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눗셈의 1차적 개념이 초등학교 3학년 영재아의 분수의 나눗셈에 대한 개념구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김화수 韓國英才學會 2014 영재교육연구 Vol.24 No.3

        On the subjects of elementary 3-rd grade three child prodigies who learned primary concept of division, this study explored how they could compose schema and transformed schema through recognition of precise concepts and linking with the contents of division of fraction. That is to say, this study examined in depth what schema and transformed schema as primary concept of division they composed to get relational understanding of division of fraction, and how they used the schema and transformed schema composed by themselves to approach problem solving as well as how they transformed the schema in their concept composition and problem solving competen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learning of primary concept of division played a key role of composing schema and transformed schema needed for coping with division of fraction, and that at this time, composition of the transformed schema and transformed schema derived from the recognition of primary concept of division could play the inevitable role of problem solving for division of fraction. 본 연구에서는 나눗셈의 1차적 개념을 학습한 초등학교 3학년 영재아 3명을 대상으로 분수의 나눗셈을 내용으로 하였을 때, 정확한 개념의 인지와 개념의 연결로 스키마와 변형된 스키마를 어떻게 구성을 하는지에 대해 질적 사례연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즉 나눗셈의 1차적 개념으로 어떠한 스키마와 변형된 스키마를 형성하여 분수의 나눗셈에 대한 관계적 이해를 하는지, 그리고 연구대상자들이 스스로 형성한 스키마와 변형된 스키마를 어떻게 이용하여 문제 해결에 접근을 하는지, 또한 연구대상자들의 개념구성과 문제해결력에서의 스키마는 어떻게 변형을 이루어 나가는지를 심도 있게 조사하였다. 그 결과 나눗셈의 1차적 개념에 대한 학습이 분수의 나눗셈을 해결하는데 필요한 스키마와 변형된 스키마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 때, 나눗셈의 1차적 개념에 대한 인지로 인해서 만들어지는 변형된 1차적 개념과 변형된 스키마의 형성이 분수의 나눗셈에 대한 문제 해결에 무엇보다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지적장애 성인의 텍스트 제시 조건에 따른읽기 대기시간에 관한 연구

        김화수,김소정,이지우,이정옥,최예주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8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9 No.2

        This study conducted individual reading of 15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15 life age matching groups to identify literacy rates, read latency, and read errors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ccording to text presentation conditions. There are three types of read text(fairy tales, editorial articles, biographical writing) presented to the participants, with four text conditions(A4 syllabic conditions, A4 word conditions, novel syllabic conditions, novel word conditions) for each type of article. Conclud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een in all conditions between the intellectually challenged adult group and the life age matching group. In the intellectually challenged adult population, as language age increases, reading time, reading latency, and reading errors also decreased. In addition, the read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text in the reading material was presented in large words conditions, and when rows were separated in words rather than syllables. Generally, high reading performance was shown in fairy tales, editorial articles and biographical writing order. This study suggests effective ways to improve reading fluency in reading to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제시 조건에 따른 지적장애성인의 읽기 속도, 읽기 대기시간 그리고 읽기 오류를 알아보기 위하여 지적장애성인 집단 15명 그리고 생활연령일치집단 15명을 대상으로 개별적인 읽기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에게 제시된 읽기 텍스트의 종류는 3가지이며 각 글의 종류에 따라서 4가지의 텍스트 조건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지적장애성인 집단과 생활연령일치 집단 간 모든 조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지적장애성인 집단 내에서는 언어연령이 증가할수록 읽기 속도, 읽기 대기시간, 읽기 오류가 감소하였다. 또한, 텍스트 제시 조건이 A4 조건일 때 그리고 음절보다 어절로 행이 구분되어 있을 때 읽기 수행이 유의하게 높았다. 글의 종류는 대체적으로 동화, 논설문, 전기문 순으로 높은 읽기 수행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적장애성인을 대상으로 읽기 지도 시 효과적인 읽기 유창성 향상 방안에 대해 제안하는 바이다.

      • 구순구개열로 인한 의사소통장애 관련 연구동향 분석

        김화수,임소연,천정민 대한구순구개열학회 2019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recent research into communication disorders caused by cleft lip and palate and to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To do so, we analyzed a total of 43 articles published from 2000 to 2018 in domestic journals. These artic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research areas, and research methods. Research focused mainly on children. Domestic research on adolescents and adults was limited.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focused mainly on the areas of articula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but the resonance, voice, and auditory area was limited. Also, auditory areas were not covered in domestic research. Also, evaluation and intervention regarding communication disorder caused by cleft lip and palate and the study concerning the feature of communication used by subject with cleft lip and palate need to be continued. Research focused mainly on intervention and characteristic study. Based on this analysis, we discussed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 KCI등재

        국내 화용론적 언어사용과 관련된 연구 동향 : 2000년부터 2016년까지 특수교육 지원자를 대상으로

        김화수,이숙,류수연 한국교육치료학회 2016 교육치료연구 Vol.8 No.3

        이 연구는 국내 화용론적 언어사용 논문 146편과 학술지 90편을 분석하여, 화용론적 언어사용과 관련된 연구의 특징과 동향을 알아보고 추가 연구가 필요한 실질적인 범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2010년부터 큰 폭으로 관련 연구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연구대상 장애 영역은 지적장애와 자폐범주성장애 그리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학령전기부터 성인까지 폭넓은 연구가 실시되었다. 연구의 종속변인은 상호작용, 의사소통기술, 또래관계, 주제 유지하기, 규칙지키기, 이야기 산출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경도지적장애, 고기능자폐, 언어장애 등의 영역에서도 화용론적 언어사용 연구가 더 활발히 연구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features and trends of research on the pragmatic language usage and to mak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by analyzing 146 theses and 90 journal articles. It was 2010 when a sharp increase of publications appears in this research area. Most of all, intellectual disability, autistic disability and ADHD showed the highest rates. On the other hand, language and speech disorders appeared less than other disability areas. The age of the subjects was found to be wide spread from preschool to adult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associated with the pragmatic ability to interaction, communication technicques, peer relationships, maintaining a conversation topic following rules, expressive narrativ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pragmatic studies in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high-functioning autism and language and speech disorders.

      • 수학의 1차적 개념에 대한 학습이 상위개념의 관계적 이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공배수 중심으로-

        김화수 한국수학교육학회 2012 수학교육 학술지 Vol.2012 No.2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칙연산과 공배수를 내용으로 하였을 때, 정확한 개념의 인지와 개념의 연결로 인해 형성되는 스키마와 변형된 스키마를 이용한 학습에서 학생들의 개념구성능력과 문제해결력 그리고 학생의 스키마가 어떻게 상위 수준으로 발전해 나가는지, 학생의 개념구성과 문제해결력에서의 스키마는 어떻게 변형을 이루어 나가는지를 심도 있게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일차적 개념에서 이차적 개념으로 발전 할 때, 정확한 개념에 대한 인지와 스키마 그리고 변형된 스키마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 때, 일차적 개념끼리의 연결에 의한 이차적 개념의 형성(이차적 스키마의 형성)보다는 정확한 일차적 개념에 대한 인지로 의해서 만들어지는 변형된 스키마의 형성과 연결이 이차적 개념으로 발전 할 때, 무엇보다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