(俗節) including syzgyy based on lunar calendar were used conventionally. The 24 divisions of the year based on solar calendar etc. played the role. As Chosun was founded based on new ideology, various systematic reforms fit to this were made. Interest in ancestor-memorial days(俗節) began when negative opinion about play culture such as ssireum( Korean wrestling), Gakjeo etc. appeared in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Thisaimed to prevent heartless people and customs, and fall of the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hips in Confucianism. As such recognition was emphasized,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book which is manual for daily lives norms focusing on《Jujagarea朱子家禮》 written by Zhou Dunyi appeared in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So with start of academic study on《Jujagarea朱子家禮》, interest highly increased. In the process, Yi I and Yoon Sun-do showed recognition about ancestor-memorial days(俗節). Two people all regarded ancestor-memorial days(俗節) as a tool to cherish way of heaven and realized it in the world. They considered that to predict change of season by linking way of heaven and human affairs from position of oneness of heaven and human based on Confucian justification is not strange. They put importance on position of《Jujagarea朱子家禮》in its practice. They did not speak other things because there is no need for a man of virtue to mention it, or it is wrong knowledge or thoughtless words. Then times, ancestor-memorial days(俗節) had been still used in daily lives. An example is memorial service held before the grave for respect of ancestor on four festive days such as Hansik, Dano, Dongji, and Mid-Autumn day. Then, state of Goryeo maintained. As《Jujagarea朱子家禮》is regarded as important, some insisted to hold Four seasons memorial service equivalent to《Jujagarea朱子家禮》. But on the other hand, a recognition coexisted_ reality cannot be neglected regarding change of old customs. Such recognition had changed in the midst of flow of era but character of stable and peaceful Sok(俗) which ancestor-memorial days(俗節) has, suggested directionality of change even in the situation.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