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크래치를 사용한 시각장애인용 컴퓨터 게임 개발

        김황용(Hwang-Young Kim),양기철(Gi-Chul Ya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5

        컴퓨터를 사용하기 어려운 장애인들은 정보화 사회의 발전된 기술의 혜택을 누리지 못할 수 있다. 이는 일상생활의 컴퓨터 활용뿐만 아니라 놀이 문화의 참여에 있어서도 같다. 오늘날 많은 놀이들이 컴퓨터 게임이라는 장르로 확대되어 컴퓨터를 이용한 놀이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현대적인 놀이 활동에 장애인들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장애인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게임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시각 기능이 손상된 장애인들도 쉽게 참여 할 수 있는 컴퓨터 게임을 스크래치라는 쉬운 언어로 개발하여 보고, 장애인용 컴퓨터 게임 개발의 대중화 가능성을 확인한다. Handicapped people who are having difficulties to use computers are easily excluded from enjoying technological benefits of modern information society. These are the same, not only in computer usages of everyday life but also in participation of amusements. Theses days, various amusements are extended to the category of computer games, and a broad range of amusement activities using computers are expanded rapidly. Developing various computer games to which are easy to access by handicapped people are needed to expand opportunities of handicapped people’s participation in modern amusement activities.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computer game that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 can play easily. This computer game was developed by suing an easy programming language called Scratch. The works conducted in this paper confirm the possibility of popularization of developing computer games for handicapped people.

      • KCI등재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통한 효과적인 인지 발달

        양기철(Gi-Chul Yang),김황용(Hwang-Yong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0 No.6

        인지 기능의 향상을 말하는 인지 발달은 다양한 경험에 의해 촉진된다. 프로그래밍도 이러한 다양한 경험의 한 가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얻어지는 계산적 사고에 관한 경험은 인지 발달에 도움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래밍 경험과 인지 발달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배우기 쉽고 사용하기 쉬운 스크래치와 계산적 사고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그리고 계산적 사고의 폭을 넓히기 위하여 스크래치의 계산적 개념을 확장하였다. 계산적 개념이 확장된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은 인지 발달을 위한 경험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스크래치의 계산적 개념 확장은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을 통한 효과적인 인지 발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Cognitive Development which means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ality can be enhanced by various experiences. Programming is a kind of these various experiences. Experiences related to the computational thinking which are gathering through programming are helpful to cognitive development. This paper describes on conceptual thinking and Scratch programming language which is easy to learn and use. Also, this paper expands computational concepts of Scratch in order to widen the range of computational thinking. Scratch programming with expanded computational concepts can widen the range of experiences for the cognitive development. Therefore, expansion of Scratch’s computational concepts can be a big help for an efficient cognitive development through Scratch programming.

      • KCI등재

        인삼줄기버섯파리(신칭) Phytosciara procera에 의한 피해 실태 보고

        신정섭(Jung Sup Shin),조대휘(Dae-Hui Cho),조혜선(Hye Sun Cha),김황용(Hwang-Yang Kim),이흥식(Hung Sik Lee) 고려인삼학회 2008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32 No.4

        최근 2005년 파주 6년생 포지를 시작으로 철원, 영월, 괴산 등지에서 정체불명의 해충이 인삼 줄기 속을 파고들어 피해를 주는 현상이 빈번하여, 해당 해충을 채집하여 동정한 결과 국내 미기록종인 Phytosciara procera(신칭: 인삼줄기버섯 파리)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해충은 이번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인삼 해충으로 기록되는 종이며, 검정날개버섯파리과 (Sciaridae) 곤충 중에서 인삼 해충이 확인된 것도 세계 최초이다. 인삼줄기버섯파리에 의한 피해로 추정되는 증상은 1993년 경기도 용인의 6년생 인삼 포지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당시 피해주율이 25%에 이르고 경작자가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입었지만, 명확한 동정 결과를 얻지 못하였고 피해 실태도 정확히 밝히지 못했었다. 인삼줄기버섯파리는 인삼의 화경, 줄기 부분에서 산란하며, 유충이 줄기 내부를 파고 섭식하여 고사시키는 해충인데, 인삼줄기버섯파리가 만든 상처는 세균의 2차 감염 통로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줄기 속무름병의 발생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인삼줄기 버섯파리 성충이 많이 발생하는 시기는 두 차례로 7월 하순 부터 8월 상순 사이와 8월 하순부터 9월 상순 사이로 조사되었다. 인삼의 화경제거시 열매를 잔존시켜 건전한 형태로 남겨두거나 피해줄기를 조기에 제거하는 등의 경종적 방제를 이용하면, 인삼줄기버섯파리에 의한 피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지만, 아직 이 해충에 대한 생리, 생태 연구가 미흡한 만큼 기초 조사와 방제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Ginseng stem fungus gnat, Phytosciara procera, is reported as a ginseng pest for the first time. It is new to science that a member of the family Sciaridae is a ginseng pest. In our observation, larvae of the gnat can penetrate the stem of ginseng, and then they make a shaft in shoot and root. Number of adults captured by yellow sticky traps were peaked in twice, from late July to early August and from late August to early September. In a ginseng field, 29.7% of ginseng damaged by Phytosciara procera is also infected by bacterial disease caused by Erwinia carotobora.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on environmental-friendly control, as a result of decreasing effect of damage over 85% when remaining a part of bem on peduncle than tatally remove.

      • KCI등재

        " Seriously Emotionally Disturbed(정서장애)" 명칭과 정의의 문제점 및 대안

        김황용,양명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199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13 No.2

        명칭붙임(labeling)은 명칭 자체가 가져오는 심각한 부정적 영향에도 불구하고, 재정지원과 교육 서비스, 의사소통 등의 목적으로 계속되어 왔다. PL 94-142가 제정된 이래, SED는 미국 교육 현장에서 줄곧 사용되어 오고 있으나, 행동장애를 가진 아동들을 위한 명칭 및 정의로서의 적절성에 많은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는 SED 명칭과 정의가 어디서 어떻게 유래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문제들이 무엇인지 문헌을 통해 분석-검토하고, 현재의 법적 명칭 및 정의인 SED를 바꾸어야 하는 구체적인 이유를 논의했다. 아울러, 학회간 연합체에서 새로 제안한 명칭 및 정의와 현행 미국 연방정부 특수교육법에 포함된 명칭 및 정의를 비교 검토한 결과를 토대로 기능적이고 교육적인 행동장애 정의가 갖추어야 할 기본 요건을 제시하였다. Generally, labeling has been used for funding, education, and communication although it produces negative consequences. After passage of the 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t (PL 94-142), the label $quot;Seriously Emotionally Disturbed (SED)$quot; has been used in educational contexts to classify students with behavioral disabilities. However, the label SED has been criticized because of its inappropriateness to refer children with behavioral disabilities. This paper is a review of how and where the label SED was derived, and examines prevailing problems of labeling and the effects of the label SED in the PL 94-142. The federal definition does not provide appropriate assessment procedures, so that children who need special education have been underidentified and underserved. Currently, the National Mental Health and Special Education Coalition proposed a new definition and terminology of EBD(Emotional and/or Behavioral Disorders) to replace SED. Although the Coalition definition of EBD ameliorates the vagueness of the federal definition of PL 94-142, still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Based of the examination and comparison of SED and EBD, some features for a functional educational definition for children with behavioral disabilities are recommended.

      • KCI등재후보

        개별 피험자 연구에서 사회적 타당도 검사의 중요성

        양명희,김황용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18 No.3

        Successful single subject research must have effective outcome data and be socially validated. Social validity refers to the social significance of intervention goals, the social acceptability of intervention procedures, and the social importance of intervention outcomes. This paper described the concept of social validity, reviewed the procedures of social validation, and discusse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hich would assess social valid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