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사량의 문학세계에 나타난 토포스와 서사적 의미 − 「천마」, 「무궁일가」, 「향수」를 중심으로 −
김현생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한국사상과 문화 Vol.78 No.-
The word ‘topos’ can be defined broadly as the affective bond between people and place or setting. Evidently, Kim Sa-ryang’s novels have shown the specific experience and imagination of place, such as Kyong-sung, Tokyo, and Beiji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opos and its narrative meanings in Kim Sa-ryang’s novels. He was active in the literature during the period when the colonial occupation by Japan reached its peak. The backgrounds of his novels, “Chunma”「천마」, “Moogoong Family”「무궁일가」, and “Nostalgia”「향수」, are Kyong-sung, Tokyo, and Bejing respectively. Its space has its own meaning. As for the remarkable things in the novels, Hyun Ryong, an abnormal character in “Chunma”, was lacated on the boundary between the conquerors and the colonists, the Chios family, in “Moogoong Family”, they were the representatives of subordinate in subjective country, and Lee Hyun, in “Nostalgia”, was a wait-and-see character. In conclusion, Kim Sa-ryang’s novels can be considered a process pursuing a narrative jouissance by putting characters for a particular place, ‘topos’. In relation to his experience of life, such a writing can be also seen a repetitive narration-as-performance of the story tied with a traumatic space. 본 연구는 김사량의 「천마(天馬)」, 「무궁일가(無窮一家)」, 그리고 「향수(鄕愁)」 나타난 공간적 배경에 주목하여 토포스와 그 서사적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작품들에는 일제강점기 조선의 경성, 일본의 도쿄, 중국의 북경이 무대로 등장한다. 「천마」는 경성을 배경으로 현룡이 등장하여 식민지 지식인의 주체성 분열을 보여준다. 이때 경성은 물리적 장소 이상의 기능을 하는 토포스적 의미를 지닌다. 「무궁일가」의 도쿄는 이곳에 이주한 조선인의 삶은 더욱 비참하게 만들면서, 그들을 공간적, 의식적, 민족적으로 식민주체에 종속된 하위주체로 범주화 시켜 버린다. 「향수」의 북경은 제 3의 공간으로 볼 수 있다. 이곳에 온 조선인은 주로 도피가 목적이다. 그들은 어디에도 소속되지 못하고 이방인으로서 삶을 영위하고 있다. 이는 우리 민족의 참담했던 삶의 현장을 생생하게 재현한 공간으로 당대 사회의 혼란과 모순을 표상하는 토포스가 된다. 김사량의 문학에 나타나는 이 세 공간은 각 공간 나름대로의 토포스적 의미를 지니면서 작품의 서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작가는 작품에서 동아시아 3국을 문학에 재현함으로써 당대 조선인의 삶을 입체적으로 그려냈다고 볼 수 있다. 본고는 작품에 나타나는 이와 같은 공간성에 주목하여 일제 강점기 경성, 도쿄, 북경 3국의 공간을 분석함으로써 공간의 문학적 재현에 주목하여 그 토포스와 서사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작가의 공간 체험과 그의 문학 작품의 불가분성이 도출되며 그리고 문학에서 당대의 토포스와 그 서사적 의미가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김현생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한국사상과 문화 Vol.45 No.-
Yorowonyawhagi, “the Record of Night Tales at the Inn, Yorowon,” is a significant Korean narrative, in terms of its theme and style. It is, so far, considered as simple story about a gentleman from the country who disguises himself as a foolish man and deceives the other gentleman from Seoul. The work consists of dialogues between two travelers narrated from the first-point of view of the gentleman who is from the country. One of the main characters is a gentleman from Seoul, the capital city of Joseon, and the other gentleman is from a rural area. This work, however, can be approach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reading Yorowonyawhagi as time, space, and discourse. The dialogues between them reflect the contemporary controversial matters by competing to write the poems of various styles. By describing the place and time they met, it deals with Yorowonyawhagi which is kind of stage. The two gentlemen meet by chance in a village inn, Yorowon, which is actual place, and make conversations about themselves and contemporary discourses such as social and political issues. To sum up, the author can bring the comtemporary discourses to the reader’s attention by setting the time and space meticulously. 본고는 「요로원야화기(要路院夜話記)」에 나타나는 시간과 공간, 그리고 담론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 작품은 17세기의 작품으로 작가는 박두세로 알려져 있다. 17세기 조선은 역사의 격동기에 서 있었다. 이 시대 조선조정은 양란과 북벌정책, 궁중 혼란, 그리고 사대부들의 당쟁으로 인해 그 근간이 흔들릴 정도였다. 「요로원야화기」에서 작가는 이러한 시대 담론을 요로원이란 배경으로 서술하고 있다. 문학은 시대를 반영하는 거울로 볼 때, 작가로서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작품에 반영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작품의 내용은 서울 양반 “객”과 시골양반 “나”가, 요로원에서 만나 하루 밤 동안 나눈 담화로 이루어져 있다. 본고에서는 이 점에 주목하여 요로원의 시ㆍ공간적 의미를 분석했다. 밤 시간은 나그네가 한담을 나눌 수 있는 적절한 시간이라면, 주막은 나그네에게 필수적인 공간이 된다. 그런데 요로원은 조선시대 실재 했던 주막이름이다. 작가는 작품 속에서 실재 장소를 무대로 설정함으로써 담론진정성을 부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작품에서의 두 인물, 즉 서울 양반과 시골양반은 서로의 신분을 모르는 채, 당대 주요 담론인 과거, 당파, 신분 등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히고 있다. 이러한 담론들은 작품 내적으로 중심이 되는 요소들로 요로원의 시ㆍ공간적 의미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 이는 작가가 작품 속의 화자들의 익명성을 보장하면서 할 말을 다 하겠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요로원야화기」에서 시ㆍ공간의 설정은 당대 담론을 비판하기 위한 치밀하고 계획된 문학 장치임이 밝혀진다.
바흐친으로 바이런 읽기:「돈 주안」 에 나타난 카니발적 언술
김현생,Hyun-saeng Kim 한국영미어문학회 2015 영미어문학 Vol.- No.117
This study is to read Byron’s D on Juan with the theory of Bakhtin’s Carnivalesque discourse. The key phrase of the paper refers to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medieval popular carnival such as the carnivalesque ambivalence, the gay relativity, the inversion of the social hierarchy, and the people’s festive laughter demolishing the comic and political fear of death and oppression. I n D on Juan , through the character, Byron subverts the image of hero by representing an anti-hero. The motif of the carnivalesque can be found not only in the bedroom farce but also in the scene of shipwreck in “ S pain Episode.” I n view of Bahktin’s theory of the carnival, D on Juan ultimately celebrates the ambivalent but creative power of the carnivalesque discourse shared both by humanity and nature.
김현생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13
E. M. Forster’s A Passage to India consists of three parts, Mosque,Caves, and Temple. The novel sets against the backdrop of the British Raj and the Indian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1920s. The story revolves around four characters: Dr. Aziz, his British friend Cyril Fielding, Mrs Moore, and Adela Quested. As the story progresses, tensions between Indians and the colonial British come to a boil when Adela accuses Aziz of rape during a trip to the Marabar Caves. From this the novel can be read political literature in which a political project was elaborately combined with the ideological function of literature, especially when it come to think of that India was under control of British Raj at that time. This article, however, tries to analyse the symbol of caves in the novel,focusing on part 2 “Caves”. One of the main ideas running throughout the novel is the importance of Cave Symbols. Caves can be considered a paradox in and of itself. The expression, “tomb or womb” has been used to explain the double meaning of the cave. In other words, the cave is either a place of shelter, or a place of mystery, even death. One of most obvious places where the symbol of the womb cave is used is when two women, Mrs Moore and Adela find their way into self awareness. The cave meaning can be interpreted as the womb, through which two women changed enormously and eventually their whole lives were changed, so that they could see their real selves.
김현생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한국사상과 문화 Vol.69 No.-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istoricity of text in Kang Kyong-Ae’s Gando experienced literature by comparing them with the historic events in Gando during the 1930s under Japanese occupation. She made her literary debut through short novel “Pageum”, which means breaking the mandolin, in 1931. During her rather short writing career, she published 21 novels, of which 12 works were about Gando experience. She used to live in Gando during Japanese colonial time, which was accordance with her staying there. While living there, she wrote the novels about the lives of Chosun people there. Kang Kyong-Ae experienced or witnessed Manchuria Incident in 1931 and establishing Manchu State in 1932. The writer translated all these tragic events in her major works. It can be said that her text is history and history is her text. Kang Kyong-Ae’s novels are thus determined by her historical perspective which combined novels and history. Not only does she recognize that the past remains an essential part of the present, she also recognizes that this continuity occurs through a dynamic process of transmission and augmentation. Her achievement, ultimately, lies not in analysing much or in doing it well, but in providing the inestimable example of showing that literary analysis is possible at all. 본고의 목적은 강경애의 간도 체험과 그의 문학을 분석하여 문학 작품이 지니는 텍스트로서의 역사성을 읽으려는 것이다. 우리 민족에게 1930년대의 간도이주는 특별한 의미가 있다. 그것은 단순한 공간의 이동이 아니라, 정치적 경제적 민족적 문제가 서로 얽힌 복합적 문제를 지닌 이주였다. 1931년 「파금(破琴)」으로 등단한 강경애는 1930년대 초 간도로 이주하여 40년대 초반까지 약 10여 년간 간도에 거주하면서 창작 활동을 하였다. 강경애는 작품 생활 전부를 간도에서 했다고 볼 수 있다. 그의 작품에는 궁핍한 유년 시절, 청년기의 동맹 휴교의 주동자로서 퇴학의 경험, 간도 식민지 시대 여성 등이 형상화 되어 있는데, 그 배경의 대부분이 간도다. 이처럼 간도 공간은 강경애에게 특별한 영감을 주어, 간도를 배경으로 한 작가의 작품에는 당시의 생생한 사건들과 조선 이주민들의 삶의 애환이 형상화되어 있다. 간도는 작가에게 창작텍스트로써 작용하였던 셈이다. 작품에 나타나는 간도는 우리 민족의 참담했던 삶의 현장을 생생하게 재현한 공간으로 당대 사회의 혼란과 모순을 표상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강경애의 작품과 삶은 그 자체가 간도 이주의 산 증인이 된다. 본고는 강경애의 간도체험과 그의 문학 작품의 불가분성에 주목하여 그의 문학에서 당대의 역사성을 읽어내고자 하였다. 작가의 문학 창작의 토대가 되는 당시 간도의 역사적 저변을 탐색하면서 문학에 재현된 역사성의 가치를 재점검하고자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는 단순히 문학 작품의 감상 차원에서 머무르지 않고 문학에 재현된 역사성에 주목함으로써 텍스트로서의 문학의 역사적 역할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여기에 본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