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같으면서도 다른 하나’ : 열린 주체로서의 문화 개념에 대한 철학적 분석

        김화경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시민인문학 Vol.23 No.-

        본 논문에서는 전지구적 영역에서 벌어지고 있는 문화의 다원화 현상에 주목하여 그로 부터 야기되는 다양한 종류의 대립과 분열을 ‘문화' 또는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개념적 혼동으로부터 야기된 철학적 질병으로 보고 이의 치료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문화’라는 개념의 사용에 관한 의미 분석이 선행되어야 함을 밝힌다. 타문화를 이해하고 인정하기 위 해서, 또한 동일한 한 문화 안에서 발생하는 충돌과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화’ 개념 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식이 필요하며, 이러한 분석을 통해 문화는 상대적이지도, 보편적이 지도 않으며 단지 다원적이며, 상호적이며 가능적일뿐이라고 주장한다. ‘문화’는 본질적으로 ‘사이’를 함축하고 있다. 문화들 사이의 상호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이러한 공통적인 만남의 공간을 문화들 사이의 ‘중간고리’라고 부르며, 이 ‘중간고리’가 갖는 의미와 역할, 중요성의 근거를 현대 언어분석 철학자인 비트겐슈타인의 생활양식의 공유가능성과 가족유사성의 개 념 분석 속에서 찾아보았다. 모든 문화는 상호침투하여 서로 영향을 미치는 가능성이기에 ‘열린 주체’로서 역할을 한다. ‘열린 주체로서의 문화’는 ‘같으면서 다른 하나’에로의 지향을 의미한다. ‘같으면서 다른 하나’로서의 문화는 어떻게 우리가 낯선 문화들 속에서 차이들에 대한 상호인정과 동시에 궁극적으로는 하나의 통합된 움직임을 구현하여 화합할 수 있는지 에 대한 경험적이고 현실적인 대안의 근거를 제공한다. If two completely different cultures come across, how can two individuals that are a part of these cultur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esides, looking at merely one culture, there may also be different opinions and misunderstandings arising among individuals. How can they come to a modus vivendi? Actually, a set of shared standards is the precondition for solving conflicts and for a meaningful communication. Shared standards consist of "the common human ways of acting." In this article, I refer to Ludwig Wittgenstein, who is regarded as a modern analytical philosopher, and I am going to explain how his concepts "form of life" and "family resemblance" contribute to relating "the common human ways of acting" to mutual understanding. My intention is to make clear how a concept of culture if it is regarded as a flexible identity enriches various cultures in an equal way and thus utilizes universalism.

      • 컴퓨팅 사고력과 수학교육

        김화경 수학교육철학연구회 2019 수학교육철학연구 Vol.1 No.1

        이 글은 최근 교육과정에서 강조되고 있는 컴퓨팅 사고력을 수학교육과 연결하여 논의한다. 먼저 컴퓨팅 사고력의 등장 배경과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수학교육을 컴퓨팅 사고력과 연계하여 둘의 관계를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비판적 관점에서 현재 수학교육을 컴퓨팅 사고력과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본 날개옷 설화의 연구

        김화경 한국어문학회 2007 語文學 Vol.0 No.95

        ]This article is to demonstrate the hypothesis that "the Feather Robe" of Japaneslktale was transmitted from the ancient kingdom of Goguryeo(高句麗). The reason set up the hypothesis is that the origin of transmitted area was deeply related to that of Goguryeo. Therefore it is supposed that "the Feather Robe" of Japanese folktale was conveyed from Goguryeo. To support the hypotheses, this article is referred to prior studies. It is believed that the folktale went across from Goguryeo territory to the west coast of Japan. This article also was referred to prior studies that gods in Miho Shrine(三穗神社) of Sruga(駿河國) were moved from Miho Cape(三穗崎) of Izumo(出雲).The relation between "the Woodcutter and the Fairy" and Goguryeo were that 1) the folktale was related to spread area, Geumgang Mountain(金剛山), 2) it took notice of that the folktale was recorded as a born tale of progenitor in Manchuria(滿洲) where used to be Goguryeo territory, 3) this article is referred to Sohn Jin-tae(孫晉泰)'s study that the folktale was influenced by Buryat, who are the part of Mongolians, inhabit in Lake Baikal.Through the above process, this article proved that advanced culture of Korea contributed not a little to form that of Japan, clarifying Japanese folktale of "the Feather Robe" was passed from Goguryeo. 본 연구는 일본의 날개옷 설화가 고구려에서 전해졌을 것이라는 가설을 증명하기 위 위해서 마련되었다. 이러한 가설을 세운 이유는 이 유형에 들어가는 문헌설화의 전승지가 고구려와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는 지역이었기 때문이었다.그래서 이 설화가 고구려의 영토였던 한국의 북부지방으로부터 일본의 서부 연안 지역으로 건너간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스루가(駿河國)의 미호 신사(三穗神社)에 모셔진 신들이 이즈모(出雲)의 미호갑(三穗崎)에서 옮아왔다는 선행 연구를 참조하였다.그리고 한국의 나무꾼과 선녀 이야기가 고구려와 관계를 가진다는 것은, (1) 이것이 금강산에 연루되어 전해지고 있으며, (2) 고구려의 강역(彊域)이었던 만주에서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의 시조 탄생담으로 기록되었다는 데 착안한 것이었다. 그리고 (3) 이 설화가 몽고족의 한 부류인, 바이칼호 근처에 사는 브리야트족 설화의 영향을 받았다는 손진태의 연구를 참조하였다.본 논문은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일본의 날개옷 이야기가 고구려에서 건너갔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한국의 선진적인 문화가 일본 문화의 형성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하였다는 것을 증명하였다고 하겠다.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의 침묵과 소통으로서의 놀라움에 대한 고찰-『논리철학논고』와 「윤리학에 대한 강의」를 중심으로-

        김화경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8 철학·사상·문화 Vol.0 No.28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s of Wittgenstein’s viewpoint on the understanding of the term ‘wonder’, and it wants to give an overview of Wittgenstein’s dynamic stream of thoughts on the meaning of language and behavior. In the logical thinking of the Tractatus, Wittgenstein’s wonder draws a boundary between the limitations of language and the world, and leads us to the ultimate goal of his philosophy through 'silence' about unspeakable mysteries. The wonder here means a contemplative ‘wonder as a mode of silence.’ However, Wittgenstein describes the wonders of the existence of the world by analogy with an 'Excellent Experience' in his writing "A Lecture on Ethics" and reveals the opportunity to gain linguistic access to mystical things provided that we look at the world as a miracle. The term 'wonder' here refers to 'wonder as a mode of communication'. It denotes an understanding of the ethical things which are subject to silence in relation to human life, history, and culture, and it is translated into an anthropological thinking of the language. This shift of the viewpoint on ‘wonder’ shows the originality and continuity of Wittgenstein’s philosophy in that it constitutes the beginning of a new tradition of encountering foreign cultures while acknowledging the old tradition of our cultural heritage. Ultimately the merit of this study would be to reveal a path of meaningful thinking which arises from the path to the liberation of the spirit of Wittgenstein. He, as a human being, initiated it by constantly seeking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series of successive relationships leading to the concepts ‘wonder’, ‘silence’, ‘speaking’ and ‘doing.’ 본 논문의 목적은 ‘놀라움’에 관한 비트겐슈타인의 관점의 변화를 분석하여 언어의 의미와 행위에 대한 그의 역동적인 사유의 흐름을 조망하는 것이다. 『논리철학논고』의 논리적 사유에서 ‘놀라움’은 언어와 세계의 한계를 경계 짓고, 말할 수 없는 신비로운 것들에 대해서는 침묵하는 철학의 궁극적인 목적으로 우리를 이끈다. 이때의 ‘놀라움’은 관조적인 ‘침묵으로서의 놀라움’을 의미한다. 그러나 비트겐슈타인은 「윤리학에 대한 강의」에서는 세계의 존재에 대한 놀라움을 ‘탁월한 경험’으로 비유적으로 기술하고 신비적인 것들에 대한 표현이 세계를 ‘기적’으로 볼 때 가능함을 밝힌다. 이때의 ‘놀라움’은 침묵의 대상이었던 윤리적인 것들을 인간 삶과 역사, 문화 등의 연관성에서 이해하는 ‘소통으로서의 놀라움’을 의미하고 이는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에 대한 사유가 인류학적 고찰방식으로 전환되는 시발점이 되고 있다. 이러한 ‘놀라움’에 대한 관점의 전환은 오래된 전통을 계승하면서 낯선 문화와의 만남 속에서 새로운 전통을 구성한다는 점에서 비트겐슈타인 철학의 독창성과 연속성을 보여준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은 ‘놀라움’, ‘침묵하기’, ‘말하기’ 그리고 ‘행동하기’로 이어지는 일련의 연속된 관계들의 정립을 통해 끊임없이 세상과의 소통을 모색했던 인간 비트겐슈타인의 정신의 해방의 길을 쫒아가는 의미 있는 사유의 길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