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젊은 나이에서 발생한 대장게실염의 임상 양상과 치료 결과

        송명은 ( Myung Eun Song ),정성애 ( Sung Ae Jung ),심기남 ( Ki Nam Shim ),송은미 ( Eun Mi Song ),권경주 ( Kyoung Joo Kwon ),김혜인 ( Hye In Kim ),윤소윤 ( So Yoon Yoon ),조원영 ( Won Young Cho ),김성은 ( Seong Eun Kim ),정혜경 ( Hy 대한소화기학회 201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1 No.2

        목적: 젊은 성인환자에서 대장게실염의 임상 경과와 적절한 치료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 중에 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 은 젊은 환자에서 고령 환자에 비해 게실염의 임상 양상과 중증도, 치료 방법, 예후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3월부터 2011년 4월까지 이대목동병원 에서 게실염으로 진단받고 입원치료를 받은 총 368명의 환자 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40세 이하 그룹과 40세 초과 그룹으로 나누어 게실염 진단 당시 임상 양상, 중증도, 재발 여부, 치료 방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총 368명의 환자 중 40세 이하 그룹은 206명이었고, 40세 초과 그룹은 162명이었다. 40세 초과 그룹에서 40세 이 하 그룹보다 중증도가 심하게 나타났다. 입원기간 동안에 수 술을 필요로 하는 환자들은 40세 초과 그룹(15.4%)에서 40세 이하 그룹(4.4%)보다 유의하게 많았다(p<0.001). 재발 환자 중에서 치료방법의 두 군 간 차이는 없었다. 재발로 재입원한 경우는 두 군 간에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다변량 분석에서 는 좌측 게실염이 중증도가 심해지고(OR, 14.651; 95% CI, 4.829-44.457), 응급수술을 하게 되는(OR, 13.745; 95% CI, 4.390-43.031) 독립된 위험인자였다. 결론: 젊은 환자에서 발생한 대장게실염은 치료 관리에서 나 쁜 예후 인자가 아니다. 젊은 게실염 환자는 위중하고 치명적 인 임상 경과를 보이지 않으므로, 게실염의 치료에 있어서 연 령보다는 내원 당시 게실염의 중증도, 게실의 위치, 재발 유무 를 살펴 치료 방침을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목적: 젊은 성인환자에서 대장게실염의 임상 경과와 적절한 치료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 중에 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 은 젊은 환자에서 고령 환자에 비해 게실염의 임상 양상과 중증도, 치료 방법, 예후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3월부터 2011년 4월까지 이대목동병원 에서 게실염으로 진단받고 입원치료를 받은 총 368명의 환자 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40세 이하 그룹과 40세 초과 그룹으로 나누어 게실염 진단 당시 임상 양상, 중증도, 재발 여부, 치료 방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총 368명의 환자 중 40세 이하 그룹은 206명이었고, 40세 초과 그룹은 162명이었다. 40세 초과 그룹에서 40세 이 하 그룹보다 중증도가 심하게 나타났다. 입원기간 동안에 수 술을 필요로 하는 환자들은 40세 초과 그룹(15.4%)에서 40세 이하 그룹(4.4%)보다 유의하게 많았다(p<0.001). 재발 환자 중에서 치료방법의 두 군 간 차이는 없었다. 재발로 재입원한 경우는 두 군 간에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다변량 분석에서 는 좌측 게실염이 중증도가 심해지고(OR, 14.651; 95% CI, 4.829-44.457), 응급수술을 하게 되는(OR, 13.745; 95% CI, 4.390-43.031) 독립된 위험인자였다. 결론: 젊은 환자에서 발생한 대장게실염은 치료 관리에서 나 쁜 예후 인자가 아니다. 젊은 게실염 환자는 위중하고 치명적 인 임상 경과를 보이지 않으므로, 게실염의 치료에 있어서 연 령보다는 내원 당시 게실염의 중증도, 게실의 위치, 재발 유무 를 살펴 치료 방침을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Background/Aims: The clinical course and the most appropriate management of colonic diverticulitis in young patients are currently unresolved.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young patients (≤40 years) with older patients (>40 years) regarding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cute colonic diverticulitis and to determine whether differences exist in treatment outcome. Methods: Three-hundred sixty eight patients presenting with acute colonic diverticulitis from March 2001 through April 2011 at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differences in clinical characteristics, treatment modality and recurrence between each group were analyzed. Results: Two-hundred and six patients were aged 40 years or younger and 162 patients were older than 40 years. The older group was diagnosed more frequently with severe diverticulitis. Surgical treatment was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the older group than in the younger group (15.4% vs. 4.4%, p<0.001).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reatment modality between the two groups in patients with recurrence. The difference in recurrence between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ultivariate analysis, left colonic diverticuliti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vere diverticulitis (OR, 14.651; 95% CI, 4.829-44.457) and emergency surgery (OR, 13.745; 95% CI, 4.390-43.031). Conclusions: When patients with colonic diverticulitis are treated conservatively, young age is no longer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subsequent poor outcome. Diverticulitis in young patients does not have a particularly aggressive or fulminant course. Therefore, we recommend that diverticulitis management should be based on the severity and location of the disease, and not on the age of the patient.

      • KCI등재후보

        8가지 약초 혼합 추출물 분말의 피부 효능에 관한 연구

        김혜인(Hy-In Kim),류승환(Seung-Hwan Ryu),김수윤(Soo-Yun Kim),서효현(Hyo-Hyun Seo),모상현(Sang-Hyun Moh)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16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6 No.2

        As many other countries are focusing on applying their own native plants on various industrial fields, demands for the cosmetic application of our native plants have also increased in Korea. In this study, 8 kinds of oriental herbs (Glycyrrhiza glabra, Angelica tenuissima, Angelica gigas, Artemisia capillaris, Pinus densiflora leaf, Mentha arvensis, Angelica dahurica, Cnidium officinale) grown our native country were extracted by hot water and herbal mixed extract powder tested for potential use as a functional cosmetic ingredient by evaluating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8 kinds of herbal mixed extract powder improved the activation of superoxide dismutase (SOD), an anti-oxidation enzyme and inhibited the protein expression of Cyclooxygenase-2 (COX-2), an anti-inflammation marker. Based on these results, 8 kinds of herbal mixed extract powder are considered to be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in anti-oxidation and anti-inflammation potency when effective form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