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사진에서 응시와 푼크툼(punctum)의 광기적 진실

        김화자(Hwa Ja Kim) 한국현상학회 2016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70 No.-

        바르트의 『밝은 방』은 욕망하는 주체의 무의식적, 정서적 기원을 탐색하는 정신분석적 사유와 감정 연구를 수용한 ‘유연한 현상학(phénoménologie désinvolte)’의 관점에서 사진만의 고유한 ‘단독학(Une Mathesis singularis)으로 집필된 것이다. 바르트는 밝은 방에서 ‘사진의 진정한 힘’이란 정면을 바라보는 ‘응시(regard)의 역설적인 힘’에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응시의 역설적인 힘’이란 지각과 분리되지 않은 주의력이 내면으로 향하는 응시의 ‘스캔들적인 운동(mouvement scandaleux)’에서 기인한다. 이런 응시의 운동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의 ‘총체적 사진’을 발견하게 해주는 푼크툼(punctum)의 광기적 진실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바르트는 응시의 존재론적 욕망의 정동을 긍정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응시의 스캔들적인 운동’의 기원과 효과를 바르트가 참조한 라캉의 투케(tuché), 응시(regard) 개념과 라캉의 ‘응시’에 관한 사유에 영감을 준 메를로퐁티의 ‘살(chair)’의 ‘나르시시즘적 봄’의 특징에 근거해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사진에서 응시란 눈과의 분열에 의해 사라진 결여의 간극을 지니고, 간극은 투케에 의해 ‘실현되지 않은 것’과의 만남을 충동하는 리비도적 특징을 지닌다는 것이 밝혀진다. 게다가 사진의 응시는 명백한 사실과 정서적 진실을 혼합하는 존재론적 운동을 통해 평평하고 투명한 사진의 노에마(noema)에 깊이와 분위기로 ‘가려진 시야(champ aveugle)’를 만들어 사진존재의 보증자가 된다는 것이 드러난다. 요컨대 눈과 응시의 분열에 의한 비대칭적인 반영 작용은 지각-확인, 존재-부재, 허위-진실의 ‘사이존재’가 야기하는 푼크툼의 강렬한 파토스에 의해 ‘진실임직함(le vraisemblable)’이란 광기적 진실에 다가가게 해준다. 결국 사진의 응시는 주체 중심의 이성적 시선에 구멍을 내고 정동적 충격에 의해 상징화될 수 없는 광기적 진실과 조우하게 해주어 이타적인 존재를 위한 열린 공간이 된다는 것이 밝혀진다. Roland Barthes wrote his Camera Lucida as une mathesis singularis. In his book was applied a ‘flexible phenomenology’ of photograph that receives psychoanalytical thought searching for emotions’ origin. Barthes says that true force comes from the paradoxical gaze toward the front. The ‘paradoxical force of the gaze’ comes from its scandalous movement that turns towards the mind with attention that doesn’t separate from the perception. Such movement can reach psycho-pathological truth of ‘punctum’ that discovers the true meaning of ‘a total photograph.’ This paper investigates the origin and the effect of groundless movement of the gaze on the basis of Lacan’s concept of tuché and ontological desire. Furthermore, Merleau-Ponty’s narcissistic vision of fleshly being helps to understand the movement of the gaze. After all, photograph’s regard keeps the gap cracked up by our seeing eyes; this gap has libidinal traits and repeats meeting with things not realized by tuché. It produces ‘the blind view’ in depth and the atmosphere of Noema surrounding a transparent photograph assures the being of the photograph. Asymmetric reflection made by our seeing eyes and the gaze produces a punctum’s pathos. This pathos is made by the rupture between our eyes and the gaze that creates the in-between ‘existence’ of perception and confirmation, of being and absence, and of falsehood and truth. The psycho-pathological truth of ‘seemingly true’ emerges. At last, the gaze of the photograph leads to meet the mad truth, not symbolized by emotions, that makes open space for altruistic existence.

      • KCI등재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적 ‘관계’에 대한 탐색

        김화자(Hwa-Ja Kim) 한국현상학회 2013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6 No.-

        본 논문은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적 ‘관계’의 생성과 의미를 질베르 시몽동의 개체화와 기술에 대한 사유에 입각해서 로이 애스콧의 네트워킹 공동체인 ‘텔레노이아(telenoia)’를 예로 들어 고찰한 것이다. 시몽동은 개체발생의 조건과 과정에 주목하고 정보를 미리 주어진 안정적인 형태가 아니라 준안정적인 퍼텐셜 시스템의 긴장으로 간주하였다. 변환작용을 통해 정보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장(場)이고, 네트워킹 참여자들은 이러한 실행적인 장(場)에서 탈중심적인 과정적 개체가 되는 동시에 타자들과 관계 맺는 감성적이고 지성적인 집단이 될 수 있다. 시몽동의 발생론적 철학을 특징짓는 방법론으로서 교환역학은 상보적인 한 쌍으로 된 위상의 유비적인 관계 구조를 지닌다. 즉 교환역학은 퍼텐셜 에너지를 교환하는 관계적 작용을 통해 구조와 형태보다는 구조와 작용 사이의 교환가능성을 의미하고 구조들의 서로 다름 사이의 대립을 초월하고 생성을 존재의 차원으로 이해하게 해준다. 개체는 비결정적인 자연을 전개체적인 것으로 수반하기 때문에 자기 자신과의 내재적, 사회와의 외재적인 관계맺음에의해 사회적인 것에 통합된 ‘관(寬)개체적인 것’을 구축한다. 이와 같은 새로운 사회적?집단적 개체로서의 관(寬)개체적인 것은 온라인상에서 사용자들의 네트워킹을 연결해주는 ‘텔레노이아’를 확장된 의식 집단으로 이해하게 해준다. 가상의 의식 공동체로서 ‘텔레노이아’는 개인의 폐쇄된 글쓰기 넘어 담론적인 정보주체로서 새로운 집단 정체성인 사회성의 모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또한 시몽동은 인간과 기계에 대한 철학의 균형 잡힌 반성적 사유야말로 문화가 기술결정주의와 환원주의에서 벗어나 기술공학을 융합하는 적합한길을 열어줄 수 있다고 강조한다. 요컨대 비록 시몽동이 기술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했을지라도, 정보기술문화에 대한 철학이 지닌 가치판단의 역할을 간과 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질베르 시몽동의 기술철학에 나타난 ‘기술성(technicité)’의 의미

        김화자(Hwa-Ja Kim) 한국현상학회 2011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1 No.-

        본 논문은 시몽동의 기술철학에 나타난 ‘기술성’의 의미를 그의 저서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 양식에 대하여』를 중심으로 탐구한 것이다. 시몽동은 기술적 실재에 노동과 상관없는 ‘인간적인 것’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기계에 대한 현대인의 부정적인 태도가 ‘기계의 자동성이 지닌 애매성’에서 비롯된다고 진단한 시몽동은 기계의 자동성을 인간이 기계에 참여함으로써 자연과 구조화된 세계를 구축할 수 있게 해주는 ‘비결정적인 작동의 여지’로 간주하고 기술 문화가 기계, 인간, 자연 사이에 상실된 조절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시몽동은 기술성을 ‘위상관계’에 의한 두 존재자의 관계맺음으로 보았다. 기술적 대상은 ‘회귀적 인과작용’, ‘자기-조절 작용’에 의한 위상변이를 통해 기술적 실재인 앙상블로 개별화하는 과정에서 인간-기계 짝짓기라는 인간의 기술적 활동이 작용한 것이기 때문에 기술적 앙상블은 바로 기술성의 결과인 것이다. 기술적 실재의 형태화는 노동이 아닌 시스템의 산물이므로 노동하는 인간은 형태화를 매개할 뿐 외재적이기 때문에 기술적 실재는 단순히 형태와 질료에 의한 형태화가 아니다. 인간이 개입하지 못하는 기술적 시스템의 중심에서 인간의 기술적 작용과 기계의 작동은 하나의 앙상블을 이루게 되어 기술적인 것과 자연적인 것 사이에 연속성이 존재하게 된다. 노동은 매개 없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임에 반해 기술적 활동에서 인간은 매개를 통하여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몽동은 노동과 기술적 작용의 패러다임을 구별한다. 기술적 활동을 매개로 할 때에만 인간의 중심적 권력이 차단되어 ‘공동 집단’이 형성될 수 있고, 자연으로서의 기술성의 의미도 밝혀진다. 기술적, 미학적 사유를 통해 기술 문화적 앙상블 속에 집단의 참여는 원초적인 마술적 세계의 단일성을 복원할 수 있어서 ‘노동의 공동체’ 넘어 ‘기술성의 정신적이고 실천적인 세계’를 설립할 수 있다. 요컨대 시몽동에게서 기술성은 세계에 대한 인간의 관계를 특징짓는 것이기 때문에, 기술성의 의미란 기계와 인간 사이의 소외를 극복하고 소통을 복원할 수 있게 해주어 집단적인 상호작용과 소통을 중요시하는 현대 정보기술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준다.

      • KCI등재
      • KCI등재

        사물인터넷과 메를로퐁티의 ‘상호세계’

        김화자(Hwa Ja Kim) 한국현상학회 2015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65 No.-

        무선네트워크, 센서를 장착한 디지털 기기들이 인간은 물론 다른 사물기기들과 직접 소통하려는 ‘사물인터넷(IoT)’이 최근 디지털 융합산업과 문화의 핵심이다. 인간과 사물기기, 현실과 가상을 연결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려는 사물인터넷의 생태계는 인간이 중심이고 사물이 수동적 객체가 되는 비대칭적 관계로는 제대로 이해될 수 없다. 게다가 사물기기들 끼리의 연결은 자동화 시스템을 더욱 가속화시킨다. 이 논문은 인간이 배제되지 않은 사물인터넷을 위해 이질적인 인간과 디지털 기기의 비환원적인 대칭 관계의 존재론적 특징을 시몽동(G. Simondon)의 ‘기술적 앙상블’, 라투르(B. Latour)의 ‘행위자네트워크이론(ANT)’, 메를로퐁티의 ‘살’의 상호세계에 근거해 탐색한 것이다. 시몽동의 ‘기술적 앙상블’, 라투르의 ‘ANT’는 사물인터넷이 인간-비인간 사물기기가 짝을 이룬 대칭적인 행위자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는 이종적 연결의 존재론적 근거를 제시해 준다. 그러나 자동화와 편리함을 증대시킨 사물인터넷의 네트워크가 초래할 인간 배제, 인간과 기계의 동일화, 투명한 사생활 노출과 같은 폐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존재론적 토대를 메를로퐁티의 몸과 환경과의 ‘감각적?순환적 상호작용’, ‘살의 상호세계’에 입각해 모색했다. 즉 혼종적인 연결망을 통해 몸의 운동감각적, 지향적 정보가 가상세계의 체화된 인지가 될 수 있지만 인간과 기계가 온전히 하나가 되지 않는 비환원적인 대칭적 소통의 의미와 가치를 메를로퐁티의 ‘살’의 ‘키아즘(chiasme, 교직교차)’이 남긴 교훈에서 발견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주체와 객체를 횡단하며 연결하는 살의 원심적-구심적 자기 전개운동인 키아즘이 잡종적인 존재들을 하나로 연결해 상호세계를 형성하지만 그 운동이 완성되지 않는 ‘틈’을 통해 다양한 존재들을 하나로 동일화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인간의 몸과 디지털 기기들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하는 사물인터넷의 이종적 연결망이 상호세계를 형성하더라도, 그 ‘틈’으로 인해 인간과 자연은 기계장치로 환원되지 않는다. 요컨대 메를로퐁티에게서 ‘살의 상호세계’의 원리인 ‘키아즘’은 이종적인 인간과 사물기기들이 주?객의 분리 너머 상호 순환적인 관계로 연결되면서도 비환원적인 존재영역을 유지할 수 있는 ‘틈’, 즉 ‘거리’의 필요성을 깨닫게 해준다. 그 결과 인간과 사물기기, 사물과 사물들 사이의 상호작용적 대화가 만들어 가는 사물인터넷의 상호세계는 인간-기계되기, 기계-인간되기가 완성되지 않는 ‘협력적이지만 대칭적 관계’를 통해 새로운 소통의 네트워크를 창조해나갈 수 있다. Digital devices with radio network and sensors without a support of keyboard and mouse are important in today"s digital convergence industry and culture of IoT that communicates with men and other devices. Both the connection between men and devices and the connection between daily realities and virtual produce new values to let the ecosystem of Internet of things be men-oriented and things be passive object that cannot be understood by asymmetric relation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istence in non-reducing and asymmetric relations between men and digital devices associated with the Internet of things including m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echnical ensembles of G. Simondon, ANT of B. Latour, and the world of flesh in Merleau-Ponty. Not only the technical ensemble of G. Simondon but also ANT of B. Latour have produced a pair between Internet of things and men-machine to be a symmetric Actor-Network and to give a basis for the existence of heterogeneous connection. Network in the Internet of things that has increased automation and convenience may remove men to regard the machines and to disclose humans’ private lives: To lessen such losses and damages as much as possible, the study investigates not only the sensitive circulation with body and environment but also the world of the flesh suggested by Merleau-Ponty. In other words, a hybrid connection network maycognize the virtual world of biometric data of the body; and the doctrine of "flesh" in Merleau-Ponty discovers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non-returning, symmetric communication that does not simply integrate both men and machine completely. The crossing that is centrifugal and centrifetal movement to both the subject and the object can produce a world by connecting different things. The connection network in the Internet of things that connects human body with digital devices can produce a mutual world, and the gap does not belong to either one to prevent men and the nature from being destroyed. "Crossing" that is a principle of the "mutual world of the flesh" in Merleau-Ponty connects body with digital devices to overcome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and to establish a circulating relation and to keep the non-returning area. Interactive exchange and communication between men and things are made not to produce a world between men and being machine but to create a network of the new communications.

      • KCI등재

        사진의 리얼리즘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 롤랑 바르트의 『밝은 방』에 나타난 지시대상을 중심으로

        김화자 ( Hwa Ja Kim ) 한국미학예술학회 2007 美學·藝術學硏究 Vol.26 No.-

        On croyait que la photographie comme la trace de la lumiere justifie la ressemblance absolue et objective, car le referent de la photographie est reliee physiquement a l`objet represente que ce referent designe. R. Bartes a etudie l`essence de la photographie dans La chambre claire au moyen de la photo de sa mere qui a ete prise dans un Jardin d``Hiver a l`age 5 ans. En plus il a eclaire le caractere indiciel du referent, et il a considere le punctum a la fois comme l`essence du referent et comme celle de la photo. Le punctum est le concept principal pour la comprehension ontologique et epistemologique sur ce referent. Afin de savoir que ce referent photographique peut attester la ressemblance exacte et la realite objective, nous avons mene notre recherche en s`appuyant sur la semiologie de Peirce, la phenomelologie ontologique de Maurice Merleau-Ponty, et sur la phenomelologie du sentiment chez Mikel Duffrene. En fait le resultat de notre recherche peut etre en gros resume en quatre. Premierement, R. Bartes nous a fait remarquer que le referent photographique possede la propriete indicielle. L`indice chez Peirce demontre que la realite de l`indice ne signifie pas la ressemblance avec le reel, mais la realite transformee de la situation concrete. Il s`en suit que le referent photoraphique echappe a la ressemblance imitationnelle. Merleau-Ponty a eclaire que notre corps propre habite a la situation concrete du monde, de sorte que le reel percu apparait comme le phenomene par le regard intentionel du sujet percevant. Donc le reel situationel signifie la realite percue et interpretee par chaque photographe, il en resulte que l`indice est inclassable comme la categorie universelle. Deuxiemement, le schema corporel chez Merleau-Ponty entraine la spatialite de la situation possedant la valeur differente, cette spatialite constitue le style propre d`un individu, une nouvelle forme qu`implique la rupture de l`objet reel. Au fond ce fait revele qu`une photographie est le particulier, la contingence. L`ontologie de la chair chez Merleau-Ponty decele la mystere de la vision qui reflete le voyant a travers le visible et implique la division du sujet. Cette vision exprime la Visiblite que les regards anonymes entrelacent, et qui se fonde sur l`invisiblite. Ainsi nous pouvons discerner que le referent est l`etre opaque qui ne peut etre copie par repetition. Troisiemement, le referent se compose du studium et du punctum, celui-la est le code culturel qui peut etre analyse, et celui-ci est le non-code qui peut etre senti par le sentiment personel. Il s`agit de l`air, non pas de la ressemblance, car le punctum existe comme l`air invisible dans le detail de la photo, possede la propriete metonymique provoquant l`extention virtuelle par l`imagination. Cette propriete metonymique permet au referent d`echapper a la ressemblance simple et exacte. Ainsi nous pouvons confirmer que la photographie est sortie de la connexion avec l`objet represente. Quatriemement, le noema qui existe comme le referent du passe absolu du temps, presente la realite de certain passe, il s`en suit que la photo n`atteste pas la ressemblance directe et transparente. En conclusion, notre recherche revele que le realisme de la photographie ne demontre pas la ressemblance extacte et objective, et que le referent dans la photo est l`etre sensible qui se produit a travers les entrelacs du visible et de l`invisible. Le punctum nous a fait remarquer que le referent ne peut etre definit par le langage culturel, mais peut etre senti personnellement. Au fond le studium donne la possibilite de la communication sociale et le punctum indicible produit les interpretations diverses et differenciees. Le referent est l`etre opaque, le lanagage indirect et silencieux.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의 O2O 플랫폼으로서 AR -인터액션의 현장으로서 AR의 존재론적 특성-

        김화자 ( Kim Hwa Ja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 Vol.0 No.65

        4차 산업혁명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유기적으로 융합하는 O2O(Online to Offline)에 의해 제조업, 소비자 요구, 가상정보를 결합한 스마트 제작과 서비스를 시공간의 제한 넘어 현장에서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논문은 왜 4차 산업혁명이 O2O 플랫폼으로서 현실 공간과 단절된 가상 세계에 몰입하는 VR(가상현실)보다 AR(증강현실)에 주목해야하는가를 살펴본다. 즉 이 연구는 기술과 인간의 협력적 앙상블을 강조한 질베르 시몽동(Simondon, Gilbert)에게서 상상력과 이미지의 유기적, 변환적 역동성이 구현된 `상상적 발명`, 나아가 `공동체성`에서 인간 존재의 사회적·실존적 특징을 탐구해 온 낭시(Nancy, Jean-Luc)의 `엑토피아(ectopie)와 코르푸스(corpus)의 공동체`에 근거해 AR의 존재론적 특성과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 AR이란 사용자가 현실 대상과 가상정보 사이의 상호적인 지각과 상상의 관계를 유지하며 실행 중인 경험활동을 통해 리얼리티가 온전히 나타날 수 있게 해주는 `매개적 리얼리티`임이 밝혀진다. 따라서 AR 플랫폼은 다시 인간의 솜씨와 정서를 교감할 수 있는 실존적, 아날로그적인 삶의 가치를 회복시켜준다는 점에서 VR보다 우월하다는 것이 드러난다. 요컨대 4차 산업혁명의 플랫폼으로서 AR의 혁신적 변화가 기술의 `자기조직화(self-organization)`라는 파국 앞에서 행위주체가 가상정보와의 진행형적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교육, 직업으로의 전환은 물론 효율적이면서도 지속가능하고 정감적인 사회적 공동체를 생성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음이 또한 밝혀진다. The purpos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to produce and give services on the spot by utilizing O2O (Online To Offline)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that combine production, consumers` demand and virtual information online and offline. This study has examined why the 020 Platfor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hould be based on AR rather than VR that is disconnected from real spa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ntological feature of AR based on two: Gilbert Simondon`s idea of imagination and images that emphasized the cooperative ensembles between human beings and machine and Jean-Luc Nancy`s concept of the community of Ectopie and corpus that concentrated on the social and existential feature of humans based on the spirit of community. As a result, AR has turned out to be mediational reality through which the users can maintain reality in the process of their experience as they are maintaining the relations of mutual recognition and imagination between the real objects and virtual information. AR Platform, therefore, is superior to VR in that it can help recover the value of existential and analogue life with which the users can commune with human skills and emotions. Through its revolutionary changes, AR Platfor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n help the main agent to make a progressive interaction with virtual information ― when confronted by the catastrophe of the technological self-organization ― and can advance into the new realms of education and careers and provide a new opportunity to create effective, sustainable, and emotional communities.

      • KCI등재
      • KCI등재

        연구 논문 : 기술적 대상(L`objet technique)의 존재: 디지털 이미지의 존재론을 위한 예비적 고찰

        김화자 ( Hwa Ja Kim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0 美學·藝術學硏究 Vol.32 No.-

        일찍이 퍼포먼스와 설치는 작품의 실체적 속성을 비결정성으로 바꿔놓았고, 디지털 기술에 입각한 뉴미디어아트에서 이미지는 스스로 발생, 확장하며 작품의 비결정성과 우연성을 가속화시켰다. 이와 같은 디지털 이미지의 비결정성은 인간의 개입에 의한 기존 이미지 환경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환경의 창조, 차이의 증식을 초래하는 과정적 이미지로서의 발생론적 특징을 지닌다. 본 논문은 인간과 환경과의 보다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해준 기술적 대상의 존재론적 특징을 뒤프렌의 현상학적 관점과 시몽동의 발생론적 입장에서 살펴본다. 두 사상가에게서 메를로-퐁티의 영향은 물론 사상적 교류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에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존재론을 매개로 고찰한다. 뒤프렌의 현상학적 관점은 미적 지각과 인간의 개입 행위를 통해 추상적, 익명적, 잠재적인 상태로 존재하는 기술적 대상이 현실적인 존재로 체험되는 가운데 점차 구체적인 것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밝혀준다. 즉 기술적 대상에 선험적으로 존재하며 세계와의 새로운 통일성을 회복시켜 줄 수 있는 대자연에서 기술적 대상의 발원적인 토대를 찾은 뒤프렌에게서, 기술은 인간을 자연 혹은 세계에 친화적으로 매개한다는 기술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을 발견할 수 있다. 시몽동은 기술적 대상의 존재를 외부에서 주어진 원리가 아니라 기술적 대상 내부에서 준 안정적 상태로 분리구조를 낳는 변환의 체계로 간주한다. 기술적 대상은 생물학에 나타난 생성 중에 있는 미분화 된 배아가 점차 결정체의 구조를 획득해 나가는 존재론적 변환을 통해 추상적인 것에서 요소, 개체, 총체로 구체화되어 가면서 개체화된다. 개체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잠재적인 비결정성은 환경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인간의 개입 가능성을 열어 놓아 기술적 대상은 생성하는 기술적 개체가 된다. 인간의 행위를 통한 기술적 대상과 자연, 세계와의 통일성은 예견된 합목적 성이 아닌 자발성에 입각한 친화성에 의한 것이다. 메를로-퐁티가 인간의 행동이 주변 환경과의 변증법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현재의 상황에서 끊임없는 ``넘어섬``을 강조한 것은 뒤프렌의 비 개체적인 것을 지닌 기본성격에서 그리고 시몽동의 단순한 사회적, 심리적 관계로 환원되지 않는 초개체적인 것에서 그 교감을 찾을 수 있다. 전개체적인 것으로서 미분화된 메를로-퐁티의 ``살``, 뒤프렌의 ``대자연``. 시몽동의 ``전개체적인 것`` 은 개개 의 인간이 사회적 존재의 총체로 존재할 수 있게 해주는 토대이자 구조화되지 않은 기반으로 서 특이함을 드러내 주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개체 속에 존재하는 전개체적인 것의 비결정성과 우연성은 사회적 존재의 기초이면서도 기술적 대상, 인간,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밝혀주는 근거를 마련해 준다. 아울러 메를로-퐁티의 야생적 존재로서 ``불투명한 살``, 뒤프렌의 ``대자연의 질료적 아프리오리``, 시몽동의 기술적 존재에 나타난 ``준안정적인 긴장 상태의 요소``는 실체가 아니라 잠재적인 힘을 지닌 미분화된 전개체적인 것이라는 점과 인간의 행위에 의해 자연, 세계와의 통일성을 회복시켜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세 사 상가의 철학적이고 미학적인 교응점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메를로-퐁티의 살 과 뒤프렌의 대자연에는 지각 장이 불투명한 역사의 모습으로 존재하지만 시몽동은 ``살``에 내포된 지각 장과의 연관성을 비판하고 기술적 대상의 개체 발생을 순수하게 개체의 내재적 지평에서 기술한 점에서 두 현상학자와의 차이가 밝혀진다. Le happening et l`installation faisaient changer la propriete substantielle de l`oeuvre d`art en propriete indeterminable. L`image digital du nouveau media qui se produit par lui-meme, accelerait l`indetermination et la contingence dans l`art contemporain. Cette fissure indeterminable engendre beaucoup d`occasions d`interaction entre les individus. Cette indetermination permet l`insertion de l`homme a l`objet technique, il s`en suit qu`elle produit lenouveau milieu et la proliferation des differences, et qu`elle possede le caractere genetique de l`image du processus. Ainsi nous avons envisage le caractere de I`indetermination de l`objet technique qui foumit la possibilite de l`interaction active entre 1`homme et le mileu du media a travers le point de view phenomenologique de Mikel Dufrenne et le point de view genetique de Gilbert Simondon. En plus cette recherche se fonde sur l`intermediaire de l`ontologie phenomenologique de Merleau-Ponty, car nous pouvons decouvrir la trace de la phenomenologie de Merleau-Ponty qui a eu de l`influence sur la pensee de Dufrenne et celle de Simondon. L`esthetique phenomenologique de Dufrenne revele le fait que l`etre virtuel, abstrait de l`objet technique devient etre actuel, concret par la perception esthetique. Dufrenne decele le fondement originaire dans la Nature qui existe a la fois comme matiere de l`a priori subjectif, le savoir virtuel dans le sujet et comme celle de l`a priori objectif, l`element composant dans l`objet technique. Dufrenne considere la technique comrne mediation entre 1`homme et le monde, ii insiste sur l`aspect positif de la technique malgre son usage violent et politique. Simondon prend l`etre de I`objet technique pour systeme de la transduction dans I`objet technique lui meme qui produit la structure differenciant en etat metastable. Ce systeme designe la transduction ontologique par laquelle le germe en etat sursature est en train de devenir cristal. L`objet abstrait se change en l`objet concret par la transduction ontologique, l`objet technique s`individualise a travers element, individu, ensemble. Le marge virtuel de l`indetermination permet d`intervention de l`homme a l`objet technique, de telle sorte que cette intervention donne l`occasion de l`interaction entre l`homme et le milieu. L`unite de l`objet technique et du monde n`est pas la finalite prevue mais l`affmite spontanee. Merleau-Ponty a souligne que le comportement humain depasse en perpetuel de la situation presente par l`interaction dialectique entre le sujet et le monde. Sa pensee correspond a la personnalite de base qui a le non-individu chez Dufrenne et au transindividuel chez Simondon qui ne reduit pas a la simple relation sociale et psychique. ``La chair opaque`` de Merleau-Ponty, ``l`a priori materiel de la Nature`` chez Dufrenne, ``I`element en etat metastable`` de Simondon ne sont pas des subatances mais des preindividuels indifferencies qui ont la puissance virtuelles. Ces preindividuels gui existent dans chaque individu, sont a la fois le fondement gui pout devenir totalite de individu social et la singularite qui ne pout etre structuree. En fait nous pouvons constater que le preindividuel entralne I`indetermination et la contingence qui revelent la possibilite de I`interaction entre I`objet technique et l`homme, milieu. Il y a le champ perceptif comme histoire opaque dans la chair de Merleau-Ponty, et dans la Nature de Dufrenne, alors que Simondon critique le rapport entre la genese et le champ perceptif, et qu`il recherche la genese de l`objet technique a l`horizon imman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