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 현종대 羅城 축조 과정에 관한 연구

        김회윤(Kim Hoe-Yun)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5

        고려시대 개경의 나성은 군사적?행정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건축물이었다. 이러한 의미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나성의 축조 과정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나성의 시축시점을, 『고려사』현종세가?지리지는 현종 즉위년으로『고려사』강감찬전?『고려사절요』는 현종 11년 이후로 언급하고 있지만 이 문제를 구체적으로 해명한 연구가 없었기 때문이다. 이 글은 이러한 점을 유념하며 나성의 축조 과정을 분명하게 밝혀보고자 한다. 『고려사』는 原典선정을 엄격히 하였고 史料集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이 책에 기록된 사료들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고려사절요』는 『고려사』를 편년으로 줄이는 데 목적이 있던 책이었다. 따라서 두 책에 기록된 나성의 축조 과정과 관련한 기록들은 우선 사실로서 수용되어야 한다. 그런 다음, 당대의 여러 정황과 함께 검토될 필요성이 있다. 검토 결과 나성의 축조 과정은 현종 즉위년의 시축, 거란의 침입 등으로 인한 축성 중단, 현종 11년 강감찬의 재축조 건의, 현종 20년 완공으로 정리된다. 현종 즉위년에 나성이 시축된 까닭은, 목종 12년의 정변으로 인한 거란의 침입을 예상한 강조가 전쟁과정 중에서 개경이 위험해 질 수 있음을 예측하였기 때문이었다. 한편, 현종 11년에 강감찬이 나성의 재축조를 건의한 배경은 다음과 같다. 강감찬은 현종 11년에 조성된 고려-거란 간의 평화적 관계를 안정적으로 인식하지 않았다. 그는 거란의 재차침입을 우려하였고, 그것을 대비하기 위한 방안으로 나성의 재축조를 건의하였다. 하지만 당시 고려는 전쟁에 지친 民을 안정시키고자 하였기에 축성을 곧바로 시작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현종은 직접적인 축성을 후일로 미루고 우선 왕가도에게 축성계획을 명하였다. 왕가도는 현종 15년 이전 어느 시점에 나성의 재축조를 시작하였다.

      • KCI등재

        고려 명종대 三韓後壁上功臣의 책봉 양상과 정치적 함의

        김회윤(Kim Hoe-yun) 고려사학회 2024 한국사학보 Vol.- No.95

        Before King Myeongjongs reign, Samhanhubyeoksang contributors were 8 people involved in the Khitan War during King Hyeonjongs reign and Lee Ja-gyeoms rebellion during King Injongs reign. These were people who contributed to overcoming serious national difficulties and were recognized as Byeoksang contributors. Most of those who took power during the military regime that began during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were appointed Samhanhubyeoksang contributors. During the reign of Myeongjong, a total of 10 people were appointed as Samhanhubyeoksang contributors. Jeong Jeong-bu, Lee Ui-bang, and Lee go staged a coup that threw the country into disarray. However, they defined the situation of King Uijongs reign as a serious national crisis. They became Samhanhubyeoksang contributors for their contribution in maintaining the kingdom by dethroning Uijong and placing Myeongjong on the throne. In the 23rd year of King Myeongjongs reign, Du Gyeong-seung and Lee Ui-min were appointed Samhanhubyeoksang contributors for their contribution in suppressing a rebellion in the early years of Myeongjongs reign. This was possible because Du Gyeong-seung finally organized the history of the rebellion. With this, the two people received a proper reward. This decision was made by King Myeongjong to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people. This was because King Myeongjong had experienced the fact that conflicts between those in power led to coups. In the 27th year of King Myeongjongs reign, Yun In-cheom and Gi Tak-seong, who suppressed the Jo-wi Chong Rebellion, became public figures on behalf of Lee Ui-min. This was because Choi Chung-heon, who was in opposition to Lee Ui-min, thought it was appropriate for the two to become Samhanhubyeoksang contributors. Through this, they attempted to gain support from the forces related to the two people. At the same time, Choi Chung-heon and Choi Chung-soo became the Samhanhubyeoksang contributor for their contribution in purging Lee Ui-min. Their father, Won-ho Choi, became a Samhanhubyeoksang contributor by his sons. Through their fathers appointment, the Choi Chung-heon brothers were able to publicize the participation of high-ranking officials in the coup and the high status of the new ruling family. During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the military rulers seized real power based on military power. Due to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 and their low status, they lacked authority. For this reason, they were interested in Samhanhubyeoksang contributor, the most honorable position of the time. King Myeongjong was also aware of these characteristics, so he tried to stabilize politics by appointing powerful people as Samhanhubyeoksang contributors. During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the pattern of appointments changed as Samhanhubyeoksang contributor began to be used as a means to solve political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