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연과 인간, 하늘과 선비의 다툼 -유몽인(柳夢寅)의 「일사여천쟁부(一士與天爭賦)」 소고(小考)-

        김홍백 ( Kim Hong-baek ) 근역한문학회 2017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6 No.-

        본고는 조선 중기 문인지식인 柳夢寅(1559~1623)의 작품 「한 선비와 하늘의 다툼에 관한 부(一士與天爭賦)」를 중심으로 그의 天人觀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근대 이전의 중세동아시아에서 `자연을 넘어서려는 인간`이라는 존재양태가 출현하게 된 사상적 의미를 시론적으로 살펴본다. 여기에는 하늘과 인간의 극단적인 불화와 대립이 전면적으로 드러나 있다는 점에서, 동중서의 `天人相關說`과 유종원의 `天人無關論` 및 유우석의 `人能勝天論` 에 이어 이른바 `天人相爭論`이라 명명할 만한 사유가 담겨 있다. 유몽인은 꿈속에서 목도한 `文天祥과 上帝의 다툼`이라는 夢遊錄의 상상적 형식을 통해 `理念과 天命의 다툼`을 쟁점화한 것이다. 이러한 `천명에 대항하는 인간`형은 근대의 것으로 간주되었던 `자연을 넘어서려는 인간`의 중세 동아시아적 형태라 할 수 있다. In this thesis, I explore Yu Mong-in(柳夢寅)`s the Thought of Heaven and Human being(天人觀) focusing on 《The Bu(賦) of Conflict between one Seonbi(士, Classical Scholar) and Heaven(天)(一士與天爭賦)》. and I explore the thought historical meaning of the appearance of So-called “the human who is going to go beyond nature” in the medieval East Asia before the modern era. In this piece of work, the extreme discord and confrontation of the Heaven and the Human being are fully revealed. There is a reason to call it the so-called “The thought of conflict between Heaven and Human beings(天人相爭論)” adding “the thought of unity of Heaven and Human being(天人相關說)” of Dong Zhong-Shu(董仲舒) and “the thought of disrelation of Heaven and Human being(天人無關論)” of Liu Zong-yuan(柳宗元), and “the thought of human being who overcomes the Heaven(人能勝天論)” of Liu Yu-xi(劉禹錫). This type of “Human being against the mandate from Heaven(天命)” is a medieval East Asian form of “the human who is going to go beyond nature” which was regarded as modern.

      • KCI등재

        성인들의 태권도 활성화를 위한 방안과 프로그램 개발

        김홍백(Hong Baek Kim),한성진(Seong Jin Han) 한국사회체육학회 2009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37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show the best devices to revitalize Teakwondo for adults and what kinds of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Teakwondo for adults, in detail. The subjects used in this research were 280 parents, whose children were attending Teakwondo training schools, and live in the Kangwon and Kyungki province. The method was through a non-structed questionnaire with open-ended questions and qualitative methodology. The tests and results conducted with the methods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5 detailed sections and 678 original data drawn out as devices to revitalize Teakwondo for adults. "Developing programs enjoyable and helpful for health"(49.9%) was the highest out of 5 sections. "Developing program for turning spare time to good account"(336.%) and "Supplying better facilities of Teakwondo training schools" were followed. The results classified from the original data by detailed sections showed that it will be helpful to develop enjoyable programs, that could be learned easily(21.1%), to develop programs helpful for health(19.5%), to supply better facilities of Teakwondo training schools(9.6%), to develop new programs for adults, to make Teakwondo associations or clubs, to develop Teakwondo training schools as places helping turn spare time to good account and to create a good atmosphere for adults to join Teakwondo. Secondly, the devices of developing detailed programs to vitalize Teakwondo for adults were to develop enjoyable programs that could be learned easily(36.2%), to develop programs helpful for health(33.7%) and to develop new programs for adults(30.1%).The results classified from the original data by detailed sections represented that the adults filled their questionnaires with Taekwon gymnastics or Taekwon stretching, meditation and brain respiration training using Teakwondoo, strengthening body constitution using Teakwondo, Teakwondo training with music and running Teakwondo classes for adults.

      • KCI등재

        『대가문회(大家文會)』의 선록 양상과 그 의미

        김홍백 ( Hong Baek Kim ) 한국고전문학회 2016 古典文學硏究 Vol.49 No.-

        본고는 柳夢寅(1559~1623)의 고문 선집인 『大家文會』의 선록 양상과 그 의미를 탐구한다. 이를 위해 먼저 각 대학 도서관과 기관에 산재된 『대가문회』를 취합ㆍ정리하여 전체 10책 21권의 편목을 재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집에 수록된 고문 텍스트 중 그 선록 분량에 있어서나 내용에 있어서나 가장 유의미한 『左傳』을 중심으로 선록된 각 칙의 대체적인 양상과 의미를 구체적으로 검토한다. 이를 통해 그의 고문 선록 작업이 단지 문체나 수사 류의 ‘문학적인 것’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중세 동아시아에서 강박적으로 반복되어 오던 국제질서와 국내문제 상의 정치적ㆍ사회적ㆍ외교적 쟁점들을 원형적으로 환기시키는 지극히 ‘정치적인’ 맥락 안에서 이루어졌음을 조명한다. In this thesis, I explore Selection aspect and its Meaning about Ancient writing in the Anthology "Daegamun-hoe(大家文會)" of Yu Mong-in(柳夢寅, 1559~1623). First of all, I reconstruct table of contents of 10 books 21 volumes by collectting odd volumes of "Daegamun-hoe(大家文會)" scattered in Each university and institution. and above all I investigate Selection aspect and the meaning of "Zuo Zhuan(左傳)" which appear most important in the Ancient writing(古文). Consequently, I argue that Yu Mong-in(柳夢寅)``s Anthology would not be limited to literary thing such as style and rhetoric, were made in the Political context reminded archetypical issue of politics and society and diplomacy in the international order and domestic problems that has been repeated obsessively through East Asia in the Middle Ages.

      • KCI등재

        유몽인 문학에서의 시안(詩案)과 시참(詩讖)

        김홍백 ( Kim Hong-baek ) 한국한시학회 2016 韓國漢詩硏究 Vol.24 No.-

        본고는 종래에 별도로 연구되었던 詩案과 詩讖이 상호 어떻게 계기적으로 연관되어 인식되고 작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는지에 관해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유몽인 문학에서의 시안과 시참 및 이에 대한 자신의 비평적 기록을 바탕으로 그의 시안과 시참 인식을 상관적으로 살펴보고 나아가 詩외의 讖, 語讖, 夢讖, 文案등으로 범위를 확장하여 `정치적인 것`과 `징험적인 것`이 상호 어떻게 긴밀히 조응 가능한지 구체적인 작품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시와 시인 또는 말과 문인 간의 관계에 있어 정치와 운명, 天道와 人事, 天道와 人力 등이 때때로 맞물리거나 어긋남으로서 초래되는 시참(어참)과 시안(문안)의 근저에 공통적으로 性情論이 놓여 있음을 주목하였다. In this thesis, I explore the ways in which the Taking Poetic Penalty Case(詩案) and the Poetic Prophecy(詩讖) are connected mutually. In this regard, this paper examines the Taking Poetic Penalty Case and the Poetic Prophecy and critico-retrospection related thereto of Yu Mong-in(柳夢寅)`s Literature. Also this paper examines cognition on the Taking Poetic Penalty Case and the Poetic Prophecy and the Linguistic Prophecy(語讖) and the Prophecy of dreams(夢讖), the taking Linguistic penalty case(文案). and I explore how "Political Things" and "Prophetic Things" are interconnected. At the conclusion, I argue that the Theory of the Nature and Emotion(性情論) forms the basis of the Taking Poetic Penalty Case and the Poetic Prophecy caused of spiritual link and crisscross between politics and fate, the Way of Providence(天道) and the World of Human beings(人事)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em and poet, language and writer.

      • KCI등재

        이옥(李鈺)산문에서의 "성적쾌(性的快)"의 형상화 방식과 그 의미 : 「夜七」과 「七切」을 중심으로

        김홍백 ( Hong Baek Kim ) 한국한문학회 2011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8

        李鈺(1760~1815)과 그의 작품에 대한 연구에는 연구시각에 있어서의 ''내재적 발전론''과 ''외재적 영향론'' 및 性談論에 있어서의 ''억압''과 ''균열''이라는 이분법적 도식 등이 공히 중첩되어 있다. 본고는 이와 같은 다소 관념적 도식을 극복하기 위하여, 실제 글쓰기의 ''문체적 층위''에서 이옥 산문의 미학적·윤리적 특질을 보다 선명하게 조명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본고가 주목한 이옥의 글은 「夜七」과 「七切」이다. 이 두 편의 글은 枚乘의 「七發」에서 연원한 七體漢賦와 김성탄 비평본 西廂記의 ''不亦快哉'' 전통 위에서, 기왕의 七體와 ''不亦快哉'' 전통에 존재하지 않았던 ''남녀의 육체적 열망과 성교'' 부분을 새로 삽입하여 여성이라는 성적 대상을 통한 쾌락을 비롯한 현세적 욕망의 다양한 층위를 표현하였다. 특히 「七切」의 경우에는, 글 전체의 구조는 문답체를 통해 당대조선의 현세적 욕망과 유가의 ''玩物喪志''적 금지 욕망이 충돌하면서 ''逆說''의 미학적 효과를 구현해내는 한편, 단락 층위에서는 ''여인의 용모 묘사 - 한시 수창 - 성교''의 3단 구성을 통해 애정전기의 문체적 특징과 상통하는 섬려하고 화려한 문어체와 삽입시의 활용을 비롯, 4언구·3언구·6언구 등의 반복과 열거를 통한 다채로운 구자와 구식을 운용하여 감각적이고 화려한 서정성을 구현하였다. 그런데 「七切」의 결미는 이옥의 대리자인 花石子에 의해 앞에서 열거된 ''性的快''와 같은 현세적 욕망들이 부정되고 급기야 개인의 ''安分''이 ''經世''에의 지향으로 확장 연결된다는 점에서 이채롭다. 이는 私的영역에서의 현세적 쾌락이나 속화된 욕망과 달리, ''士''로서의 사회적 책무의식이 담지되어 있는 公的영역에서의 대사회적 욕망이라 할수 있다. 이런 점에서 「七切」은 앞 7개의 문답 구조 안에서는 客의 ''私的욕망[快]''이 더욱 호소력을 지니고 있다가, 이후 8번째 花石子의 논변에서는 유자로서의 ''公的욕망[快]''이 더욱 호소력을 지니게 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느 한 쪽의 입장이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지 않고, 상호 착종되면서 공히 ''快''로서 병존하고 있는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私的·公的''快''의 병존 양상을 실제 이옥 자신이 꿈꾸었던 욕망의 모순적이고도 복합적인 면모로 파악하였다. A Study on the Literature of Lee Ok(李鈺) are overlapped by ''the Internal Development Theory'' and ''the External Influence Theory'' in the perspective of research and ''Repression'' and ''Crack''(a dichotomy of diagram) in the sexual discourse. To overcome these sorts of diagram, This thesis aimed at examining the aesthetic and ethical peculiarities of Lee Ok(李鈺)'s prose. To achieve this, This thesis focused on the 「Ya Chil(夜七, Seven Nights)」 and 「Chil Jeol(七切, Seven Rebuffs)」of Lee Ok. I explore the ways in which these two prose appropriates ''Chil Che Han Bu(七體漢賦)'' tradition of Mei Cheng(枚乘)'s 「Qi Fa(七發)」and ''Isn''t it delightful?(不亦快哉)'' tradition of Kim Songt'an(金聖嘆)'s Critical Works(『Xixiangji(西廂記)』). Particularly, the conclusion of 「Chil Jeol(七切, Seven rebuffs)」is very interesting. Because temporal desire such as sexual delightfulness(性的 快) of this prose are denied and after all expanded in the social perspective. It is not Personal Desire such as temporal pleasure but Public Desire such as sense of responsibility. But Personal Desire and Public responsibility are coexisted in the entire prose. I argue that these coexistance is compositive aspect of desire in the Lee Ok's prose.

      • KCI등재

        결사(結社)로서의 윤리와 경제 공동체 -조선 후기의 향도(香徒)와 동약(洞約) 담론을 중심으로-

        김홍백 ( Kim Hong-baek ) 한국한문학회 2021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1

        본고는 근대 이전 結社의 대표적 두 형태인 香徒와 鄕約을 통해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영성/이념 공동체이자 상호부조적 마을/생활 공동체의 역사적ㆍ사상적 의미를 조망하고자 한 시도이다. 이를 위해 먼저 結社의 어원을 탐색하고 香徒와 鄕約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그 연장선상에서 洞約 내지 鄕約을 통해 鄕村에서의 인적ㆍ관계적 윤리와 사회ㆍ경제적 부조가 어떠한 상호적 실천규약으로 구축되고 있는지 조선후기 실학자 安鼎福의 洞約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나아가 안정복과 동시대의 실학자 柳壽垣의 의론을 중심으로 기층의 민간결사인 ‘香徒禊’가 經世的 治國의 측면에서 어떻게 새로이 사고되고 있는지 조망하였다. 이를 통해 안정복과 유수원은 향촌 사족 중심의 상하합계적 동약이냐, 시장ㆍ성읍까지 포괄하는 한민 중심의 실용주의적 향도계이냐의 차이를 차치한다면, 공히 일상과 생활의 日用事物을 중시하는 실학적 태도를 기반으로 조선의 민간결사인 鄕約이나 香徒를 각기 이론적으로 재인식하고 당시 조선의 사회경제적 현실 위에서 실천적ㆍ윤리적으로 사유했음을 검토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wo representative forms of an Association(結社) in the late Chosŏn dynasty, the Hyang-do(香徒, Buddhist Associations) and Dong-yak(洞約, Village Covenant). Through this, this paper attempts to look at the historical and id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traditional spiritual and ideological community in the East-Asia, as well as the mutual aid village and living community. First, the etymology of the Association(結社) was search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yang-do(香徒) and Hyang-yak(鄕約) was considered. Focusing on the Dong-yak(洞約, Village Covenant) of the late Chosŏn Silhakja(實學者, Practical Leaning school scholar) An Chong-pok (安鼎福), I looked into the practice of relational ethics and socio-economic mutual aid in the village. In addition, in this paper, focusing on the arguments of contemporary Silhakja(實學者) Yoo Soo-won(柳壽垣), I reviewed how the people's private association, ‘Hyang-do(香徒)’, is newly thinking in terms of state governance.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two intellectuals both thought practically and ethically based on the Practical Leaning attitude of placing importance on daily life and daily affairs in the late Chosŏn Dynasty.

      • KCI등재

        조선 지성사에서의 왕도(王道)와 패도(覇道) 담론

        김홍백 ( Kim Hong-baek ) 한국고전문학회 2021 古典文學硏究 Vol.60 No.-

        본고는 조선에서의 王覇 담론에 대한 통시적 연구이다. 王道와 覇道의 문제는 사상적으로는 맹자와 순자, 주희와 진량의 왕패 담론을 일정하게 계승한 것이면서 역사적으로는 여말선초(원명교체)와 임병양란(명청교체), 구한말(서세동점)의 전환기마다 첨예화된 이상 정치와 현실 정치 간의 긴장 관계가 반복 변주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맹자가 개념화한 왕도와 패도는 동아시아 유가문명권에서 ‘덕에 의거한 윤리의 실천(以德行仁)’과 ‘힘에 의거한 윤리의 가장(以力假仁)’이라는 공존 불가능한 적대적 상극의 관계로서 항시 호명되고 소환되었지만, 일각에서는 이러한 이원화된 구도 안에서 왕도와 패도, 윤리와 현실의 관계를 상극만이 아닌 ‘상생’, 대립만이 아닌 ‘상보’로도 인식하고자 했던 흐름 또한 존재하였다. 본고에서는 왕도와 패도 양방을 기왕의 통념적 대립의 구도를 넘어 공히 가치중립적으로 승인하거나 패도를 상대화하여 그 현실적 의미를 왕도와의 관계에서 새로이 재인식하고자 했던 다양한 담론들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조선에서의 일반적인 ‘패도 비판 양상’을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여말과 조선 중기, 18세기의 시공간에서 현실 정치의 권력주체인 王이 유가적 이상 정치의 이념주체인 士와의 긴장 속에서 어떻게 왕도 정치의 비현실성을 의심하고 ‘윤리와 현실’ㆍ‘이념과 실재’ 간의 역사적 아이러니에 의문을 품었는지 검토하였다. 아울러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익을 중심으로 왕도와 패도의 관계가 ‘은혜와 은덕’을 통한 교화라는 윤리적ㆍ가치적 이념과 ‘위엄과 형벌’을 통한 강제라는 현실적ㆍ제도적 장치 간의 상보적 균형성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나아가 유가적 이상 정치를 그 반대편의 비윤리적 현실을 인정하고 이를 경유하여 천천히 도달해야 할 일종의 ‘잠정적 유토피아(Provisional utopia)’로서 사유되고 있음을 조명하였다. 곧 ‘인의의 부재’(暴政) ⇨ ‘인의의 가장’(覇道) ⇨ ‘인의의 실행’(王道)의 삼단과정에서 ‘인의의 가장’이 왕도 정치로 나아가기 위한 매개적 경유지로 상정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왕도 정치에의 윤리적 이념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패도 정치라는 실재의 현실을 승인하면서 점진적ㆍ잠정적 이상을 추구하고자 하는 ‘현실적 이상주의자’ 내지 ‘유가적 리얼리스트’로서의 세계 태도라 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왕패의 상보적 병용’ 내지 ‘패도의 잠정적 승인’으로서의 왕패 인식은 조선 후기 지성사에서 크게 두 개의 흐름으로 계승되었다. 하나가 ‘王道=義 VS 覇道=利’의 상극적 구도에서 후자인 ‘利’에 대한 유가적 승인이라면, 다른 하나는 ‘王道=道 VS 覇道=器’의 위계적 구도에서 전자인 ‘道’ 내지 후자인 ‘器’에의 극단적 편향에 대한 동시 지양이다. 이는 공히 왕도와 패도, 의리와 이익, 목적과 수단 사이의 균형적 인식을 드러낸다. 아울러 이러한 왕패 담론이 서세동점의 구한말에 이르러서는 더 이상 中華와 夷狄, 王道와 覇道의 구분이 불가능해졌다는 시대 인식 위에서 ‘夷狄/覇道’의 것이라도 지금 조선에 도움이 된다면 배워야 한다는 利用厚生으로서의 ‘北學’의 논리가 서양을 배워야 한다는 ‘西學’의 논리로 확장 계승되었음을 조망하였다. 이른바 ‘패도의 재인식’이라는 차원에서 여말 이래 조선 중후기를 거쳐 전개되어온 일련의 새로운 왕패 담론이 華夷論과 연계되어 19세기 말의 전환기에까지 연속적으로 심화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n this thesis, I explore the discourse of the wang dao(王道, the way of the true king) and the ba dao(覇道, the way of the hegemon) in the Middle and the Late Chosŏn Dynasty. The problem of the wang dao(王道) and the ba dao(覇道) is that, ideologically, the discourses of Mencius(孟子) and Xunzi(荀子), Chu Hsi(朱熹) and Chin Liang(陳亮) have been consistently inherited. In addition, historically, the tension between ideal politics and real politics, which has been sharpened at each transition period, between the close of the Korea Dynasty & the beginning of Chosŏn Dynasty(麗末鮮初),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the Manchu war(壬丙兩亂), the eastern penetration of western powers(西勢東漸) has been repeated and varied. In this thesis, I focused on various discourses that attempted to recognize both the wang dao(王道) and the ba dao(覇道), relativizing both sides of the wang dao(王道) and the ba dao(覇道) in a relationship with the wang dao(王道), beyond the conventional confrontational structure. To this end, I first review the general 'criticism of the ba dao(覇道)' in the Chosŏn Dynasty, and based on this, the tension between the king, who is the subject of power in real politics, and the ideological subject of Confucian ideal politics, in the time and space of the end of the Korea Dynasty, the middle of the Chosŏn Dynasty, and the 18th century. It examines how the historical irony between 'ethics and reality' was questioned. In addition, Lee Ik(李瀷), a Sirhak(Practical Learning) scholar in the late Chosŏn Dynasty, understood wang dao(王道) and the ba dao(覇道) as a balanced relationship between the ethics and system of 'grace and punishment'. It shed light on thinking as a kind of 'provisional utopia'. This can be said to be the attitude of the world as a 'Confucian realist'. Furthermore, this recognition of the wang dao(王道) and the ba dao(覇道) was inherited in two major streams in intellectual history of Late Chosŏn period. If one is a Confucian approval of the latter, 'profit(利)' in the mutual oppositive structure of 'the wang dao(王道) = righteousness(義) VS the ba dao(覇道) = profit(利)', the other is a simultaneous avoidance of the extreme bias toward the former, 'truth(道)', or the latter, 'vessel(器)' 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wang dao(王道) = truth(道) VS the ba dao(覇道) = the vessel(器). This reveals a balanced perception between wang dao(王道) and the ba dao(覇道), righteousness(義) and profit(利), and end and means. In addition, in the Chosŏn Dynasty of the late 19th century, the logic of 'Bukhak(北學, Northern Learning)' that even the things of 'barbarian(夷狄)/ba dao(覇道)' should be learned if they are helpful to Chosŏn was gradually extended and inherited into the logic of 'Seohak(西學, western Learning)'. In the so-called ‘recognition of ba dao(覇道)’, it can be seen that the new discourse on the wang dao(王道) and the ba dao(覇道) is continuously intensifying until the turning point of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n connection with the theory of civilization and barbarism(華夷論).

      • KCI등재

        국내 스키산업의 현황과 발전과제

        김홍백(Hong Baek Kim)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2002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23 No.-

        This study is aimed of understanding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domestic ski industry and deterrent problem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ki industry, with suggested solutions.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domestic ski industry was analyzed based on both domestic and foreign visitors, and ski-related irrational system and policy were presented of develop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1, 2001 to October 30, 2002. Resources of the study were: theses, books, reports, statistical data, magazines and daily newspapers related to the study. 1. There are currently 14 domestic ski slopes being operated, and 12 of them are located in Kangwon and Kyongki provinces. Four more ski slopes are expected for completion by 2005. 2. With the exception of the year 1997/98, ski season due to experiencing IMF, the number of ski slope visitors have been increasing, and number of for 2001/02 was over 4 million. 3. The number of foreigners visiting Korea is increasing every year, but 17% of the number of ski slope visitors for 2000/21 was decreased, and 24% of the total sales decreased. 4. For the ski industry, due to the season being short, ample funds were invested for resort establishments to maintain year-round operation, but above all other services; sales in skiing remained the highest. 5. By the governments tax law amendment, only a value added tax is currently imposed on the ski lift rights. However, because of the continual increase of the ski slope fees, only resulting as the operators sole profit. Therefore, legal standards should be set according to the raise of the ski slope fee, and its system should be restricted. 6. In the case of constructing ski slopes, since the process from its application to completion is entirely complex, necessary requirements for its simplification should be applied. 7. For the development of ski slopes, although it gives much support to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country and local economy, the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pollution from the developments should be minimized. 8. Accidents related with safety in Korean Ski areas are estimated to happen at the rate of 1,000 persons out of one thousand persons. That rate is relatives higher, compared with those in Japan and America. The main causes of the accidents related with safety are ·˚) a lack of the number of ski areas which can accommodate increasing skiers enough and ·¢) the negligence of the skiers for safety.

      • KCI등재

        유몽인의 「안변삼십이책」 연구: 조선 중기 문학에서의 "정치(政治)"의 한 사례로서

        김홍백 ( Hong Baek Ki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2 민족문학사연구 Vol.48 No.-

        유몽인(柳夢寅, 1559~1623)의 「안변삼십이책(安邊三十二策)」은 1610년에 당시 함경감사로 부임한 한준겸(韓浚謙, 1557~1627)에게 보낸 장편 시무책이다. 이 글은 유몽인이 단지 ``문장가``로서만이 아니라 ``경세가(經世家)``로서도 중요한 인물임을 드러낸다. 여기에서 설파되는 총 32개의 안변책(安邊策)에는 특정 변방지역에만 한정되지 않는, 조선 전반의 사회·경제적 낙후성을 직시하고 이를 정책적으로 쇄신시키고자 하는 문제의식이 담겨 있다. 유몽인은 이러한 ``정치적 의제``를 관철시키기 위해, 그 원리적(문헌적) 준거로서는 중국 춘추전국시대부터 당나라 시기까지의 주요 ``병서(兵書)``들을 전범으로서 활용하고, 그 실체적(현실적) 준거로서는 자신이 직접 견문한 동시대 중국의 사회·경제적 선진성을 전범으로서 활용하였다. 곧 고대 중국 문헌과 당대 중국 현실이라는 두 층위에서 조선의 전범적 좌표축을 설정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경우는 조선의 낙후성과의 대비 하에 중국의 벽돌과 수레의 제도 및 화폐와 상업의 활성화를 본받아야 한다는, 조선후기 내내 문제시되었던 사회·경제적 층위에서의 이른바 ``북학(北學)``이 주장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전범의 두 가지 층위를 실마리로 삼아 본고는 유몽인 경세론의 정치사상적 토대로서 ``병서``가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나아가 그것이 유몽인의 ``문학``[古文]과 어떻게 관계되는지를 조선 중후기 문학사의 흐름 안에서 조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병서를 제자백가·선진양한의 고문(古文)으로 인지하는 경향은 고문가(古文家)에게 발견되고, 병서에 내장되어 있는 ``병(兵)`` 담론을 제도적·사회경제적 쇄신책의 일환으로 전용하는 경향은 실학자(實學者)에게 발견됨을 주목하였다. 이러한 흐름 안에서 유몽인 또한 자신의 고문 선집작업(『大家文會』)을 통해 고문(古文)을 일련의 ``정치적 사고`` 위에서 인지하고 있었으며, 아울러 ``병(兵)`` 담론을 낙후한 조선의 정책적 쇄신책으로 적극 활용함으로서 후대의 이른바 ``이용후생(利用厚生)으로서의 병(兵) 담론``과 상통하는 면모를 보였다. 이를 본고에서는 유몽인 정치사상의 근저에 ``兵書[古文]로서의 정치`` 혹은 ``정치로서의 兵書[古文]``라는 사고가 전제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Yu Mong-in(柳夢寅, 1559~1623)`s <The 32-point Northward Policy>(安邊三十二策) is a full-length policy paper that was sent to Han Jun-gyeom(韓浚謙, 1557~1627) at the provincial governor of Hamgyeong-do. This paper is marked by Mong-in`s a prominent political reformist characteristic. The 32-point Northward Policy face up the socio-economic backwardness of Chosun(朝鮮) and have a critical mind to emerge from the backwardness by administrative·political·fiscal reform policy. I explore the ways in which his 32-point Northward Policy allude to various books on strategy(兵書) of "ancient Classics", and the ways in which his 32-point Northward Policy describe the China`s various socio-economic advancements of "contemporary Classics." Particularly, the latter is noteworthy that his thought is shared with the school of northern studies(北學派). They all, for instance, exhorted to emulate Chinese brick and wagon, to promote commerce and circulation of hard currency. In the forth chapter, I explore, furthermo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books on strategy(兵書)" and "classical Prose(古文)" as his ideological foundation, and it`s Significance in Middle and Latter Chosun Period. Consequently, I argue that Mong-in`s Political ideas has thoughts of "The Politics based on books on strategy[Classical Prose]" or "The books on strategy[Classical Prose] based on Politics."

      • KCI등재

        전환기 문학의 어긋남 - 변영만의 글쓰기를 중심으로

        김홍백 ( Kim Hong-baek ) 한국고전문학회 2020 古典文學硏究 Vol.58 No.-

        본고는 전환기 지식인 변영만의 글쓰기에 나타난 시대 인식에 대한 통시적ㆍ종합적 고찰이다. 이를 위해 변영만이 20세기 초에서 해방 직후까지의 정치적ㆍ사상적 시공간에서 한문 글쓰기와 국한문 글쓰기를 병용하여 각 시대 가장 첨예한 쟁점이었던 애국계몽기의 제국주의와 사회진화론, 일제 치하의 식민지 조선과 조선인, 해방공간에서의 사회주의와 마르크스 등을 각기 어떻게 인식했는지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변영만 글쓰기에서 애국계몽기의 사회진화론 인식과 일제강점기의 조선인/조선 인식 및 해방공간에서의 사회주의와 급선무 인식 등은 공히 양가적이고 관념적인 경향성을 지니고 있다. 사회진화론에 대해서는 종교를 천시하고 조롱하는 妄論이자 종교에 대한 일개의 도전장에 불과하다며 비판하면서도 동시기에 “適者生存, 不適者滅亡”이라는 진화론의 원칙을 수용하여 우리도 경쟁의 무대에 뛰어들어야 劣敗의 지위를 벗어날 수 있다고 긍정하기도 하였다. ‘조선인’과 ‘조선’에 대해서는 당대에 실재하는 조선인에 대한 ‘과다한 혐오’와 단군 시대의 관념화된 조선에 대한 ‘과다한 숭상’의 양가적 태도로 착종되어 나타나기도 하고, 조선인의 품성을 개조해야 한다는 계몽적 엘리트주의 내지 조선을 오히려 ‘중국적인 것의 宗家이자 母胎’로서 신화화하는 민족주의자의 면모로 나타나기도 하며, 부국강병(제국주의)으로 표상되는 서구적 근대성에 대한 안티테제로 ‘心의 중앙’인 조선만의 고유하고 지고한 道法을 강조하기도 하고, 배타적 자민족중심주의를 넘어서는 초민족적 보편주의를 한문 전통의 계승을 통해 표방하기도 한다. 원리적 사유에 내장된 (주어진 현실을 넘어서는) 근원적 성찰과 (주어진 현실을 회피하는) 관념적 착종이 모두 발견되는 것이다. 사회주의에 대해서는 “종교는 인민의 아편이다.”라는 명제로 신을 부정하고 러시아처럼 문학예술까지 국가에서 통제하려는 폭압성에 대해 종교와 문예라는 정신문화적 차원에서 비판하는 한편, 동서양이 공명 가능한 또 다른 정신문화적 가치인 ‘熱切’과 ‘淸貧’의 측면에서는 오히려 마르크스를 고평하기도 하였다. 또 자본가와 노동자의 관계를 남성과 여성, 아버지와 자식의 관계로 유비시켜 노동자가 자본가를 압도하는 ‘노동자 봉건왕국’이 군림하듯 여성이 남성을 압도하고 자식이 아버지를 압도하는 ‘女男 平等’과 ‘子權 伸張’의 세계가 도래할 것을 우려하였다. 아울러 변영만은 독재적 군주제를 비판하며 데모크라시 사상의 발육을 강조하기도 하였지만, 해방공간의 정당과 신문, 대학 등을 강제적으로 통폐합시키고 ‘도태’된 대학은 실업학교로 변경시키며 군부대를 동원해서 계룡산 사교집단의 봉쇄ㆍ해산하라는 과격한 해법을 ‘最急務 中의 最急務’로 제안하기도 하였다. 변영만의 글쓰기에는 이러한 두 가지 상극의 세계태도가 동전의 앞뒤처럼 공존하며 대립하고 충돌하며 길항하고 있다. 이는 동아시아 근대전환기라는 시공간에서 한문체와 국한문체, 전통과 근대, 동양과 서양이라는 일견 양립불가한 개념쌍을 교섭시키고 병존시키려는 전환기 지식인의 지난한 苦鬪 과정에서 초래된 産痛이 아닌가 한다. 모순과 착종, 편견과 왜곡, 불안과 과격, 관념과 망상 등의 短處는 종교와 문예, 정신과 원리, 보편과 근원, 근저와 너머의 사유라는 長處와 더불어 종합적ㆍ균형적으로 조명될 필요가 있다. In this thesis, I explore the perception of the times in the writing of Pyŏn Yŏng-man(卞榮晩; 1889-1954), an intellectual in the transition period, in a synchronic and comprehensive manner. Pyŏn Yŏng-man used both writing in classical Chinese script and writing in Korean mixed script in political and ideological time and space from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o the post-liberation period. In this thesis, I examined in detail how Pyŏn Yŏng-man perceived the most acute issues of each era, such as imperialism and social evolution during the patriot-enlightenment times, colonial Chosǒn and Chosǒn people under the Colonial Period of Imperial Japan, and socialism and Karl Marx in the Liberation Space. In the transition period of Chosǒn, Pyŏn Yŏng-man reflected on the Western modern times such as imperialism, social evolution, material civilization, and socialism through spiritual and cultural values ​​such as religion and literature, and further sought alternatives beyond that. At the same time, Pyŏn Yŏng-man recognized imperialism,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Chosǒn and Chosǒn people, socialism, etc. as a cracked and ideological attitude. In this way, in the writings of Pyŏn Yŏng-man, these two conflicting attitudes coexist and confront. This is a birth pain in the process of struggling to coexist an incompatible concept pair of “writing in classical Chinese script and writing in Korean mixed script, tradition and modern, Eastern and Western” in the time and space of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in East Asia. Therefore, the shortcomings such as contradiction, confusion, prejudice, and distortion that appear in the writings of Pyŏn Yŏng-man need to be viewed in a balanced way along with the merits of religion, literature, spirit and princi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