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존재 체험의 터전으로서의 미술

        김황기(Kim Hwang G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07 美術敎育論叢 Vol.21 No.3

        존재란 소유하거나 소유하려고 탐하지 않고 기쁨에 차서 자신의 능력을 생산적으로 사용하고 세계와 하나가 되는, 그런 실존양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존재 지향적 교육은 미술을 통해서 가능한데 그 이유는 미술이 인간 존재의 근원에 대한 물음의 내적 과정이고, 존재론적 한계상황과 이를 극복하려는 성찰적 과정이 미술적 과정이고 이것은 자신의 경험일반에 자리하지 않기에 초월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존재 지향적 미술교육은 다양한 앎의 방식을 제공하고, 통합을 추구하고, 열정을 경험하고, 자신을 발견하고, 내재적이라는 면에서 교육적 의의도 가진다. 그런 점에서 미술교육이 지식의 습득 정도 보다는 미술활동을 통한 의미체험이나 인간의 성장과 완성에 목적을 두어야 한다. 이러한 열림은 우리 아이들로 하여금 전환적 계기를 맞이하고 자신의 존재와 마주하게 하는 것이다. Becoming true artist is discovering the meaning to himself/herself and writing unique little narratives about it. According to Fromm(1976). ""by being referred to the mode of existence in which one neither has anything nor craves to have something, but is joyous, employs one"s faculties productively, is oned to the world"" (18-19). In the mode of being, knowledge is nothing but the penetrating activity of thought. In this mode, one experiences oneself as the subject of one"s activity. However. in the mode of having, what is restricted is free, spontaneous experience of the children"s and the adolescents" will, their thirst for knowledge and truth, their wish for affection. The growing person is focused to give up most of his or her autonomous, genuine desires and interest. and his or her will, and to adopt a will and desires and feelings that are not autonomous but superimposed by the social patterns of thought and feeling. If the pressure and the boredom are removed and material is presented in an alive way, remarkable activity and initiatives are mobilized. Therefore, busyness, example. art activity separated from students"s spiritual ground is not the knowledge and not to having meaning.

      • KCI등재

        아파트에서 흡연조건이 각 실의 실내 공기 환경에 미치는 영향

        김황기(Hwang-Ki Kim),백용규(Yong-Kyu Baik),조창근(Chang-Geun Cho) 한국생활환경학회 2001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indoor air environment in adjacent rooms by smoking in an apartment. The smoke generated in a place of smoking can be directly transferred to the other rooms, because the air flows between rooms in an a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So there are influenced by smoking in the place where there are no smoker. According to the ventilation method or the number of the smokers, the smoke transferred to the each rooms is different in their quantity. So as to decrease the influence of the ETS according to smoking, it needs to consider a suitable ventilation method and a smoking location.

      • KCI등재

        점토 작업과 젠탱글 작업이 남녀 학생의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김황기(Kim, Hwang G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20 美術敎育論叢 Vol.3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difference of the flow level of students between pre and after program, and a difference of the flow level of student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result of the study are below. First, is there a difference of the flow level of students between pre and after program? Yes, there is a difference of the flow level of students between pre and after program. That is, there is a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flow level of students between pre and after program. Second, is there a difference of the flow level of student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No, there is no difference of the flow level of student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hat is,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flow level of student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점토활동과 젠탱글활동이라는 미술과제가 몰입을 촉진하는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더불어 미술과제에 따라 남녀 학생들의 몰입의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려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점토활동과 젠탱글이라는 미술과제는 학생들의 몰입을 촉진시키는가? 점토활동과 젠탱글이라는 미술과제 모두 학생들의 몰입을 촉진하였다. 점토 미술활동에 참여한 유아의 주의집중력이 자유 미술활동에 참여한 유아의 주의집중력보다 높게 나타난 연구(신성은, 2018)와 젠탱글 활동을 적용한 연구(권민경, 2017) 에서도 본 연구와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2) 점토활동과 젠탱글이라는 미술과제에 따라 남녀 학생들의 몰입의 차이는 발생하는가?점토활동과 젠탱글이라는 미술과제에 따라 남녀 학생들의 몰입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남성이 몰입도가 높다거나(황정애, 2004), 남성의 경우 통제가 내부에서, 즉, 자신의 선택에 의한 과제일 때 몰입의 정도가 더 높다는 연구 결과(Reitz & Jewell, 1979)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그러나 미술 내용이나 과제와 직접 관련된 연구는 존재하지 않아 직접적인 비교가 어려워 아쉬움이 남는다.

      • KCI등재

        일곱 번의 만남

        김황기(Kim Hwang G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16 美術敎育論叢 Vol.30 No.4

        이 현상학적 연구의 목적은 미술작품을 본다는 것, 감상한다는 것에 대하여 기술하는 것이었다. 감상 과정에서 일어나는 경험을 참여자가 진술한 언어로부터 추출함으로써 감상이라는 하나의 현상을 연구하려는 의도였다.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좀 더 구체적으로 그들의 변화에서 공통점이 존재하는지, 구조적인 패턴이 발견되는지에 대하여 관심을 기울였다. 참여자들의 진술들로 부터 참여자 개개인들이 감상에 대한 특정한 방식으로 유일한 경험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과, 감상의 일정한 발달단계를 통하여 성장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감상 발전단계는 나비의 ‘한살이’를 닮았다. 그래서 그 단계를 첫째, 알로 세상에 던져지기, 둘째, 알에서 유충으로 변태하기, 셋째, 번데기로 침잠하기, 마지막으로, 나비되어 날기로 명명하였다. 스스로 발견하는 이 감상방법은 참여자 개개인의 유일한 이론이 되었고, 그러한 방식으로 인하여 참여자들은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민감성을 예민하게 가질 수 있었다. In studying this paper I have aimed for certain effects: Novice appreciators (students) may feel fear of this approach. However this approach leads them to become more reflective but also provides them with experiences drawn from real appreciation that make action in reflection meaningful and possible in the first place. Through this project, students developed their growth with four phases like the four butterfly life cycle. They are Born as egg , Hatched as larva , Become a pupa in chrysalis, and Flying as a butterfly . However, every student in the project did not become butterfly and to fly. But I hope students have experience of appreciation not theoretically but practically, by considering not only the head but also the heart, or better, the whole picture. I wanted to offer a theory of the unique that knows how to address the particular case, the practical moments of appreciation in which emotion, morality, and reason cannot be disentangled. In this study, my main function as a teacher was to destroy the bindings attached to the concept of appreciation. I was to have students recover their natural instinct to see, to invent to listen to their intuition. I had become the unteacher. Students were teachers of themselves: the real teacher was appreciation itself.

      • KCI등재

        분석에 반대한다 - 미술교육의 지성주의적 접근에 대한 비판 -

        김황기(Hwang Gee Kim) 한국미술교육학회 2016 美術敎育論叢 Vol.30 No.2

        다른 학문 영역에서 가치 있다고 인정받았다는 이유만으로 우리가 그 가치를 수용할 필요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미술교육은 단지 언어로 설명하거나 분석하여 이해하려는 경우가 많다. 미술적 경험에 의해 가치체험이 동반되지 않는 가치언어는 생명 없는 문구에 지나지 않는다. 가치의 판단은 그 판단을 할 만한 체험과 자격이 전제된다. 이런 전제가 충족되지 않는다면, 그야말로 공리공론에 빠지는 것이다. 그래서 미술적 경험없이 관념론적 사유에 의해서 구축된 미술교육의 학문화는 허상이고 망상이 되는 것이다. 가치의 실재성은 그것을 실현시키는 과정에서만 입증된다. 미술을 실천한다는 것은 보편적 미술개념을 예증하는 것이 아니라, 미술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개념을 창조하는 것이다. 분석적인 사고는 그 내부에 이상한 폭력성을 가진다. 이 사고는 대상이 아무리 복잡하고 생생한 것이라 할지라도 그것을 단지 대상으로 환원시켜 버린다. 대상이 가지고 있는 영혼이 파괴되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미술에서의 분석에 반대한다. There are several domains in art education, but I do not find it necessary that they all be understood rationally through analysis; they should be felt or experienced rather than comprehend. Art making must be viewed on the same ground from which they were created-their aliveness, their energy, their vulnerability-in order to appreciated. What is reflected in the forms, images, and colors is the by-product of a journey that has taken place on an inner landscape. The real artwork has been created on the canvas of the psyche. The true artistic production is the personal transformation that has taken place within the art making experience itself. Therefore, it does not need to justify by explanation, analysis, critical evaluation, and superimposed meaning, especially by trained professionals who consider art sophisticated discipline. Analysis has its own violence in it. It resolve every subject, even it is complex and vivid, into just a object. This sort of professionalism robs art of one of its most potent properties, the ability to resolve boundaries and reveal our connectedness with one another, as well as reveal the dignity of our uniqueness. Therefore, I against analysis in art education.

      • KCI등재

        미술교육에서 질적, 양적 연구 방법의 통합

        김황기(Hwang-Gee Kim) 한국미술교육학회 2005 美術敎育論叢 Vol.19 No.3

        본 연구는 질적, 양적 연구 방법이 미술교육의 관심사들을 이해하고 해결하는데 서로 상보적이거나 시너지 효과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다른 방법으로 동일한 현상을 연구하여 얻은 결과의 수렴과 확증을 위한 다면적 검증, 둘째, 한 연구 방법으로 얻어진 결과를 다른 연구 방법으로 얻어진 결과로서 검증, 확장, 예증, 설명하는 상호보완성, 셋째, 한 방법을 통해 도출된 결과가 다른 방법의 실행을 안내하는 발전, 넷째가 연구 문제를 재구성하도록 유도하는 패러독스나 모순을 발견하는 안내, 다섯째, 다른 탐구 요소들을 위한 다른 연구 방법을 사용함으로서 탐구의 깊이와 범위를 확대하는 확장 등에서 장점을 가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This paper provides evidence that the debate betwee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ologies is divisive and counterproductive for advancing the fields of art education. All researchers in art education should learn to use and appreciate both methodologies to develop into ‘bi-researcher’. Becoming a bi-researcher offers some advantages. First, it enables researchers to be flexible in their investigative techniques. Second, it enables researchers to verify the findings that derives from qualitative approaches by quantitative method, and vise versa. Finally, it enables researcher to utilize mixed methodologies within the same inquiry to get deep and ranged understanding. A false dichotomy exists betwee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with all distinctions between two methods lying on continua. Relying on only one type of data is extremely limiting, and ‘uni- research’ is a threat to the advancement of the social science.

      • KCI등재후보

        미술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의 탐색

        김황기(Kim Hwang-G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05 美術敎育論叢 Vol.19 No.2

        질적 연구 방법은 현상학, 해석학, 실존주의, 인류학 등 철학적 사회학적 관점에 이론적 토대를 두기 때문에 여러 가지 개념으로 파악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이 연구방법이 현상을 총체적, 심층적으로 기술하는데 유용하다는데 동의한다. 미술교육은 가시적이고 일반적인 진술을 목표로 하는 양적 연구 방법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고 본다. 따라서 보다 깊고 본질에 다가가기 위한 방법으로 질적 연구방법이 다음과 같은 면에서 의미를 가진다. 첫째, 미술에서 중심적 개념인 미와 추의 문제와 같은 가치가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둘째, 미술과 같이 사물이나 대상이 드러나도록 하는 연구이다. 셋째, 미술과 같이 주관적 상태와 경험을 중시한다. 넷째, 미술과 같이 생생하고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체험을 중시한다. 다섯째, 미술을 위한 새로운 개념, 설명, 이론체계의 개발을 위해 적합하다. This paper provides some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and points out the many reasons qualitative research inquiry is particularly well suited to the issues of art education. Because the arts have not ‘one truth’ or one ‘correct’ answer but many valid and possible interpretation(Hanlon, 1990; Herzog, 1990; Brooks & Brooks, 1993), arts are to a large degree related to an epistemology(Eisner, 1993), Phenomenology, and hermeneutics. Response to the arts are, therefore, an undeniable rich source for qualitative research studies. First, this research approach can offer an opportunity to explore the core values of art. such as personal, social, political, and aesthetic perspectives of diverse students. Second, this approach, like those who work in arts, puts a premium on the importance of holistic understanding. Third, this approach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subtleties and practice as well as to the uniqueness of outcomes. Fourth, this approach emphasizes the expression of feeling. Finally, this approach can be used for the structures of explan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ory in art and art education. When I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that were valid for research method for art education, I didn't intended that this method should replace the quantitative method, rather I insisted that art educators should be open the new methodology, if it could help to solve the problems of art and art education.

      • KCI등재

        미술적 지식의 구조와 양식에 대한 탐구

        김황기(Kim Hwang G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08 美術敎育論叢 Vol.22 No.2

          어떤 새로운 과학 패러다임을 통해서도 정신성과 과학이 상호 일치할 수 있는 영역 또는 부분을 발견하는 것이 불가능함을 주장하였다. 그 이유는 첫째, 지금까지의 과학이 독백적이고 실험적인 배경을 뛰어넘을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는 점, 둘째, 가장 근본적인 것으로, 독백적인 방식인 육안(肉眼)과 대화적인 방식인 심안(心眼)으로 논리초월적인 방식인 신안(神眼)이 작동하는 정신세계를 이해하려고 한다는 점 때문이다. 그러기에 결론은 명료하다. 신안에 근거한 통찰적 사고가 무시되었을 때 미술은 과학에 의해서 강조되었던 육안이나 심안 같은 일원적 세계에 머무르게 된다. 그리고 만약 미술이 유일하게 제공할 수 있는 지식의 영역이 있다면 그것은 통찰이다. 게다가 통찰은 제대로만 활용된다면 모든 지식의 근거가 된다. 미술의 본질적이면서 위대하고 유일한 강점은 정신적 경험의 과학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요구되는 것은 정신성을 독백적 패러다임으로 한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육안, 심안, 신안을 포괄할 수 있는 고대의 지혜를 미술교육에서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을 미술적 활동을 통하여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It is not through any sort of ‘new paradigm’ in science that spirituality and modern science will finally find mutual accord. Because, first, most science does not go beyond its monological/empirical ground. Second, worst of all, it is based on a category error, the attempt by the monological eye of flesh and the dialogical eye of mind to see what can be seen only by translogical eye of spirit. As such, it can profoundly detract from the awakening of a genuine spiritual awareness.<BR>  The conclusion seems obvious: When the eye of contemplation is abandoned, art is left only with the eye of flesh and mind where it is crucified by modern science. If art possesses something that is uniquely its own, it is contemplation. Moreover, it is the eye of contemplation, adequately employed, that follows all strands of valid knowing. Thus art"s great, enduring, and unique strength is that, at its core, it is a science of spiritual experience. What is required for an integration of science and spirit is not an attempt to reduce translogical spirit to a new monological paradigm. Rather, we need to take the core of the wisdom traditions, namely, the Great Chain of Being, which includes molological and dialogical and translogical and expose them to the differentiation of modernity. If the three modes of science, philosophy/art, contemplation were properly utilized, new science which is comprehensive, integrative, and balanced which can deal with all of biological, social, and spiritual dimension of human come to appear.

      • KCI등재후보

        초등 교사들의 미술교수 자기효능감에 대한 조사 연구

        김황기(Kim Hwang-G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05 美術敎育論叢 Vol.19 No.1

        본 연구는 초등 교사들의 미술에 대한 효능감과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기본적 가설은 효능감은 미래행위의 정도를 예언 가능 하도록 해주기 때문에 교육적 역할을 가지고 있으며, 동기와 성취에도 영향을 미치는 효능감은 지속적일 뿐만 아니라 다른 신념과도 구별된다. 그 연구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점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초등 교사들의 미술에 대한 효능감은 그다지 높지 않았다. 둘째, 초등 교사들의 미술에 대한 효능감은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음과 같은 자에서 그 효능감이 높다(15년 이상 25년 미만의 교육경력을 가진 교사/미술을 집중과정으로 이수 했거나 대학원에서 미술을 전공한 교사/미술교육학회나 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 셋째, 조사결과 초등 교사들의 미술에 대한 효능감은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고, 교사들의 효능감은 학급의 실제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지식이나 기술을 배울 수 없는 교육과정으로 교육받았을 때 저하된다. 따라서 교사들의 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급의 실제상황과 관계 되는 지식이나 기술들을 접할 수 있도록 교사양성 프로그램이 요구되고, 미술과 관련된 학회나 모임의 참여를 권고하고 유도하는 것 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teachers' selfefficacy toward art education. For the research, teachers' self-efficacy and variables which affect teachers' self-efficacy were investigated. Data were analysed by descriptive statistics with SPSS program.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1. The degree of self-efficacy that teachers have is not much higher. 2.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emographic groups. A. The more teachers have teaching experience, the higher teachers have self-efficacy. B. Teacher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association of art and art education have higher degree of self-efficacy. C. Teachers who have major on art education in undergraduate or and graduate have higher degree of self-efficacy. The research finding indicates that teachers' self-efficacy are related to whether they participated in the association in art and art education, whether they had formal education in art discipline. Therefore, first, well-prepared teacher training programs which focuses on class-based knowledge and practice are strongly necessary. Second, The recommendation for and incentive to the association of art and art education ar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