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New Record of Dinoflagellates around Jeju Island

        김형신,이준백,김승현,정민민 한국생태학회 2013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36 No.4

        Dinoflagellate species composition has changed around Jeju Island as well as in Korean waters due to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s.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monitor changes in planktonic dinoflagellates around Jeju Island from June 2006 to September 2009. A total of 86 species belonging to 14 families and 15 genera were identified, of which 34 species were newly recorded in Korean waters. Among the newly recorded species, >20 were confirmed as tropical species. Thus, the occurrence of such tropical dinoflagellates could be an indicator to monitor of environmental changes including global warming around Jeju Island and in Korean waters.

      • KCI등재

        구조방정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임도비탈면 산사태의 주요 영향인자 선정

        김형신,문성우,서용석 대한지질공학회 2022 지질공학 Vol.32 No.4

        This study determined major factors influencing landslide occurrence along a forest road near Sangsan village, Sancheok-myeon, Chungju-si, Chungcheongbuk-do, South Korea. Within a 2 km radius of the study area, landslides occur intensively during periods of heavy rainfall (August 2020). This makes study of the area advantageous, as it allows examination of the influence of only geological and tomographic factors while excluding the effects of rainfall and vegetation. Data for 82 locations (37 experiencing landslides and 45 not) were obtained from geological surveys, laboratory tests, and geo-spatial analysis. After some data preprocessing (e.g., error filtering, minimum-maximum normalization, and multicollinearity),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d logistic regression (LR) analyses were conducted. These showed the regolith thickness, porosity, and saturated unit weight to be the factors most influential of landslide risk in the study area. The sums of the influence magnitudes of these factors are 71% in SEM and 83% in LR. 본 연구는 충주시 산척면 상산마을 일대 임도 비탈면을 대상으로 지질 및 지형 인자 중 산사태 발생에 영향력이 큰 인자를 선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지역은 집중호우 기간에 반경 2 km 이내에서 집중적으로 다수의 산사태가 발생했기 때문에 동일 강우조건 및 식생 조건으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영향을 배제한 상태로 지형적 요인 및 토층의 물리 ‧ 역학적 특성과 관련된 인자들만의 영향도를 파악할 수 있는 지역이다. 산사태 발생지점 37개소와 미발생 지점 45개소를 대상으로 현장조사, 실내시험, 지형 공간분석 등을 통해 토층의 물리 ‧ 역학적 자료 및 비탈면의 지형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대상으로 이상치 제거, 최소-최대 정규화, 다중공선성 진단의 순으로 전처리를 수행하였고, 9개의 독립변수를 선정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학적 분석 결과, 토층두께, 공극률 및 포화단위중량이 연구지역의 산사태 발생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되며, 상기 3개 인자의 영향도 합계는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에서 전체의 71%,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전체의 83%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열대 해역 지표종 Ornithocercus 속 와편모조의 출현 동향으로 본 한반도 온난화

        김형신,정민민,이준백,Kim, Hyeung-Sin,Jung, Min-Min,Lee, Joon-Baek 한국해양학회 2008 바다 Vol.13 No.4

        제주도 서부해역인 차귀도 연안 해역에서 2006년 10월부터 2007년 11월 사이 5회에 걸쳐 식물 플랑크톤의 일종인 와편모조의 종 조성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총 32종의 와편모조가 관찰되었다. 이들 와편모조 중 19종 즉, Amphisolenia bidentata, Ceratium gravidum, C. hexacanthum, C. platycorne, C. praelongum, C. ranipes, C. reflexum, C. geniculatum, Dissodinium elegans, D. bicorne, Ornithocercus heteroporus, O. magnificus, O. quadratus, O. splendidus, O. steinii, Protoperidinium excentricum, Pseliodinium vaubanii, Ptychodiscus noctiluca, Pyrocystis hamulus 등의 종은 한국 연안 해역에서는 매우 드물게 출현이 보고된 종이거나 미기록 종이었다. 그리고 채집된 시료에서 열대 해역 지표종인 Ornithocercus 속의 월별 단위체적당 출현량을 분석한 결과 2006년 10월, 2007년 2, 4, 9 및 11월에 각각 28, 22, 0, 3 및 $502\;cells/m^3$이었다. 또한 월별 총 와편모조류 출현량에 대한 Ornithocercus 속의 점유율은 각각 8, 3.9, 0, 0.2 및 97.9%로 2007년 11월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는 지구 온난화에 발맞추어 한반도 연안 해역 역시 온난화 되어지고 있음을 부분적으로 나타내고 있다고 판단된다. We investigated about change of dinoflagellate composition during October 2006 to November 2007 at the Chagwi-Do, west-part of Jeju Island. There were 32 dinoflagellate species in collected samples and 19 species Amphisolenia bidentata, Ceratium gravidum, C. hexacanthum, C. platycorne, C. praelongum, C. ranipes, C. reflexum, C. geniculatum, Dissodinium elegans, D. bicorne, Ornithocercus heteroporus, O. magnificus, O. quadratus, O. splendidus, O. steinii, Protoperidinium excentricum, Pseliodinium vaubanii, Ptychodiscus noctiluca, Pyrocystis hamulus of collected dinoflagellate species were rare and unrecorded species from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e quantities by month of these tropical oceanic species, Ornithocercus were 28, 22, 0, 3 and $502\;cells/m^3$ in October 2006, February, April, September and November 2007 respectively. The abundance of genus Ornithocercus for whole dinoflagellate species were 8, 3.9, 0, 0.2 and 97.9%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ast of Korean Peninsula is getting warm by global warming.

      • KCI등재

        강선영류 태평무의 발 놀음 특징 연구

        김형신,윤수미 한국무용연구학회 2017 한국무용연구 Vol.3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footmovement specific to the rhythms of Kang Seon-yeong-style Taepyeongmu. As such, this study set out to find the important forms of footmovement used for the dance rhythms used in the Taepyeongmu. If you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dance and rhythm, it is composed of strong first beat and accompanied by the flow of the Daesam and Sosam together and releasing dancing. However, Taepyungmu can get out of the frame and see the composition of a different dance that is free and unconstrained. Teobeollim is characterized by its discreet footmovement done in 10 beats, whereas Ollimchae features infinite variations in its rhythm, tune and footmovement, increasing repetitiveness and flexibility in keeping footmovement with changes in rhythm. Taepyeongmu has been ranked one of the best Korean traditional dances in terms of aesthetic and artistic value.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detailed components of Taepyeongmu; examining its characteristics; and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in an easy-to-understand manner for those who want to do further study on Korean traditional dance, thereby helping to revitalize Korean traditional dance. 본 연구는 강선영류 태평무의 춤 장단에 따른 발 놀음 특징을 살피는데 목적을 둔다. 이에 따라 강선영류 태평무의 발 놀음을 무보화하고 분석하여, 장단과 발 놀음의관계를 연구하고자 한다. 일반적인 전통춤과 장단의 특징을 살펴보면 강한 첫 박과 함께 대삼, 소삼의 흐름을 춤으로 같이 이끌어가며 맺고 풀고 어르는 형식의 춤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태평무는 그 틀을 벗어나 자유롭고 얽매이지 않는 색다른 춤의구성을 볼 수 있다.터벌림 장단은 10박의 박자에 맞추어 추는 묵직한 발 놀음의 성격이 강하며, 올림채는 장단의 변화가 무궁하고 가락의 전개가 다채로와 발 놀음 또한다양하게 움직여진다. 이러한 특징은 장단의 변화에 발 놀음이 대응하는데 있어 반복성과 유연성을 강화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태평무는 한국 전통춤 중에서 격조 있는 미학을 함축한 예술성 높은 춤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태평무의 세부적인구성요소 분석을 통해 이 춤의 특징을 밝히고, 전통춤을 학습하려는 사람들에게 쉽고정확한 정보 전달과, 차기 연구 활동에 도움이 되어 전통춤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