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범주와 시각 및 입장으로서의 고향민속학

        안더밍(安德明),김호걸(번역자) 실천민속학회 2020 실천민속학연구 Vol.35 No.-

        고향민속학(故鄕民俗學)은 고향 생활문화 전통의 관찰과 연구를 기초로 하여 형성된 학술연구 경향에 대한 일종의 사실적 개괄이며, 새로운 학술사조의 관점에서 이러한 연구경향으로 인해 생기고 드러난 시각과 방법을 총괄하는 말이기도 하다. 바꾸어 말하면, 고향민속학 자체는 일종의 연구시각과 방법이고,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두드러진 특징-평등 교류, 상호 존중; 공감 이해, 이성 비판; 현재 지향-을 갖고 있다. 동시에 고향민속학은 동시에 일종의 입장 또는 태도이다. 이러한 태도는 비교적인 시각에 기초하며, 뚜렷한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상호주관성의 비교적 시각에서, 고향민속학자는 한편으로는 과거의 생활경험과 현재의 학술적 실천을 결합하여 역사와 현실의 복잡한 관계를 발견하고 드러낸다. 더 나아가서는 과거의 민속학이 추구했던 ‘뒤를 바라보는’ 문제와 한계를 반성하고, 민속학이 더욱 더 ‘앞을 바라보고’ 미래를 향하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고향민속학은 타향(他鄕)과 타자(他者)의 대비 속에서 생겨난, 고향(故鄕)과 자아(自我)와 관련된 특수 연구 범주다. 따라서 연구자로 하여금 더욱더 자신에 입각하게 하고, 자신을 안다는 전제 하에 ‘나’의 ‘그’와의 왕래 과정에 있어서의 위치를 뚜렷하게 알게 하고, ‘나와 그’의 관계를 더욱 적절하고 전반적으로 이해하게 한다. 나아가 더 많은 ‘나’, ‘너’, ‘그’를 포함하며 미래를 향한 ‘우리’, 즉 인류의 운명공동체를 더욱 효과적으로 건설할 수 있게 한다. 고향민속학의 핵심 개념으로서의 ‘고향’이 포괄하는 범위의 신축성은 특히 더 이러한 목표의 달성에 가능성을 제공한다. Hometown Folkloristics is not only a factual summary of the academic research orientation based on the observation and research of the life culture tradition at homeplace, but also a conceptualization of the perspectives and methods developed by this orientation. In other words, Hometown Folkloristics itself is a research perspective as well as a method, which contains the following outstanding characteristics: Equal exchange and mutual respect; understanding with empathy and critique with academic reason; concerns towards the present. At the same time, the Hometown Folkloristics is also a stand or attitude, which, based on a comparative perspective, embodies distinct “intersexuality” characteristics. From the perspective of an intersubjective comparison, on the one hand, the home folklorists may discover and reveal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reality by combining their past life experience and current academic practice, and then reflect on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retrospective orientation” of folklore study in the past, so as to promote the discipline to “look forward” to the future; on the other hand, as a special research category about “homeplace” and about “ourselves” emerged from the comparison of “I” and “He” (the other), it enables the researchers better base themselves on the premise of knowing themselves, and more clearly understand the position of “I”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He,” so a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 and “He” more appropriately and comprehensively. It will thus benefit effectively forming a wide “Us” that covers more “I,” “You” and “He,” or, a Community with Shared Future for Mankind. The scalability in the scope of coverage of “home,” the core concept of the Hometown Folkloristics, especially provides a possibility for the achievement of this goal.

      • KCI등재

        ‘중국적 문제’로서의 불꽃놀이와 폭죽

        저우싱(周星),김호걸(번역자) 실천민속학회 2018 실천민속학연구 Vol.32 No.-

        이 글은 중국의 전통 민속 중 하나인 불꽃놀이와 폭죽이 현대 국가의 법제와 긴장관계에 놓이게 된 현실을 주목했다. 도시화 과정에서 전통문화와 민속은 고정불변의 형태로 존재하지 않으며 각각의 특성에 따라 사라지거나 약화되기도 하고, 변형되거나 오히려 강화되기도 한다. 불꽃놀이와 폭죽은 근대 도시사회에서도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으며, 오히려 더 강화된 민속 중 하나이다. 그러나 과거에는 전혀 문제될 것이 없었던 이 민속이 현대 사회의 여러 국면과 부딪치면서 다양한 문제점을 노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부득이 변통, 조정, 심지어 금지될 운명을 맞이한 것이다. 이 글은 이에 대한 관련 학자들의 논쟁을 정리하고, 특히 민속학자들이 견지하고 있는 관점과 그 한계를 살펴보았다. 이 사례는 현대화 과정에서 중국이 맞닥뜨린 독특한 사회 문제의 두드러진 전형성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현대 국가의 법제 건설과 전통문화 · 민속 사이의 복잡한 상호 관계를 매우 선명하게 드러내는 사례라고 하겠다. 그러나 기왕의 중국민속학은 도시사회에서 벌어지는 이같은 현실에 대해 무감각과 무지로 일관해 왔다. 게다가 중국민속학이 견지해 온 중화 전통 문화에 대한 장대한 서사와 그 관점은 도시 사회문화의 현장에서 벌어지는 진정한 현실을 직시하는 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에 이 글은 전통문화 · 민속이 도시사회 속에서 어떻게 현대적으로 변통, 변형, 변혁되고 있는지, 그 현실에 대해 민속학과 문화인류학은 어떤 입장을 취해야 하고, 또 어떻게 학술 연구에 임해야 하는지를 모색해 보았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fact that fireworks and a firecracker, one of the traditional folklore of China, have become the tense relation with the laws of modern countries. In the process of urbanization, traditional culture and folklore do not exist in a fixed invariant form, but they are vanished, weakened, transformed, or even reinforced depending on their properties. Fireworks and firecrackers are actively practiced in modern urban society. Rather, they are one of the more intensified folklore. However, this folklore, which had never been a problem in the past, has encountered various problems in contemporary society. This will inevitably meet the fate of being managed, adjusted, and even forbidden. This article summarizes the scholars’ debate on this issue and, in particular, examines the perspectives and limitations of folk scholars. This case shows not only the remarkable typology of the unique social problems faced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n china but also shows very clearly the complex interrelationship between legal construction of the modern nation and the traditional culture and folklore. However, the Chinese folklore in the past has kept insensible and disregardful to this reality in urban society. Moreover, the magnificent narrative and perspective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that Chinese folklore has maintained is useless to face up the reality in the urban social culture. In this paper, I tried to see how traditional culture and folklore are managed, transformed, and reformed in urban society and then, explore what position folklore and cultural anthropology should take and how to engage in academic research in response to this re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