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북방송교류의 헌법적 의의와 과제

        김현귀 (사)한국언론법학회 2018 언론과 법 Vol.17 No.3

        In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June 15 declaration, we briefly exchanged broadcast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inter-Korean broadcasting exchange, which had been suspended by the Panmunjom Declaration in 2018, seems to be revitalized now. However, the situation of broadcasting environment of South and North Korea has also changed a lot. It is time to set a new direction based on past experience. Inter-Korean broadcasting exchanges are inter-Korean exchanges in the field of broadcasting. The subjects of inter-Korean broadcasting exchanges are the people who constitute the broadcasting system in the South and North respectively. Inter-Korean exchanges are originally by the people, nor by the state. On the other hand, inter-Korean broadcasting exchanges are carried out under special legal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plan of unification to the national community assumes that the people of the north and south will be integrated into the social community called ‘the national community’ before the unified nation-state. Inter-Korean broadcasting exchange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realizing the national task of peaceful unification. According to the Inter-Korean Agreement, inter-Korean broadcasting exchange is part of social and cultural exchange. Broadcasting is a medium of popular culture. Broadcasting can integrate the inhabitants of the South and the North into the mass, or share cultural interests. So inter-Korean broadcasting exchange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culturally integrating to a national community.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should be formed autonomously in the broadcasting system that will lead the inter-Korean broadcasting exchange. The constitution already guarantees the autonomy in the inter-Korean broadcasting exchange by guaranteeing the principle of culture-state and freedom of broadcasting. For the national task of peaceful unification, the work of the state and the law is to guarantee and appropriately support autonomous inter-Korean broadcasting exchanges. However, the specificity of inter-Korean relations, which is the status of blackout, limits its autonomy. This is also a national task to be overcome for peaceful unification. I will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inter-Korean broadcasting exchanges and the policy implementation tasks, so that this abnormal situation will be overcome in the future. 6ㆍ15 선언을 전후한 시기, 짧게나마 우리는 남북방송교류를 한 적이 있다. 2018년 판문점선언으로 그동안 중단되었던 남북방송교류는 이제 다시 활성화될 듯하다. 그러나 그사이 방송환경도 북한의 상황도 많이 달라졌다. 이젠 과거의 경험을 토대로 새로운 방향을 설정할 때이다. 남북방송교류는 방송분야에서의 남북교류이다. 남북방송교류의 주체는 남북에서 각각 방송체계를 구성하는 사람들이다. 남북교류에서 그 주체는 원래 주민이지 국가가 아니다. 한편 남북방송교류는 법적으로 특수하고 잠정적인 남북관계 속에서 진행된다. 그리고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은 통일국가이전에 남과 북의 주민들이 민족공동체라는 이름의 사회공동체로 통합될 것을 상정한다. 남북방송교류는 평화통일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실현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기능을 할 수 있다. 남북합의서에 따르면, 남북방송교류는 사회문화교류의 일환이다. 방송은 대중문화의 매체이다. 방송은 남과 북의 주민을 대중이라는 집단으로 통합할 수도 있고, 문화적 기호를 공유하게도 할 수 있다. 그래서 남북방송교류는 민족공동체를 문화적으로 통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한편 그 내용은 남북방송교류를 주도하는 방송체계에서 자율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미 헌법은 문화국가원리와 방송의 자유를 보장함으로써 남북방송교류에 있어서도 그 자율성을 보장한다. 평화통일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위하여 국가와 법이 할 일은 자율적인 남북방송교류를 보장하고 적절히 지원하는 것이다. 다만 정전상황이라는 남북관계의 특수성이 그 자율성을 제약하고 있다. 이것도 평화통일을 위해 극복해야 할 국가적 과제이다. 앞으로 이 비정상적인 상황이 극복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향후 남북방송교류의 발전방향과 정책적인 실천과제를 제시해 본다.

      • KCI등재

        북한주민의 공법적 지위에 대한 검토

        김현귀 한국법정책학회 2019 법과 정책연구 Vol.19 No.3

        남북교류의 발전을 위해서는 북한주민을 법적인 주체로 파악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북한주민의 법적 지위에 대해 살펴본다. 공법적으로 북한주민의 지위를 논한다는 것은 국적과 주소에 대한 검토이다. 그들의 국적을 논하기 전에 세계화된 오늘날 개인의 공법적 지위가 어떻게 다변화했는지를 살펴본다. 그 과정에서 국민을 국적의 유무 또는 민족의 범위에서 설정되는 추상적 의미에서 국민과 국가와의 공법관계가 맺어지는 구체적 의미에서 국민으로 나누어 본다. 이렇게 정리해 본 우리 법체계에서 북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이 어떻게 취급될 수 있는지 살펴본다. 북한주민은 우리 법체계에서 추상적으로는 국민이라고 하지만 사실상 법으로 포착되지 않는 예외상태에 있다. 오직 남북한 특수관계를 고려할 때 외국인과 유사하게 취급될 수 있다. 외국인과 유사하게 취급되지 않으면 북한주민은 구체적인 권리의무관계를 가지는 법적인 주체로 인식되지 않는다. 남북한 특수관계론에 따라서 북한주민을 국내법적으로 외국인에 준하여 취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면, 북한국적을 그리고 북한과 북한주민 사이의 공법관계를 인정해야 한다. 결국 북한주민의 공법적 지위에 관한 논의를 완결하기 위해서는 우리 헌법상 북한의 국가성을 인정하고 북한과 북한주민과의 공법관계를 인정하는 게 어떻게 가능한지에 대한 논증이 있어야 한다. In order to develop inter-Korean exchanges, North Korean people should be identified as legal entities. This study examines the legal status of North Korean people. Discussing the status of North Korean people under public law is a review of citizenship and residence. Before discussing their citizenship, we look at how today’s globalizing status of individuals has diversified. In the process, the citizens are divided into citizens in a concrete sense in which public law relations are established between them and their country and citizens in an abstract sense, which is established within the scope of citizenship or nationality. This article looks at how North Korean people and refugees can be treated in our legal system. North Korean people are an exception state in our legal system that are citizens in an abstract sense but are not recognised by law. Only considering special relat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can they be treated similarly to foreigners. Unless treated similarly to foreigners, North Korean people are not recognized as legal entities with specific rights and duties. According to the theory of special relat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f North Korean people are treated as foreigners in our domestic law, they should recognize North Korean citizenship and public law rel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North Korean people. In conclusion, in order to complete the discussion on the legal status of North Korean people under public law, there must be an argument on how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statehood of North Korea and the public law rel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North Korean people in our Constitutional law.

      • KCI등재

        통신자료제공과 개인정보자기결정권

        김현귀 한국비교공법학회 2023 공법학연구 Vol.24 No.3

        On July 21, 2022,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Article 83, Paragraph 3 of the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was unconstitutional.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n the procedure for requesting and acquiring communication data by investigative agencies is the result of accumulated jurisprudence that can be confirmed through several judicial decisions since around 2012. There were discussions about whether it was legitimate for an investigative agency to acquire personal information held by a third party, a telecommunications service provider, without a warrant, and what the legal nature was. Discussions were made as to whether the acquisition of communication data was merely an administrative real act or a de facto exercise of power that amounted to compulsory measure, and whether it was a legitimate exercise of public power or whether it was necessary to introduce the principle of warrant. As an extension of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recently determined that the provisions of the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do not violate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but violate the due process of law, and then violated the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However, it is unusual to judge that fundamental rights have been violated by violating the due process of law rather than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However, the Constitutional Court reviewed the procedural details, such as requests for provision of communication data, as it had previously reviewed in accordance with the due process of law. The legislature did not guarantee the due process by not prescribing the post-notification procedure for the provision and acquisition of communication data, thereby making the claimant's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virtually meaningless.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e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was violated by violating the due process of law. Now that the need to utilize personal information is increasing in the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the Constitutional Court paid attention to procedures and systems that enable information subjects whos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is expanding to control their information. The procedural rights of information subjects embodied in these procedures and systems are procedural rights that secure responsibility for the use and processing of personal information. This is a protection content that embodies the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which we should pay attention to in the future. 2022년 7월 21일 헌법재판소는 전기통신사업법 제83조 제3항에 대하여 헌법불합치결정을 내렸다. 수사기관 등이 통신자료를 제공요청하여 취득하는 절차에 관한 이번 헌법재판소 결정은 2012년 무렵부터 여러 차례의 사법적 판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여러 법리의 축적된 결과물이다. 수사기관이 영장 없이 제3자인 전기통신사업자가 보유한 개인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정당한지, 법적 성질은 무엇인지 등에 관한 논의가 있었다. 통신자료 취득행위가 사실행위에 불과한지 권력적 사실행위로서 강제처분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그것이 정당한 공권력 작용인지 아니면 영장주의를 도입해야 할 필요가 있는지 등이 논의되었다. 그 연장선에서 최근 헌법재판소는 전기통신산업법 규정은 과잉금지원칙을 위반하지 않지만 적법절차원칙을 위반하였고, 그래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침해한다고 판단하였다. 그런데 과잉금지원칙이 아니라 적법절차원칙을 위반하여 기본권이 침해되었다는 판단은 이례적이다. 그러나 헌법재판소는 기존에 적법절차원칙에 따라 심사하던대로 통신자료제공요청등의 절차적인 내용을 심사하였다. 입법자는 통신자료의 제공과 취득에 대한 사후통지절차를 규정하지 않아서 적법한 절차를 보장하지 않았고, 그로 인하여 청구인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유명무실하게 만들었다. 그래서 적법절차원칙을 위반하여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침해하였다고 판단하였다. 지식정보사회에서 더욱더 개인정보를 활용할 필요성이 높아지는 지금, 헌법재판소는 개인정보의 이용이 확대되는 정보주체가 자기정보를 통제할 수 있도록 만드는 절차와 제도에 주목하였다. 이들 절차와 제도로써 구체화 되는 정보주체의 절차적 권리는 개인정보의 이용과 처리에 대한 책임성을 확보하는 절차적 권리이다. 이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구체화하는 보호내용으로 앞으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의 구조와 한계 ― 해양공간계획법을 중심으로 ―

        김현귀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法學硏究 Vol.33 No.1

        기존의 연안관리법상 연안통합관리체계를 통합하여 지금의 해양공간에 대한 계획과 용도구역지정의 체계가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은 2019년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부터이다. 이후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 동안 전국 주요 지역의 관리계획이 수립되며서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 체계가 완비되었다. 중앙행정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해양공간을 이용하거나 개발하려고 할 때 해양공간적합성협의를 의무화하여 우선 개발주체 스스로 해양공간 적합성 검토를 해 지속가능성에 대해 고려하도록 한다. 이어서 그 검토결과를 해양수산부장관이 검토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해양특성을 평가하고 해양용도구역을 지정하는 형태로 지속가능한 이용과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공개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으므로 지금의 해양공간관리계획은 자료제공적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해양공간적합성협의의 결과에 법적 구속력이 없어서 해양공간의 이용・개발 및 보전행위를 상당히 느슨하게 통제하는 한계가 있다. 특히 해양공간관리계획 수립 과정에 이해관계자 등의 참여를 보장하는 절차는 기존의 국토계획법의 것을 그대로 가져와서 해양공간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도 못하였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해양공간의 이용과 개발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대안들이 고민되어야 한다. 거버넌스의 구축을 비롯하여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 체계의 한계를 극복할 다양한 법적・정책적 방안들에 대한 소견을 밝히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하였다.

      • KCI등재

        타인의 선거범죄에 의한 당선무효제도에 관한 헌법적 검토

        김현귀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023 世界憲法硏究 Vol.29 No.1

        Trials for election crimes function to punish criminal acts that infringe on the freedom of elections and undermine the fairness of elections. Indirectly, it restores the fairness of elections disturbed by election crimes. However, there are far more cases in which the result of an election is changed by punishment for election crimes than in cases where the result of an election is corrected through an election lawsuit.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constitutional problems with a system that uniformly invalidates elections only by sentences of imprisonment or fines of 3 million won or more for other people's election crimes, not their own. The invalidation of the election due to election crimes by others violates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responsibility or self-responsibility, as well as due process of law, thereby violating the candidate's right to hold public office. Above all, it can impose a burden on judges to simultaneously consider the policy judgment on the invalidation of the elected candidate in sentencing for other people's election crimes, thereby damaging the unique function of the judiciary. Comparatively, the UK and Japan also recognize the invalidity of elections due to election crimes by others. However, apart from the criminal trial for election crimes, whether to invalidate the election due to election crimes is decided through the judgment of the election court or the court in charge of election litigation. These comparative legislative examples can support the argument that the election invalidation system under Articles 263 and 265 of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violates the due process of law and violates the candidate's right to hold public office. In order to overcome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invalidation of elections due to election crimes by others,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guaranteeing a separate procedure for invalidation of elections. Therefore, legislative improvement should be made in the direction of organizing a due process that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an election is invalid, separate from criminal trials for other people's election crimes. 선거범죄에 대한 재판은 선거의 공정성을 훼손하는 범죄행위의 처벌하는 기능을 한다. 간접적으로는 선거범죄로 어지러워진 선거의 공정성을 복원한다. 그러나 선거쟁송을 통해 선거의 결과가 교정되는 경우보다 선거범죄에 대한 처벌로 선거의 결과가 바뀌는 경우가 훨씬 많다. 특히 본인의 선거범죄도 아니고 타인의 선거범죄에 대한 징역형 또는 벌금 300만 원 이상의 선고만으로 일률적으로 당선을 무효로 만드는 제도는 헌법적으로 문제가 많다. 타인의 선거범죄에 의한 당선무효제도는 책임주의 또는 자기책임의 원칙을 위반할 뿐 아니라 적법절차원칙을 위반하여 후보자의 공무담임권을 침해한다. 무엇보다 법관에게 타인의 선거범죄에 대한 양형에 있어서 당선된 후보자의 당선무효에 관한 정책적인 판단을 동시에 고려하도록 부담을 줄 수 있어서 사법 고유의 기능을 훼손한다. 비교법적으로 보면, 영국과 일본도 타인의 선거범죄로 인한 당선무효를 인정하고 있지만 선거범죄로 인하여 당선무효를 할 것인지를 선거범죄에 관한 형사재판과 별도의 선거법원 및 선거소송을 담당하는 재판소의 재판을 통해 결정한다. 이들 입법례는 공직선거법 제263조 및 제265조의 당선무효제도가 적법절차원칙을 위반하고 후보자의 공무담임권을 침해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다. 타인의 선거범죄에 의한 당선무효 제도의 위헌성을 극복하고 헌법상 적법절차원칙과 책임주의 또는 자기책임원칙 등에 부합하는 제도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당선무효 여부에 대한 별도의 절차를 보장하는 방안을 생각해 봐야 한다. 그래서 타인의 선거범죄에 대한 형사재판과 별도로 당선무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재판절차를 구성하는 방향으로 입법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인터넷 접근권에 대한 시론적 연구

        김현귀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20 法과 政策 Vol.26 No.1

        This article discusses the constitutional protection of the right to access the Internet as a test. The Internet has become a necessity in our lives. Almost everyone can access the Internet and live in all areas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Indeed, people living in today recognize the right to access the Internet as a kind of human right. Society's universal perception already recognizes the human rights value of Internet access, but our legal system has not yet approved it as a human right. In order to maintain the norm of our human rights system in the new soci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keep an eye on environmental changes. Although not approved under international law, attempts have been made in the 21st century to recognize Internet access rights as human rights under international law for a variety of reason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ternet access rights are discussed as human rights in various subject areas such as freedom of expression on the Internet, the protection of confidentiality and privacy of communications, the digital devide and the guarantee of basic telecommunications services. Internet access rights are being discussed as human rights in matters such as Internet protection policies or surveillance for the protection of individual rights or national interests, digital devides between developing and underdeveloped countries, or digital devides related to race and gender issues, and the guarantee of tele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the supply of national internet networks or network neutrality issues. Since freedom of expression has been recognized by the UN in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its legal meaning and content has continued to change with the changing times. In the flow of the history of free expression, we will examine how Internet access rights can be approved as a new human right. It also discusses whether we can protect Internet access rights as fundamental rights by freedom of speech and the press of our Constitutional law. In particular,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theoretical limitations that Internet access must overcome. 이 글은 시론적으로 인터넷 접근에 대한 권리에 대한 헌법적인 보호를 논한다. 인터넷은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 같은 것이 되었다. 거의 모든 사람이 인터넷에 접근하여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모든 영역의 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 실제로 오늘날 정보화시대에 사는 사람들은 인터넷에 접근할 권리를 일종의 인권처럼 인식하고 있다. 인터넷 접근권에 관한 사회의 보편적인 인식은 이미 인터넷 접근에 대한 인권적인 가치를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의 법체계는 아직 이를 인권으로 승인한 적이 없다. 새로운 인터넷 환경에서도 우리 인권체계가 규범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환경의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비록 국제법적으로 승인된 바는 없지만, 21세기 들어서 국제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이유로 인터넷 접근권을 국제법상 인권으로 인식하려는 시도들이 있었다. 실제로 인터넷 접근권은 인터넷상 표현의 자유, 통신의 비밀과 프라이버시의 보호, 정보격차와 기본적인 통신역무의 보장과 같은 다양한 주제 영역에서 인권으로 논의되고 있다. 가령, 권리보호나 공익, 특히 국가적 이익을 위한 각종 인터넷 차단정책 또는 감시, 개발국가와 저개발국가를 중심으로 한 정보격차 또는 인종, 성별 등과 관련된 정보격차, 국가적인 정보통신망의 공급이나 망중립성 이슈와 같은 통신역무의 보장 문제 등에서 인터넷 접근권이 인권으로 논의되고 있다. 1945년 세계인권선언에서 표현의 자유와 정보의 자유가 선언된 이후, 정보의 자유흐름 패러다임에서 신세계정보통신질서에 이르기까지 20세기 동안 시대변화에 맞춰 그 법적 의미도 변화해왔다. 그에 발맞추어 의사표현의 자유에서 정보의 자유, 언론매체의 자유, 그리고 액세스권, 더 나아가 UNESCO의 커뮤니케이션권에 이르기까지 그 내용으로 담을 수 있는 권리에 대한 논의도 다양하게 확대되어왔다. 그런 표현의 자유 역사 속에서 인터넷 접근권이 어떻게 새로운 인권으로 승인될 수 있을지 검토해 본다. 그리고 우리의 언론ㆍ출판의 자유에 의하여 기본권으로 보호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시론적으로 검토한다. 특히 인터넷 접근권이 극복해야 할 기본권 이론상의 한계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해 본다.

      • KCI등재

        지속가능한 남북관계 구축을 위한 남북합의서 체결 방안

        김현귀 법무부 2021 統一과 法律 Vol.- No.48

        South and North Korea can conclude a bilateral treaty on the premise that they are partners in peaceful unification. However, the South-North Korean agreement is a special treaty concluded in a provisional and special relationship with the goal of unification. Since South-North Korean agreements can be concluded in a variety of intentions and contexts, the signing procedure alone cannot prove that it is a treaty by itself. If a South-North Korean agreement meets the requirements of a treaty both in terms of procedure and content, it has domestic legal effect as a treaty. However, the theory of the domestic legal effect of existing typical treaties cannot be directly applied to the South-North Korean agreement. A South-North Korean agreement is an agreement concluded by a representative of the government through negotiations with North Korea according to the external decision-making of the state. The legal effect of such an agreement is, in principle, valid between the parties. Beyond this, it is important to give legal effect that directly applies to ordinary citizens who are members of the state. In particular, if the state has to directly restrict the freedom and rights of the people due to the provisions of the South-North Korean agreement, it is desirable to ensure that the implementation is ensured through a law prepared by the legislator rather than giving direct effect. If a South-North Korean agreement, which is not legally binding, is concluded and promulgated in accordance with Articles 21 and 22 of the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Act, it will be difficult to stably grant legal effect to the South-North Korean agreement. Even if it is a legally binding South-North Korean agreement, if the freedom and rights of the people are to be restricted for its implementation, it is more appropriate to pass through the legisl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than through the provisions of the South-North Korean agreement. 남한과 북한은 평화적 통일의 상대방이라는 전제로 양자조약을 체결할 수 있다. 그러나 남북합의서는 통일을 지향하는 잠정적이고 특수한 관계에서 맺어지는 특수한 조약이다. 그리고 남북합의서는 다양한 의도와 맥락에서 체결될 수 있으므로, 그 체결절차만으로 스스로 조약임을 입증할 수 없다. 물론 남북합의서가 절차적으로도 내용적으로도 조약의 요건을 갖춘다면, 조약으로서 국내법적 효력을 가진다. 그러나 기존의 전형적인 조약의 국내법적 효력에 관한 이론을 남북합의서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남북합의서는 국가의 대외적 의사결정에 따라 정부의 대표가 북한과 교섭하여 맺는 합의이다. 이런 합의의 법적 효력은 원칙적으로 당사자 사이에서 유효하다. 이를 넘어서서 국가의 구성원인 일반 국민에게도 직접 적용되는 법적 효력을 부여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특히 남북합의서의 규정으로 국가가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직접 제한해야 하는 경우에는 직접효력을 부여하는 것보다는 입법자가 마련하는 법률을 통해 그 이행이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법적 구속력이 없는 남북합의서를 남북관계발전법 제21조와 제22조에 따라 체결·공포하면, 남북합의서에 대해 법적 효력을 안정적으로 부여하기 어려워진다. 법적 구속력이 있는 남북합의서라고 하더라도, 그 이행을 위하여 국민의 자유와 권리가 제한되어야 한다면 남북합의서 규정을 통하는 것보다 국회의 입법을 통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 방송의 자유의 주체

        김현귀 헌법재판소 2014 헌법논총 Vol.25 No.-

        MBC labor union went on strike in recent years. Lately during the revising the Korean Broadcasting Act, the freedom and independence of the Broadcast Programming has been argued. These issues flow into the problem who is entitled to enjoy the freedom of broadcasting. Broadcasting companies are entitled. They are the main agencies of the broadcast and the broadcasting business operators of the Act. By the way, the company is artificial person, not natural. When they can be entitled to some fundamental rights it should be worthy in the eyes of the law, social value or public interest. That is one of reasons why the freedom of broadcasting is regarded as a public service. On the other hand, it is claimed that the staff of broadcasting companies is the very holders of the freedom of broadcasting. They have actual charge of producing, editing, distributing, and all that broadcast programming. They can claim some rights to achieve the independence of broadcast programming. The rights is grounded on the Broadcasting Act and the system of broadcasting. However, their arguments for the legal rights of autonomy counts for the Constitution. Because it is related to the free communication. Thus, the staff’s rights can be a Constitutional rights practiced in the legislation and the court of justice, although it can be realized such legal rights on the relations of complex broadcasting system. MBC 파업과 방송편성의 자유와 독립에 관한 방송법 개정논란은 방송의 자유의 주체가 누구인지에 대한 문제로 귀결된다. 방송의 자유의 주체는 방송의 주체이자 방송사업자인 방송법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법인이라는 사회적 존재에게까지 그 기본권 향유의 자격을 허용하는 것은 그럴만한 사회적 가치와 공공의 이익을 위해서일 것이다. 방송의 자유가 흔히 국민에게 ‘봉사하는 자유’로 언급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한편, 방송법인의 구성원이자 실제로 방송편성을 비롯한 제작, 편집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방송종사자들이야말로 방송의 자유의 주체라는 주장이 제기된다. 이들이 주장하는 방송의 자유는 방송법이 구성하는 방송체계 안에서 방송법이 추구하는 방송편성의 독립성을 실현하기 위하여 요청되는 권리이다. 국민의 언론의 자유를 실현하기 위한 자율성을 그 내용으로 하는 방송종사자의 이와 같은 주장은 헌법적인 가치가 있는 주장이다. 비록 방송종사자의 방송의 자유가 매우 복잡한 구조와 단계를 가진 법률상 권리로 발현될 수밖에 없지만, 사법적 판결과 입법과정 속에서 실현되어야 할 헌법상 기본권이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