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난 유희적 표현과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연구 -단편 애니메이션 ‘라바’를 중심으로-
김회광,최유림,이지은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2 디자인지식저널 Vol.22 No.-
본 연구는 단편 애니메이션 '라바'의 스토리 중에서 '라바'에 등장하는 캐릭터가 의인화된 곤충 캐릭터로 제작되어 언어를 사용하지 못하지만 몸짓과 표정, 제스처 등을 이용하여 의미전달을 구성하는 특성을 지녔으며, 일부 사운드로 사용된 음원은 배경음과 효과음만 사용한 비언어 의사소통에 대한 연구이다. 일반적인 애니메이션에서는 언어가 지니는 의미전달의 정확성과 메시지의 전달이 쉽게 전달되지만,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의미전달을 하기엔 어려운 난점이 도출된다. 이러한 애니메이션의 의미전달 기법을 통해 시청자에게 정확히 메시지를 전달하기는 어렵지만, 단편 애니메이션으로 작동되는 의미구성에서의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라바'의 무성 애니메이션 시퀀스를 통해 비언어 의사소통의 구조에서의 애니메이션의 표현과 이를 통해 내러티브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에 대해 연구하고 비언어 표현의 전개 과정에서 사용된 애니메이션 스토리가 지닌 언어 표현으로서의 수사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비언어를 이용한 애니메이션은 다양한 문화와 언어의 경계를 넘나드는 특수성을 지녔다. 이러한 기법으로 애니메이션의 접근 방법론을 구성하는 것은 애니메이션 시장의 확대와 발전시키는 방법론으로 적용될 수 있다.
김회광,이영주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2017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3 No.4
The controversy about the burger button triggered in 2013 is that it is difficult to know what the hamburger button itself means and that it is difficult to predict what will happen when the button is clicked, Could. This controversy was found to be fundamentally out of touch, and it could be seen that it caused conflict with Apple's navigation structure with iOS. Therefore, in the case of Apple, it is often used in the form of a tab at the bottom instead of using the slide menu, but it is preferable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the hamburger button. I've looked through a variety of documents and found that the amount of content you want to offer on your app or the web is large, and there are five or more categories. And if a sub-category needs to exist in the main category like a large shopping mall, the hamburger button could provide the best UI. Apps and webs that can be curated, such as news and pinterest, are better used to enhance the search filter than to place a hamburger button, and for apps or the web that has a longer amount of content on a page Scrolling was available as an alternative to the burger button. In other words, depending on the amount of content to be provided, it is possible to decide whether to use the hamburger menu from the time of designing the information architecture.
캐릭터 상품의 세대별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 블루베어 캐릭터를 중심으로 -
김회광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0 디자인지식저널 Vol.15 No.-
본 연구에서는 국내 구매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성공캐릭터와 연구대상 캐릭터의 비교분석을 통한 추론적 결과를 종합적으로 해석하여 국내 캐릭터 상품의 세대별 차별화된 전략을 제시하였다. 즉 연구 대상인 캐릭터 브랜드의 현 상황을 파악하고, 비교 분석하여 보다 전략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의 핵심이다. 그리고 논리적이며, 체계적인 분석단계를 거쳐 그 추론의 결과를 바탕으로 세대별 차별화 상품 전략을 제시함으로서 디자인 경영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이는 국내 캐릭터 브랜드의 질적 향상과 시장 경쟁력을 높여 캐릭터 산업의 경쟁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고, 향후 신규시장 진출과 블루오션(Blue Ocean)시장 개척에 유효하다고 판단된다. 특히 연구 대상을 ‘블루베어’로 선정한 것은 국내 캐릭터 시장에서 해외 캐릭터 상품의 의존도가 매우 높은 브랜드임에 착안하였다. 현재 국내에서 성공한 국내․외 성공 캐릭터들을 대상으로 하여 소비자들의 인지도를 제고하고, 조사 분석하여 캐릭터 브랜드 활성화를 위한 차별화된 상품 전략을 수립하였다. 이는 유사 브랜드의 선례로서 경영 전략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