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4학년과 6학년 영어 수업의 게임활동 운영방법 분석

        김현령,박영예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017 초등영어교육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implement game activities in the 4th and 6th grade English classes. Twenty video-taped elementary English lessons including the game activities were observed in the current study. The game activit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hours, the types, and the teachers' talk.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teachers conducted the game activities within ten minutes and it coincided with the hours suggested in previous research. Second, most of the game activities were operated by integrating language skills, and more activities focusing on accuracy than fluency were employed. The game activities involving competition were given more weight than those for cooperation. Third, most teachers used English as a dominant instructional language, but language code-switching in some lessons was observed. They used repetition most frequently in providing feedback, followed by comprehension check. It was implied that the teachers should apply various approaches in explaining the activities effectively. It would be necessary to provide reference materials in the teacher's guide to help them adopt balanced activities. The teachers should attempt to analyze their feedback process reflectively and provide various forms of feedback during the game activities.

      • KCI등재

        유아교사교육연구 수강을 통한 교육대학원생의 유아교사 이미지 변화에 관한 연구

        김현령,임부연,김성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5 敎員敎育 Vol.31 No.3

        This study focused on how part-time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ransform ECE teacher’s images and how the students experience a course work ‘ECE teacher education’ as an agent that transforms ECE teacher’s images. This study examined the number of upper categories, hierarchies, and specificity measures of the students' concept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images by using concept map analysis introduced by Novak and Gowin's(1984). 22 participants drew concept maps about ‘early childhood teachers’ images for about one hour at the beginning and at the end of the Semester. The students were interviewed informal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ason why the images have been transformed.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a) The students represent ECE teacher’s images as ‘appearance’(41.3%) the most. ‘certificate’(15.2%) and ‘task’(15.2%) are followed by in the first concept maps. In the second concept maps, the students represent ECE teacher’s images as ‘educator’(37.0%) the most. ‘caring’(27.8%) and ‘self-development’(16.7%) are followed by. (b) The students describe contents of the course work ‘ECE teacher education’as an agent of the transformation of ECE teacher’s images, therefore the students experience reflective thoughts. Active and reflective adult learners exist across the course work ‘ECE teacher edu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clude that the course work ‘ECE teacher education’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s worth transformative learning based on human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교육연구’ 수강을 통한 교육대학원생의 유아교사 이미지에 대한 변화의 알아보고, 유아교사 이미지 변화의 매개로써 유아교사교육연구를 수강한 교사들의 경험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사교육연구’를 수강한 교육대학원 수강생 22명을 대상으로 Novak과 Gowin(1984)의 개념도를 사용하여 유아교사에 대한 이미지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1차, 2차 개념도의 상위개념을 분석하였으며, 유아교사에 대한 이미지를 변화시킨 동인을 면담을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교육대학원생들은 1차 개념도에서는 ‘외모’(41.3%), ‘자격’(15.2%), ‘업무’(15.2%)의 순으로 유아교사의 이미지를 표상하였고, 2차 개념도에서는 ‘교육자’(37.0%), ‘돌봄’(27.8%), ‘자기개발’(16.7%)의 순으로 유아교사의 이미지를 표상하였다. 둘째, 교육대학원생들은 유아교사의 이미지변화의 동인을 유아교사교육 강의의 내용으로 설명하며, 이 과목 수강을 통해 교사와 교육을 주의 깊게 사유하고 반성적 성찰을 경험한 성인학습자의 면모를 드러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사교육연구를 수강한 교육대학원생들의 교육대학원에서 주체적 학습 경험이 교육대학원생들의 내면의 전환을 추동하여 삶의 자세에 까지 변화를 일으키는 바, 교육대학원 ‘유아교사교육연구’의 전환학습적 교사교육 나아가 전환학습적 인문학 중심의 교사교육의 가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자기가치 판단근거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김현령,김혜숙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7 초등상담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이 자아존중감을 형성․유지하는 근거가 되는 자기가치 판단근거의 특성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CQR-M)을 사용하여 자기가치 판단근거를 조사하고, 연령과 자아존중감의 크기 및 안정성에 따른 집단 간 자기가치 판단근거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자기가치 판단근거는 신념, 능력, 관계, 정서의 4가지 영역과 12가지 하위 범주로 유형화될 수 있었고 그 가운데 능력 영역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그 다음으로는 관계 영역이며, 신념과 정서영역은 상대적으로 그 수가 적으나 이러한 경향은 학년군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저학년은 관계 영역에서 자기가치 판단근거를 제시한 경우가 높으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능력과 정서영역의 비중이 높아져서 고학년에서는 능력영역의 비중이 가장 컸다. 자아존중감이 낮은 집단은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에 비해 자기가치에 대한 신념영역의 응답이 적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기가치 판단근거를 직접 조사하고 그 연령별 경향을 밝힘으로써, 아동의 자아존중감 형성과 관련하여 자기가치 판단근거를 이해하는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Korean children form and sustain their self-esteem.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 (CQR-M) was used to look into children’s basis of self-esteem and to analyze differences among various groups of age, self-esteem and its stability. Results revealed 4 categories and 12 subcategories of Korean children’s bases of self-esteem. The four categories were named as Belief, Ability, Relation, and Emotion. Among them, Ability appeared most frequently; followed by Relation, and then Belief and Emotion. But response patterns varied among age groups. While responses in Relation category were most frequent among 1st and 2nd graders, responses in Ability and Emotion categories increased with age, resulting in the highest frequency in Ability category among 5th and 6th graders. Children with low self-esteem showed less responses in Belief category than those with high self-esteem did. Implications for teachers and parents to help children build healthy and stable self-esteem were discussed.

      • KCI등재

        채팅상담 만족도 및 유료상담 결제와 관련된 상담자 언어반응 분석

        김현령,조민지,이영선 한국상담학회 2019 상담학연구 Vol.2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verbal responses of the counselors regarding the client’s session satisfaction and payment for chat counseling service. 60 cases of free single session counseling were selected from ‘S Counseling Center’ which is an chat counseling site, under the agreement of participating in research. Chat Counselor Verbal Response Category 17(CCVRC17) was established through a validation process that amended and revised the online counseling verbal response assessment tool used in the previous studies from first 15cases out of 60 cases. 45 cases for the analysi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1) high satisfaction group, (2) low satisfaction group, and (3) group who payment for counseling service after free single session. In the case analysis, Three practitioners who received systematic training for coding evaluated counselors’ 4,602 verbal responses in 45 cases according to CCVRC17. As a result of verifying CCVRC17, the most frequent responses were ‘slight encouragement’, ‘advice’, ‘interpretation’, ‘open question’, and ‘closed question’. And as a result of finding whether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verbal response items according to the client’s gender and ag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estatement’, ‘encouragement/approval’ ‘self-disclosure’ items according to the client’s gender, and the younger the client’s age was, the more the counselor used the ‘closed ques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differences in the ratio of items of counselors’ verbal responses by each group, high satisfaction group had the highest ratio of ‘self-disclosure’ and ‘interpretation’; the low satisfaction group had the highest ratio of ‘advice’ and ‘closed question’ and the lowest ratio of ‘open question’; and the payment group had the highest ratio of ‘confrontation’ and ‘summarization’ and the lowest ratio of ‘closed question’. Based on these results, authors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t counselors’ verbal responses which may affect the clients’ satisfaction and the decision to payment for counseling service and the implications of the online counseling actual practices and educational training for online counselors. 본 연구에서는 채팅상담에서 내담자의 회기 만족도 및 유료상담 결제와 관련된 상담자의 언어반응에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채팅상담 사이트 ‘S’ 상담소에서 연구 참여 동의하에 진행된 무료 단회상담 60사례를 선정하였다. 총 60사례 중에서 먼저 15사례를 통해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채팅상담 언어반응 평정도구를 수정․보완하는 타당화 과정을 거쳐 상담자 언어반응 평정도구(CCVRC17)를 확정하였다. 이후 분석에 사용된 45사례는 (1) 단회 종결된 높은 만족도 집단, (2) 단회 종결된 낮은 만족도 집단, (3) 단회 상담 이후 유료상담으로 결제한 집단 등 세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은 체계적인 평정훈련을 받은 실무자 3인이 45사례의 상담자 언어반응 총 4,602개를 평정도구(CCVRC17)에 따라 평정하였다. 전반적인 상담자 언어반응 특성을 확인한 결과, 상담자들이 가장 높은 비율로 사용한 언어반응 항목은 ‘가벼운 격려’, ‘조언’, ‘해석’, ‘개방질문’, ‘폐쇄질문’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내담자 성별 및 연령에 따라 언어반응 항목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내담자의 성별에 따라 ‘바꾸어 말하기’, ‘격려/인정’, ‘자기개방’ 항목에서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내담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폐쇄질문’의 비율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 집단별로 상담자 언어반응 항목 비율의 주요한 차이를 살펴본 결과, 상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집단은 ‘자기개방’과 ‘해석’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만족도가 낮은 집단은 ‘조언’과 ‘폐쇄질문’의 비율이 가장 높은 반면 ‘개방질문’의 비율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유료상담 결제 집단은 ‘직면’과 ‘요약’의 비율이 가장 높고 ‘폐쇄질문’의 비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채팅상담에서 내담자의 만족도 및 유료상담으로 결제 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채팅상담자의 언어반응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고, 채팅상담 실무 및 채팅상담자 교육 훈련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COVID-19) 시기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의 또래관계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김현령,정애경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2 청소년상담연구 Vol.30 No.1

        This study explored the peer relationship experiences of female elementary school seniors in the COVID-19 situation (2020-2021). Specifically,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we explored what these students experienced regarding peer relationships after the occurrence of COVID-19 and how school context influenced their experiences. To this end,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0 sixth-grade female students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District from October 8 to November 19, 2021. From the data, six themes and 32 domains emerged: (a) going to school is a driving force to make friends; (b) making friends in school is only possible through conversations; (c) school life becomes more enjoyable when having friends in the same class; (d) I feel limited to getting closer to friends in school; (e) I spend time with friends outside of school to develop strong bonds of friendship; and (f) It is difficult to make new best frie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ed coping strategies and efforts of the students in making and maintaining friendships during COVID-19.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school context to the peer relationship experiences of female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nally, we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to parents, school teachers, and counselors regarding supporting the social development of female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uring this difficult era of COVID-19.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2020-2021)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의 또래관계 경험을 질적 사례연구의 방법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21년 10월 8일~11월 19일까지 인천의 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6학년 여학생 10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 등교가 친구를 사귀는 원동력이 됨, 학교에서는 친구를 대화로 사귈 수밖에 없음, 같은 반에 친구들이 생기니까 학교 생활이 재미있어짐, 학교에서는 친구와 더 친해지는데 한계를 느낌, 친구와 더 친해지려고 학교 밖에서 만남, 새로 사귄 친구와 단짝 친구가 되기 어려움이라는 6개의 주제와 32개 상위 범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코로나19 시기 학교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들이 또래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과정에서의 대처와 노력을 소상히 드러내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들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맥락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코로나19 시기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들의 사회성 발달을 조력하기 위한 부모, 교사, 상담자를 위한 함의를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집단상담자 경력에 따른 자기대화 차이 분석: 집단원의 대화독점 문제상황을 중심으로

        김현령,김창대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self-talk done by novice and experienced group counselors in a problematic situation where a group member monopolizes the group. The researcher made a movie clip about monopolizing. 28 group counselors; 15 novice, 13 experienced participated to speak out their inner self-talks while watching the movie clip as if they are the group leader. 2 independent coders coded 839 self-talks using the suggested categories by Hines(1993). The difference of frequency and ratio of novice and experienced self-talks were analyzed by students’ t-tes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ratio of observation on the novic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experienced, and it can be inferred that the novice group counselors spend more time and attention on observations than experienced group counselors. Also, in the categories of interpretation and intervention on group member and group process, self-talk of group process, the frequency and ratio of the experience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vice. It can be inferred that the experienced group counselors spend more cognitive resources on interpretation, intervention and reflecting on the group process. 본 연구에서는 집단원의 대화독점이라는 문제상황에서 초심 집단상담자와 숙련 집단상담자의 자기대화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집단원의 대화독점 문제상황이 담긴 집단상담 동영상 자극을 제작하였고, 집단상담자 28명(초심 15명, 숙련 13명)이 동영상 속 집단지도자의 입장으로 이입하여 동영상을 시청하는 동시에 자기대화를 말로 보고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839개의 자기대화는 상담전공 박사수료 평정자 2명이 Hines(1993)의 집단상담자 자기대화 범주 목록에 따라 평정하였다. 참여자들의 자기대화 빈도 및 비율분석을 실시하고 독립표본 t-검증으로 경력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먼저 집단원의 대화독점 상황에서 초심 집단상담자는 숙련 집단상담자보다 관찰의 자기대화 비율이 높게 나타나, 초심 집단상담자는 숙련 집단상담자보다 관찰에 더 많은 인지적 자원을 할당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숙련 집단상담자는 초심 집단상담자보다 집단원 및 집단과정에 대한 해석, 개입에 대한 성찰, 집단과정에 대한 성찰의 빈도와 비율이 높게 나타나, 숙련 집단상담자가 초심 집단상담자보다 해석, 개입 및 집단과정에 대한 성찰을 더 많이 하며 인지적 자원 또한 더 많이 할당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집단상담자의 자기성찰의 발달적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고, 집단상담자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중학년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감소를 위한 수용전념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김현령,정애경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9 No.3

        This study developed and tested the effectiveness of an 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ACT)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reported social interaction anxiety in peer relationships. The program aims to reduce social interaction anxiety by improving emotional clar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in response to negative experiences with pe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 female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7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2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program was applied for a total of 8 sessions of 40 minutes once a week.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social interaction anxiety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s emotional clarity was improved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was slightly reduced.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FGI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learned coping strategies to face and avoid anxiety in peer relationships through the program, applied them in their relationships with family and friends, and reported new relationship experiences,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However, some of the concepts of ACT were not fully understood. In the discussion, we analyze the difficulties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d in understanding and applying ACT and suggest ways to address them in future program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