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입시 정책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의 상황적 인식, 동기 및 커뮤니케이션 행동의 역할에 관한 연구 : 문제해결 상황이론의 적용을 중심으로

        김활빈 ( Kim¸ Hwalbin ),구윤희 ( Ku¸ Yunhee ) 한국지역언론학회 2021 언론과학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입시 문제를 문제해결 상황이론을 적용하여 커뮤니케이션 행동 현상을 설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문제해결 상황이론을 적용한 연구모형에 정책 수용도를 추가하여 커뮤니케이션 행동과 정책 수용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성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에 대하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검증하였고, 경로분석과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공중의 상황적 선행요인들이 동기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동기요인은 다시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행동은 정책수용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연구모형 내에서 매개 경로에 대하여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간접적인 영향은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문제해결 상황이론이 한국의 대학입시 문제를 잘 설명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불어 추가된 정책 수용도 변인이 연구모형에서 잘 적용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이론의 확장적 발전에 기여하였다. 궁극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행동이 정책 수용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 결과는 실용적 의미에서 교육당국, 대학, 그리고 공중과의 관계를 설정하거나 유지 및 관리함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This study explores the communicative actions by applying the situational theory of problem solving with regard to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issue. In addition,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ve actions and polity acceptanc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1,500 adults across the country. The collected data was tested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path analysis and bootstrapping analysis were perform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public’s situational anteced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ituational motivation, and in turn, thi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mmunicative actions. In the model, communicative action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policy acceptance. As a result of mediated analysis, indirect effect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e situational theory of problem solving well explained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issue, and the finding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the theory by confirming that the policy acceptance was well applied in the research model. Finally, the fact that communicative ac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policy acceptance may provide important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order to establish, maintain, and manage the relationships among education authorities, universities, and the public.

      • KCI등재

        식품안전 위험인식과 예방적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커뮤니케이션 채널과 책임귀인을 중심으로

        김활빈(Hwalbin Kim),최지혜(Jihye Choi),노기영(Ghee Young Noh) 한국광고홍보학회 2020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2 No.2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서 식품안전에 대한 위험인식과 예방적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커뮤니케이션 채널 이용(신문, TV, 인터넷, SNS, 대인 커뮤니케이션)과 책임귀인(개인책임귀인, 정부책임귀인, 기업책임귀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국 규모의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1,000명으로부터 얻은 응답을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커뮤니케이션 채널 이용측면에서 TV, 인터넷 이용과 대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은 위험인식과 예방적 행동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이용은 예방적 행동의도에만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지만, 인쇄신문 이용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책임귀인 측면에서는 정부와 기업 책임귀인은 위험인식과 예방적 행동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 책임귀인이 정부 책임귀인보다 예방적 행동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채널 이용이 책임귀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TV와 인터넷 이용은 정부와 기업 책임귀인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신문 이용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은 개인 책임귀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TV 이용은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SNS 이용과 대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은 정부 책임귀인에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식품안전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커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식품안전 관련 위험인식과 예방적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살펴봤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또한 식품안전 관련 위기 상황이 발생했을 때 공공 헬스를 담당하는 실무자가 성공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Food safety has been a serious health problem worldwide. This exploratory study investigates what factors can influence risk perception and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in the context of food safety. Drawn on two theoretical frameworks – attribution theory and framing theory, we explored two key variables such as communication channels (newspapers, TV, Internet, SNS, &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individual, government, & industry).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a nationwide online survey with an interview of 1,000 respondents in South Korea. A serie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V, Internet,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risk perception and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in terms of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both government and industry attribution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perception and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Also, our findings showed that TV and Internet us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both government and industry attribution. Reading newspapers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creased individual attribution, while watching TV decreased it. Using SNS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lso increased government attribution.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systematically explored the factors affecting risk perception and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in the context of food safety. Our findings may provide health practitioners and administrations with useful insights of how successful communication strategies can be designed in the strategies or media messages for food safety.

      • KCI등재후보

        효과적인 정신건강 캠페인 실행을 위한 사례분석: 인식개선 헬스캠페인 사례를 중심으로

        김활빈 ( Hwalbin Kim ),최지혜 ( Jihye Choi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14 No.1

        With the concern for physic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the importance of mental health is being socially emphasized. However, because the mental health problem is considered as social discrimination, prejudice, and social stigma, public awareness needs to be improved. This study analyzed other health campaign cases related to awareness improvement in order to help plan and implement effective mental health campaigns. This study selected four health campaign cases such as AIDS prevention, tuberculosis prevention, smoking cessation, and sobriety campaign. The analysis framework was categorized with (1) goal clarity, (2) target audience, (3) message, (4) channel, and (5) implement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tual campaigns properly structured the target audience through clear goals and public segmentation. It is estimated that the campaigns were executed by selecting a different and appropriate messaging strategy and selecting various and effective channels. Sufficient support was provided by the host institution, but the evaluation of campaign effectiveness was difficult to confirm. Mental health campaigns should also set clear goals to deliver differentiated and relevant messages to their target audience. Effective and diverse channels should be utilized, and bold support from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National Center for Mental Health is needed. Conclusively, this study suggests two aspects for mental health campaigns. First, the focus should be on public awareness campaigns. Second, there is a need for a customized campaign strategy that enables people with mental health problems to receive help from medical institution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o plan and implement effective mental health campaigns and contribute to hopeful lives for people suffering from mental health problems.

      • KCI등재

        중요한 것은 정교화 과정 식품 및 의약품 안전에 관한 위험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김활빈 ( Hwalbin Kim ),김세일 ( Sei-hill Kim ),장정헌 ( Jeongheon Jc Chang ),심재철 ( Jae Churl Shim ),오상화 ( Sang-hwa Oh ) 한국PR학회 2018 PR연구 Vol.22 No.3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s the role of the media,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elaborative processing in shaping the public’s perceived risks of food and medicine safety in South Korea. Methods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a national online survey with an interview of 1,001 respondents in South Korea. Results Findings showed that watching television, using Internet news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creased perceived risks. The impact of media use could be indirect because its effects disappeared after entering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elaborative processing into the model. We also found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the media,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elaborative processing. Most importantly, elaborative processing moderated the effects of using Internet news and social networking sites and discussing with others. Conclus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risk communication literature by empirically testing various factors influencing risk perceptions in South Korea, where was rarely examined.

      • KCI등재
      • KCI등재

        ‘환자 위기’ 개념과 범주에 대한 탐색적 연구: 식·의약품 분야 환자 발생 현황 및 사례를 중심으로

        김현정(Kim, Hyun Jeong),손영곤(Sohn, Young Kon),김활빈(Kim, Hwalbin)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60 No.2

        기존에 우리 사회에서는 ‘환자 위기’의 개념이 따로 존재하지 않았으며 필요성에 대해서도 크게 인지하지 않았다. 하지만 여러 감염병을 겪으면서 감염병 외에도 다양한 ‘환자 위기’발생이 가능할 수 있고 그 대비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이에 우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환자 위기’에 대한 명확한 개념 규정과 범주를 구체적으로 정리하고자 문헌분석, 사례분석,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여러 연구방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 환자 위기로 볼 만한 식품, 의약품 관련 사고는 매년 증가해왔다. 둘째, 환자위기로 볼만한 대표적 사례들 가운데 인보사케어와 같은 의약품 오도 사례가 중요한 사례로 언론에서 다루어졌다. 셋째 전문가들은 환자 위기의 개념 정의를 수치적으로 구체화할 필요성에 동의하였다. 본 연구의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환자 위기 대응매뉴얼을 비롯한 다양한 환자 위기관리에 있어서 하나의 시사점을 던진다. Previously, the concept of a "patient crisis" did not exist in our society and was not much aware of the need. However, through various infectious diseases, we knew that a variety of "patient crises" could be possible in addition to infectious diseases, and that countermeasures were needed. This study aims is to define the concepts and categories of ‘patient crises’. For this purpose, literature and media newsof these studie analysis, case analysis, and expert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 are as follows: First, many food and drug-related accidents have increased every year. Second, among the representative cases worth considering as a patient crisis, misleading medicines such as Invossacare have been dealt with in the media as important cases. Third, experts agreed on the need to numerically refine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a patient crisis. These findings in this study cast very significant implication in various patient risk management, including the Patient Crisis Response Manual.

      • KCI등재
      • 디지털 전환에 따른 시민의 공적 경험 변화

        선지원(Jiweon Seon),김활빈(Hwalbin Kim) 경인교육대학교 입법학센터 2022 입법과 혁신 Vol.1 No.-

        “공적 경험(영: public experience, 독: öffentliche Erfahrung)”은 사적 경험, 즉 사적 편익을 갖는 활동과 대비되는, 직간접적인 여론 형성과정 등 시민으로서의 공적인 영역에서의 활동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지능정보기술 사용의 보편화는 산업과 생활 속에서의 사적 활동뿐만 아니라 공적 경험에도 영향을 끼친다. 포용의 관점에서는 디지털 전환 내지 기술 발전과 공적 경험의 변화를 두 가지 방향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첫째로, 공적 영역에서의 디지털 전환이 기술적 진보를 통한 순기능만을 가진다고는 볼 수는 없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로, 지능정보기술의 사회적 수용을 위해 바람직한 공론의 방법이 어떤 것인지 탐구할 필요가 있다. 이 두 가지 관점에서 공적 경험이 어떤 변화의 모습을 보이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어서 사회적으로 추구하는 가치를 변화하는 사회상에 담기 위해 그러한 변화를 제도적으로 어떻게 활용하고 조정해야 하는지 모색해야 한다. 공적 경험 측면에서 디지털 전환은 참여를 양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소통 기술을 통해 실질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포용의 측면에서 기술이 오히려 정보의 격차와 공적 경험에의 격차를 초래할 수 있으며, 그러한 격차는 개인적 문제에 국한되지 않고, 지역적인 문제에까지 확대된다. 공적 경험 수단의 디지털화로 인해 통제 가능성의 증대, 익명성ㆍ편향성의 문제 및 참여자의 책임성 약화라는 역기능 역시 생각해 볼 수 있다. 공적 경험에 대해 지능정보기술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그러한 공적 경험의 변화가 포용적 사회에 이르는 길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하려면, 위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제도적고려가 필요하다. 지능정보기술의 이용에 따른 개인적 격차와 공적 경험 제도의 구현과 관련한 지방자치단체의 역량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수단이 필요하다. 또한 참여자의 개별 공적 경험과 관련한 역기능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공 데이터를 비롯한 각종의 데이터 관리에 대한 정비된 거버넌스와 더불어 디지털 시민성의 고양을 위한 장단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Public experience (in German, öffentliche Erfahrung) is a general term for activities in the public domain as a citizen, such as direct or indirect public opinion forming process as opposed to private experience, that is, activities with private benefits. The widespread use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ffects not only private activities in industry and life, but also public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inclus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digital transformation or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changes in public experience in two directions. First,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digita transformation in the public domain cannot be viewed as having only a positive function through tchnological progress.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lore what is a desirable method of public debate for the social acceptance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From these two perspectives, it is needed to look at what kind of change public experience shows. Next, in order to incorporate the values pursued by society into a changing society, it is required to explore how to systematically utilize and adjust such changes. In terms of public experience, digital transforma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ncrease participation quantitatively as well as materializing it through digital communication technology. However, in terms of inclusion, technology can rather cause digital divide and public experience divide, and such divides are not limited to individual problems, but also extend to regional problems. Due to the digitization of the means of public experience, the adverse effects of increasing controllability, problems of anonymity and bias, and weakening the accountability of participants are also conceivable. In order to maximize the advantages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for public experiences and to promote the path to an inclusive society, institutional considerations are nee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Measures are needed to eliminate the personal gap caused by the use of intelligent information echnology and the competency gap of local government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public experience system. In addition, in order to minimize adverse functions related to individual public experiences of participants, it is necessary to take long-term and short-term measures to enhance digital citizenship as well as organized governance for various data management including public data.

      • KCI등재

        미세먼지 예방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스마트폰 사용과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 II)의 적용

        임종석(Lim, Jongseok),김활빈(Kim, Hwalbin) 한국광고홍보학회 2021 광고연구 Vol.- No.131

        본 연구는 공중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미세먼지에 대하여 헬스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개인의 건강 관련 요소들이 미세먼지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규명하기 위해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미세먼지 관여도, 건강관심도, 헬스리터러시를 스마트폰 사용용이성과 유용성의 선행변인으로 도입하였다. 이번 분석을 위해 전국의 스마트폰 이용자 7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미세먼지 관여도와 헬스리터러시가 높을수록 스마트폰의 사용용이성과 유용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관심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스마트폰 사용용이성이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사용용이성과 유용성이 미세먼지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미세먼지에 대한 스마트폰 이용 맥락에서 개인의 건강 관련 변인의 확장을 통해 기술수용모델을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를 갖는다. 또 복잡하고 전문적인 기능보다는 좀 더 쉽고 편리하게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용이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실무적 함의를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what factors influencing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by using the smartphone with respect to particulate matter that threatens personal health and creates social anxiety. Based on the expa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II), we analyzed the model by including personal health related factors such as involvement, health concern, and health literacy as preceding variables of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fulness. For data collection, a nation-wid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700 smartphone users. Findings showed that respondents who were greater involvement and health literacy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fulness. However, unlike the previous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oncern and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fulnes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lso showed that perceived ease of use significantly increased usefulness and these two variabl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This study has a theoretical implication in that we empirically explored the TAM II through the expansion of personal health-related variables in the context of using smart phones about particulate matter. Findings also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usability to use the smartphone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than the complicated and expertise functions.

      • KCI등재

        언론 불신 시대 언론인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추정된 미디어 신뢰도, 조직-기자 불일치, 직무소진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장정헌(Chang, Jeongheon JC),김활빈(Kim, Hwalbin)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60 No.3

        본 연구는 언론 불신 시대에 언론인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력을 탐색하기 위하여 추정된 미디어 신뢰도와 조직-기자 불일치, 직무소진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조사하였다.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외적 요인인 추정된 미디어 신뢰도와 내적 요인인 조직-기자 불일치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직무소진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했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17 언론인 의식조사〉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했다. 연구결과, 추정된 미디어 신뢰도와 조직-기자 불일치는 모두 직무만족도에 직접 영향을 미쳤고, 직무소진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언론 불신 시대 언론인의 직무소진과 직무만족도의 하락에 대한 이해를 제고시키고, 언론인이 인식하는 ‘추정된 미디어 신뢰도’ 개념을 통하여 미디어 신뢰도 연구의 영역을 확장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esumed media credibility and oraganization-reporter mismatch on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verify the influence of journalists’ distrust of the press on journalists. The presumed media credibility as an external factor and the organization-reporter mismatch as an internal factor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which affected job satisfaction, and job burnout was set as the mediator. To control the effects of other variables and examine the indirect effects, the equation model was analyzed. This study used the survey results of the 2017 Journalist Consciousness Survey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The findings revealed that both the presumed media credibility and the organization-reporter mismatch directly affected job satisfaction and indirectly affected job burnout. The more negatively the public evaluated the media reports and the more journalists feel the discrepancy between the personal values of journalists and the principles actually practiced by the media, the more journalists suffered from job burnout and furthermore, the less satisfied they are with their jobs. This study found that the presumed media credibility had a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 job satisfaction of journalists. Findings showed that media credibility was not only factor in the cognitive dimension recognized by the public or journalists, but also had a social effect that affects the job of journalists through the presumed media credibility. Thu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ystematically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 of the presumed media credibility and expanding the field of media credibility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