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종이팩 재활용 현황 및 문제점 개선 방안

        김혜진,김정은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

        최근 자원고갈, 온실가스로 인한 기후변화가 지구환경 위협 요인으로 등장하면서 자원순환형 사회 정착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자원순환형 사회 형성의 일부로써 정부는 폐기물 감량 및 재활용의 책임을 생산자까지 확대 시키는 EPR(생산자 책임 재활용)제도를 2003년도부터 시행하였다. 종이팩은 EPR 제도 대상 포장재 중 하나의 품목이며 2013년 기준으로 재활용의무율은 34.1%, 재활용율은 33.4%에 그쳤다. 이는 유리병 74.4%, PET 93.8%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본 연구에서는 종이팩 재활용 활성화를 위하여 국내 종이팩 재활용 현황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종이팩 재활용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종이팩은 살균팩(우유팩)과 멸균팩(두유, 주스팩)으로 구분하고, 국내에는 살균팩이 75%, 멸균팩이 25%로 유통되고 있으며, 종이팩 재활용은 KPRC 및 KORA에서 관리되고 있다. 배출원에서 배출되어 수집된 종이팩은 현재 제지업체(화장지)로 운반ㆍ재활용 또는 제지업체(그 외)로 운반 되어 소각/매립 되거나 종량제 봉투로 배출되어 소각/매립되어지고 있다. 국내 종이팩 재활용율은 2014년 26.5%로 2013년 33.4% 대비 약 7%가 감소하여 종이팩 재활용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실정이다. 국외의 종이팩 재활용율은 2013년 기준으로 스페인 약 60%, 독일 65~70%, 대만 50%, 일본 34.9%였으며, 유럽 국가는 종이팩을 재활용하여 화장지, 노트, 종이 쇼핑백, 박스, 서류봉투, 계란난좌, 알루미늄 잉곳ㆍ파우더, 파라핀 등으로 재활용하고 있으며, 대만은 노트, 종이, 제지원료, 지붕타일, 알루미늄 괴 등으로, 일본은 화장지로 대부분 재활용하고 있고 소량 박스지 등으로 재활용하고 있다. 국내 종이팩 재활용 문제는 수집단계와 재활용 단계로 나누어 접근이 가능하다. 수집단계의 문제점은 1. 종이팩 수거 인프라 미비, 2. 폐지와 종이팩 분리 배출에 대한 낮은 국민의식, 3. 지자체의 공동주택 관리의 어려움 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재활용 단계의 문제점은 1. 수거된 종이팩은 화장지로만 재활용 되고 있으며, 2. 화장지로 재활용 되고 있는 종이팩만 재활용율에 산정되고 있다는 것이다. 「자원의절약과 재활용촉진법」 시행규칙 별표6에서 종이팩 재활용 방법으로 6가지 소분류로 명시하고 있으나, 현재 제1항 가목에 해당하는 화장지로만 종이팩을 재활용 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종이팩 재활용 활성화를 위하여 배출되는 종이팩이 일반 폐지와 분리배출 될 수 있도록 지자체의 역할이 강화됨과 동시에 종이팩 수거 인프라를 구축하고, 국민의식 변화를 위해 꾸준한 홍보활동이 수반된다면, 종이팩 수거율은 향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뿐만 아니라 현재 화장지로만 재활용 하는 틀에서 벗어나 국외 사례와 같이 종이팩을 다양한 제품으로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화장지로 재활용 되는 종이팩만을 재활용율로 산정하는 체계를 국외 사례를 통해 국내 실정에 맞도록 벤치마킹하여 도입한다면 종이팩 재활용이 개선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직무급에 대한 노동자들의 인식 – 금융산업을 중심으로

        김혜진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23 産業關係硏究 Vol.33 No.2

        In the midst of a debate on the seniority-based pay system and the job-based pay system, this study analyzes workers’ perception on this issue, which has been less focused until now. It uses a survey of 5,622 finance industry workers. The study employs the Abductive reasoning method instead of the hypotheses verification method, as there has been limited research on workers’ perception of the job-based pay syste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orkers’ perception of the wage gap according to tenure is mostly influenced by their individual/job characteristics. Second, the effectiveness of the job-based pay system in narrowing wage gap and the acceptability of the job-based pay system are influenced differently by the individual/job characteristics compared to wage gap. Third, the effectiveness of the job-based pay system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wage gap perception and the acceptability of job-based pay system. Fourth, workers’ perception of the job-based pay system varies depending on whether their current pay system is seniority-bas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workers’ perception of the job-based pay system is influenced not just by their individual/job characteristics but also by other factors such as their social consciousness, and that the job-based pay system should be approached differently depending on workers’ current pay system.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a more concrete and practical understanding of the ongoing debate. 한국에서 연공제와 직무급제 임금체계에 대한 논쟁 속에서, 이 연구는 기존의임금체계 전환 논의가 집중하지 않았던 노동자들의 인식을 금융권 노동자 5,622 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직무급제를 둘러싼 노동자 인식에 관한기존의 연구가 많지 않아 가설 검증의 방법이 아닌 귀추법(Abductive reasoning) 을 사용하여 변수들의 관계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분석 결과, 첫째, 응답자의 근무지 내 위치에 따라 근무지 내 근속연수에 따른 임금 격차의정도에 대한 인식이 나타났고, 둘째, 임금 격차 축소방안으로서의 직무급제의 효과성과 수용도는 많은 변수에서 근속연수에 따른 임금 격차 정도와는 다른 결과를보였다. 이는 직무급제에 대한 인식이 자신의 이해관계와 함께 사회적 인식에 의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매개효과 분석 결과를 보면, 임금 격차 축소방안으로서의 직무급제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은, 근속연수에 따른 임금 격차 정도에 대한 인식이 직무급제에 대한 개인의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연공제와 다른 임금체계의 적용을 받는 노동자들의 직무급제 인식은 다른 기제를 통해 작동하고 있었다. 이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노동자들의 직무급제 인식 연구는 직무 관련 이해관계만이 아니라 개인의 사회적 의식이 포함될 필요가 있다는 점, 현재의 임금체계(연공제 여부)에 따라 노동자들이 직무급에 대한 인식 형성이 다르게 작동할 수 있다는 점을들 수 있다. 이 연구는 직무급제에 대한 노동자들의 인식에 대한 정확한 진단으로현재의 논쟁을 추상적 수준이 아닌 구체적 수준으로 진행할 수 있고, 구체적 방안들을 도출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파동의 이미지를 응용한 도자 조형연구

        김혜진 한국도자학회 2006 한국도자학연구 Vol.3 No.1

        자연의 본연의 모습에서 찾을 수 있는 아름다움은 인위적인 창조로 재구성해낸 아름다움과 비교 할 수 없는 숭고함이 숨어있다. 우리는 미시 세계(微視世界-원자 내부 세계)의 자연현상을 거시 세계(巨視世界-우리 주위 세계) 에서 익숙한 개념으로 설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미시세계에 대한 실험 자료가 축적되고 거시 세계의 자연 법칙의 개념을 논리를 이용하여 확장함으로써 결국은 미시 세계를 지배하는 자연 법칙까지를 인간이 밝혀냄으로서 인간 생활의 질을 개선하는 큰 변화를 가져오는 원동력이 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과학뿐만 아니라 문화와 예술의 방향을 바꾸어가고 있으며 우리들의 생활을 더욱 수준 있는 환경으로 가꾸어 갈 수 있게 되었다. 자연적 현상으로서의 파동은 심장 박동과 같이 끊임없이 생산되어지는 것이며 에너지의 근원으로 이해되어지고 있다. 또한 과학의 한분야로서 파동의 원리는 통신과 천문 관측, 해양탐사 등의 연구 분야와 현대에 이르러서는 의학, 심리학, 가전제품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또한 모든 생명체는 나름대로의 파동이 있고 에너지가 있다는 것은 현대의학에 영향을 주어 인간 정신 치료의 영역에 까지 범위를 넓혀놓는 계기가 되었다. 이렇듯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이용되어지는 파동의 원리는 그 쓰임 또한 다양한 분야로 넓혀지고 있다. 자연과학 한부분과 도자의 만남은 작가의 심상을 표현할 수 있는 좋은 소재이며 흙의 자유로운 표현성과 조형성을 강조하는 도자예술의 무한한 조형창작의 가능성과, 작품에 발휘되는 작가의 감성과 역량을 중요시 할 수 있다는 것에 흥미를 느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 생활에 여러 가지로 응용되어지고 있는 파동의 현상을 조형성의 소재로 삼아 연구자가 이해한 파동의 인식형태를 작품에 활용, 파동의 아름다움을 흙에 이용하여 이를 형상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조형의 표현방법인 과학과 자연계 속의 파동에너지에 대해 문헌으로 살펴보고 파동과 조형예술 관계를 이론 정립하였다. 작품의 주제인 파동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과 물리적 특성, 종류와 현상에 대해 서술하였다. 이를 토대로, 일상에서 인식하지 못하고 쉽게 지나쳐 버리는 파동의 형상에 관심을 기울임으로서 바쁜 현대인의 생활 속에서 보이지 않는 자연의 에너지를 느끼고 연구자의 주관적으로 생각하는 인간내면을 추구한 것이다. 그리고 파동의 이미지가 표현된 다른 작가들의 현대 도자 작품 사례를 제시하고, 각 작품에 나타난 표현방법과 조형성, 내면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반복과 적재, 나열이라는 설치방법을 이용하여 3차원 공간과 빛의 효과를 도모하였으며 설치시 반복과 적재라는 작품 표현방식은 파동의 생명력과 에너지를 표현하는데 더욱 효과적이었으며 조형성을 더해주었다. 또한, 문명이라는 굴레 속에서 자유롭기를 갈망하지만 사회라는 틀속에 갇혀 사는 비슷비슷한 우리 자신들의 모습을 흙을 통해 조형화했으며, 현대인들을 표현하는데 적합한 표현방법이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파동에 대한 본질적 측면을 깊게 이해하게 되었으며 조형적으로 이미지화함으로서 자연과학과 예술의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파동의 표현적 특성인 다양성과 조형성을 가지고 파동의 이미지를 사실적으로 때론 재구성하여 형상화함으로서 본 연구자에게 더 ... The beauty of nature is incomparable to that of manmade creations even at the most excelling level of portrayal. Nature is simply sublime. We cannot explain nature's phenomena in the microscopic world by using terms that apply to the macroscopic world. However, mankind has accumulated experimental data pertaining to the microscopic world, and has expanded it to understand the law of nature. Yet even so we can only understand it theoretically. It is such comprehension that acts as a motivating force in improving human lifestyle and quality of life. This is not only evident in the field of science, but also in changing arts and culture. In this study the subject concentrates on wave forms. It aims to retain the beauty of nature with its endless creative energy in correlation to the human heartbeat. In this respect the wave forms has been looked upon as a part of scientific evolution, communicative advancement in technology, a part of astronomical observation, deep sea probe, etc. Nowadays, waves have become a useful tool in medical science, psychology, etc. Furthermore in almost every area there is a usage for waves. People understand that every element has its own energy, or that every element has a distinguishable energy. This theory influences medical science and helps people to expand the effect of waves in psycho-therapy. Many different fields of science want to use this understanding and apply it to our life. As an investigator, the study tried to find a connection between such phenomenon and ceramic art. This is a good material to express imaginative creations. The earth has its own character, such as freedom of movement and expression. The works for this study expresses the beauty of waves through earth and clay. The clay works convey harmony that allows the maker to express sensitive imagination and artistic ability through the flexible quality of clay and unlimited creativity of ceramic art. The background research for the study concentrated on scientific journals to build a creative theory for an expression in ceramic art. The general concept on waves and their physical behaviors were examined as the major topic for making ceramic art. Based on this, the subject was further analyzed to connect this phenomenon with ceramic works. For this it was important to have an understanding on the nature of waves, such as their scientific law and behaviors. The ceramic works endeavored to model wave forms so that people can bring nature into their own lives. The contemporary ceramic works of other artists have also been examined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The study tried to express human qualities through the clay works. Almost identical to our life style, where we are always searching for freedom but we are often held back by ourselves. Mankinds have become extremely civilized and we refer to this realm as society. The study endeavored to express a soft and spiritless modern aesthetics through earth. Furthermore, the study has enabled the maker to attain knowledge on the nature of waves. Through this study, a connection between science and nature has been made. Waves have been expressed in a variety of methods as a tool of for clay work. Sometimes the original forms of waves were simply applied and in other times they were recreated with imaginative imagery. In the future, more artists will keep investing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ceramics, and make efforts to express their talent and research in creations influenced by science. The beauty of nature is incomparable to that of manmade creations even at the most excelling level of portrayal. Nature is simply sublime. We cannot explain nature's phenomena in the microscopic world by using terms that apply to the macroscopic world. However, mankind has accumulated experimental data pertaining to the microscopic world, and has expanded it to understand the law of nature. Yet even so we can only understand it theoretically. It is such comprehension ...

      • KCI등재

        조손가정 아동의 미술수업에 관한 질적 연구 :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김혜진,김효정 한국문화교육학회 2018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3 No.3

        The study conducted the reestablished art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the self-esteem of grandparents' children who have overcome challenges and crises. The study also examines the process and experience of grandparents' children in a phenomenological way.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self-esteem through the empirical process of self-esteem of grandparents children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sense of accomplishment in every session in which they accomplished the work while engaging in the self-esteem art program. Second, the self-esteem art program offered an opportunity to the participants to help judge themselves in terms of psychological happiness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a need for a multifaceted art program which stimulates the self-esteem of grandparents' children through an educational approach, away from the way proposed in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in which grandparents' children have been pathologically viewed and considered as patients. It is also expected that better results will be obtained given that the program is extended to encourage participation with family members connected with the home child. 본 연구는 조손가정 아동에게 자아존중감을 고려한 미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및 실시하여 조손가동의 교육적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총 24차시의 자아존중감 미술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하고 연구의 참여자는 조손가정 아동 2명을 선정하여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매 차시가 종료되는 시점에 개인별 심층면담(아동, 양육자)을 진행하였다. 수업관찰과 작품사진 자료를 수집하고 심층면담은 녹음 및 전사하여 월코트(Wolcott)의 ‘기술’,‘분석’,‘해석’의 연구절차를 따랐으며, 수집한 자료를 개방코딩작업을 통해 범주화 후, 주제를 발견하여 분석하여 해석에 도달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5개의 상위주제와 18개의 하위주제로 나누어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아존중감을 고려한 미술 프로그램을 경험하면서 작품을 완성하는 성취감을 매 차시 경험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은 수업을 통해 심리적인 행복감에 대한 스스로를 판단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자아존중감을 고려한 미술 프로그램에서 미술 작품을 제작하는 경험을 통해 조손가정 아동에게 성취감과 자신감을 부여하고 감정의 정화를 일으켜 자연스럽게 표출하게 함으로서 그동안 알아차리지 못했던 자신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조손가정 아동의 미술수업을 통하여 아동 스스로의 가치판단을 할 수 있는 자아존중감과 관련된 현상에 대하여 질적으로 연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