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적응형 헤드 램프 컨트롤을 위한 야간 차량 인식

        김현구,정호열,박주현,Kim, Hyun-Koo,Jung, Ho-Youl,Park, Ju H. 대한임베디드공학회 2011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Vol.6 No.1

        This paper presents an effective method for detecting vehicles in front of the camera-assisted car during nighttime driving. The proposed method detects vehicles based on detecting vehicle headlights and taillights using techniques of image segmentation and clustering. First, in order to effectively extract spotlight of interest, a pre-signal-processing process based on camera lens filter and labeling method is applied on road-scene images. Second, to spatial clustering vehicle of detecting lamps, a grouping process use light tracking method and locating vehicle lighting patterns. For simulation, we are implemented through Da-vinci 7437 DSP board with visible light mono-camera and tested it in urban and rural roads. Through the test, classification performances are above 89% of precision rate and 94% of recall rate evaluated on real-time environment.

      • KCI등재

        한국불교 식문화의 특징과 연구 활성화 방안 - 제1차 사찰음식 원형문화 파악을 위한 원로 인터뷰조사’를 토대로 -

        김현구 한국정토학회 2015 정토학연구 Vol.24 No.-

        필자는 지난 2013년 3월 26일부터 6월 21일까지 대한불교조계종 한국불교문화사업단 사찰음식팀이 기획한 ‘사찰음식 원형문화 파악을 위한 원로 인터뷰조사’를 진행하였다. 원로스님, 공양주보살, 그리고 사찰음식 연구가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그 분들의 구술 내용에 근거하여 사찰음식 원형문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사찰음식 원형문화 파악을 위한 원로 인터뷰조사는 사찰음식의 근본적인 정체성을 찾아야한다는 필요성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를 찾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어떤 음식을 사찰음식이라고 할 수 있는지, 사찰음식은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따라서 불교 내적으로 사찰음식에 대한 정의와 범주를 확인하며, 그에 부합하는 사찰 식문화의 원형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분석을 위해서는 반드시 사찰음식의 전통식단 및 식문화에 대한 자료 수집을 진행해야한다. 더불어 이러한 자료 수집은 서구화·현대화된 식생활 문화의 영향으로 사찰 식문화의 원형성이 약화되고 있기 때문에 이미 사라졌거나 사라져가는 사찰음식의 전통식단 및 식문화를 보존하기 위해서라도 시급히 요구된다. 이상의 연구를 위해 먼저 문헌자료를 토대로 한국불교의 식문화의 원형성에 대해 고찰했다. 이는 사찰음식에 대한 문헌적 근거를 불교경전에서 확보하고, 동아시아 불교문화에 나타난 사찰음식의 역할, 기능, 그리고 위상을 파악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원로스님들로부터 출가 당시의 사찰 먹거리에 관한 다양한 경험을 듣고, 특색이나 지방색이 있는 음식을 만들어 드셨을 경우 전승경로와 조리법을 파악했다. 이는 인터뷰설문에 근거하여 원로스님들의 출가 당시를 기준으로 사찰음식 원형문화에 대한 특색을 정의하기 위해서였다. 필자는 이상의 조사의 과정에서 사찰음식의 원형성을 정의할 수 있었다. 특히 각 사찰마다 서로 다른 지역적 환경에 따른 특산물을 이용한 조리법은 다양했지만, 불교의 근본정신에 부합하는 음식 조리법과 식사 방식을 강조했다. 그러므로 현대에서 사찰음식이 대중에게 향유되는 방향성도 그 근본정신에 맞추어져야 한다. 사찰음식은 단순히 사찰에서 먹는 채식위주의 식단만이 아니라 불도를 이루기 위한 마음가짐과 몸가짐으로 먹는 수행인의 식사인 것이다. 많은 원로스님들의 말씀 속에는 이러한 사찰음식의 본래정신과 수행자의 자세가 충분히 담겨져 있었다. I have carried out a research under following title: interviews to senior buddhist monks and nuns for identifying traditional temple food.” It was a part of the research which was conducted by Cultural Corps of Korean Buddhism(Korea Buddhism of Jogye Order) during 26 March to 21 June 2013. The main aim of this survey was that to record traditional culture of korean temple food, based on oral statement from senior buddhist priests and monastic cooks. I have looked the origination of Korean monastic food, since fundamental identity of temple food needed to be confirmed. In order to identify temple food, history of temple food within korea Buddhist history should be traced. For this project, we tried to confirm the definition of korea temple food. Then the origins of Buddhist food culture was necessarily looked at to meet it next. For this research, data for the traditional diet and the food culture of temple had to be collected. Furthermore, from influence of westernized or modernized diet and food, traditional diet and the culture of temple food are disappearing so that collection of data regarding already gone and is going to be disappeared is urgently required.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There are two ways of study. On the one hand, we examining the identity of the Korean Buddhist food culture on the basis of the related Buddhist literatures and learning from senior buddhist monks and nuns and temple cooks about various experiences of food culture at the time of their renunciation. On the other hand, figuring out of the transmission lineages and recipes in the case when they have a regional specialty or peculiarity. First of all, securing the literal source of temple food from the Buddhist scripture. Secondly, collecting the materials mentioned about role, function, and authority of the temple food appearing on East Asia Buddhist culture. Finally, it brings about a defini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temple food culture based on interview survey of the senior monks and nuns at the time of their renunciation. While conducting this research, I have realized the fundamental identity of Korean temple food. In particular, all monks emphasize recipes and diet that correspond to the very spirit of Buddhism. Although each temple has a wide variety of recipes because of using other indigenous ingredients. Thus, sharing temple food with public should be focused on the fundamental spirit of the temple food. Since Korean temple cuisine is not merely vegetarian dish, but also meant to achieve self enlightenment, most of senior monks and nuns told us that it is important to remain a state of mind and morality to practitioner's position. In the words of many senior monks, the original spirit of these Buddhist temples and practitioner's position is fully incorporated into.

      • KCI등재

        짠드라끼르띠의 유식학 비판

        김현구 범한철학회 2011 汎韓哲學 Vol.62 No.3

        바바비베카는 중관학파 최초로 유식 삼성설에 대해 비판하며, 중관학파의 교의를 선양하려고 한다. 이 비판이 중관학파와 유식학파 사이에 ‘공’(空)・‘유’(有) 논쟁의 시작이다. 최소한의 언어 표현에 머무는 중관학파와 언어에 긍정적 기능을 부여하는 유식학파는 ‘공성’에 대한 해석에서 그들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다. 짠드라끼르띠 역시 중관학파와 유식학파 사이의 긴장을 유지하면서 유식사상을 비판한다. 그러나 짠드라끼르띠는 바바비베카와 다른 각도에서 유식학파 주장들의 한계를 지적하고 있다. 짠드라끼르띠는 알라야식을 인과를 이숙하고 상속하는 기체로서 정의하고 있다. 또한 그는 의타기성으로서 알라야식을 이해하고 있는데, 그것은 유식성과 염정 이분의 근거로서 의타기성을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식성과 염정 이분의 근거로서 의타기성에 대한 이해는 아상가-바수반두의 해석에 근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유식무경설의 근거로서 제시되고 있는 주장들은 꿈의 비유, 비문증의 비유, 부정관의 비유 등 크게 세 가지이다. 꿈의 비유는 『섭대승론』 「소지상분」이 『입중론』의 논의와 맥락 상 일치하고 있고, 비문증의 비유와 아귀의 비유는 『유식이십론』이 인용 근거로 판단된다. 따라서 『입중론』에서 제시되고 있는 유식무경설 역시 아상가-바수반두의 저작들에 기초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식무경설에 대한 비판은 꿈의 비유, 비문증의 비유, 부정관의 비유 등에 대한 부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의 특징은 외경의 실재를 논증하는 것이 아니라 유심을 강조하여 유식을 배격하는 논증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유식론 비판에서는 객관적 사실의 경험이 불확실하다는 주장(유심)과 객관적 사실이 없다는 주장(유식)과의 차이를 구분한다면 유식이론은 중관학파가 수용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이것이 유식학파의 종의(宗意)를 중관학파 하위로 설정하려는 교섭적인 측면이 나타나는데 바바비베카와는 다른 특징이다.

      • KCI등재

        기계적 합금법에 의한 BaO2-TiO2-Strontium nitrate: Eu3+ 합성분말의 형성 및 광발광 특성

        김현구 한국물리학회 2015 새물리 Vol.65 No.9

        BaO2-TiO2-Strontium nitrate:Eu3+ powders were synthesized by using the planetary ball mill (PBM) method, and their structural and photoluminescent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using X-ray diffractometry (XRD), thermogravimetric/differential thermal analyses (TG/DTA), and an Ocean Optics USB2000 spectrometer. The crystallite size of the resultant powder milled for 600 minutes (min) by using the Willaimson-Hall method, was approximately 74.1 nm with a strain of 6.01 × 10−3. The maximum dissolution temperature, the transition temperature, and the total percent weight reduction of the sample powders were 604.1 ℃, about 525.7 ℃, and 29.22%,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photoluminescence peaks of the powder mixtures were detected near 578 nm, 591 nm, 615.5 nm, and 666 nm, respectively. The highest luminescence intensity of the powder mixture was observed for the samples with Eu = 10 mole%. Peaks of Sr2TiO4 and (Ba1.5Sr0.5)TiO4 were observed in samples annealed at a temperature of 800 ℃ for 1 h. BaO2-TiO2-Strontium nitrate: Eu3+ 합성분말을 PBM 방법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제작하였으며, 구조 및 광발광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X-ray diffractometry (XRD), thermogravimetric/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TG/DTA), 그리고 Ocean Optics USB2000 spectrometer를 이용하였다. 600분 밀링한 시료 분말을 Williamson-Hall 방법을 이용하여 구한 결정크기는 약 74.1 nm, 변형율은 약 6.01 × 10-3이었다. 최대 분해온도는 604.1 ℃, 전이시작온도는 약 525.7 ℃임을 알 수 있었으며, 총 무게 감소율은 29.22%이었다. 약 527.0 ℃에서 약 626.5 ℃까지의 무게 감소율이 전체 감소율의 약 83.2%로 가장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Eu를 10 mol% 첨가했을 경우 발광 강도가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대체적으로 578 nm, 591 nm, 615.5 nm, 666 nm, 그리고 698 nm로 구성되었다. 800 ℃에서 1 h 동안 열처리한 시료들에서는 Sr2TiO4와 (Ba1.5Sr0.5)TiO4 피크들이 측정되었다.

      • 전착법에 의해 제작된 Ni-Fe-P 비정질 합금막의 구조적 열적 특성

        김현구,문미숙 조선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8 自然科學硏究 Vol.21 No.1

        A study of the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morphous Ni-Fe-P alloys was carried out using a X-ray diffraction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energy dispersive X-ray analysis (EDX),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nd Vickers hardness. Amorphous Ni-Fe-P alloys were electrodeposited in normal Watt's type bathe contaning FeSO_4 (10∼100g) and H_3PO_3 (0∼10g). The copper substrates with the deposited alloy was used as the working electrod, with platinum plate as the counter electrode. The electrodeposited Ni-Fe-P amorphous alloys showed broad peaks in the XRD patterns. In the EDX experiment, the Ni and P content of the alloys increased with increasing phosphoric acid concentration, whereas the Fe concent decreased with increasing P content in Ni-Fe-P amorphous alloys. In the DSC experiment,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_x), peak temperature (T_p) and enthalphy (△H) was 370.6℃, 381.8℃ and 171.6mJ/mg for current density 2A/dm^2, phosphoric acid 5g/l, and FeSO_4 20g/l concentration, respectively. The T_x, T_p, and △H increased as the ferrous sulfate concentration increased. The amorphous Ni-Fe-P deposites after being heat treated up to 450℃ produced Ni_3P, Ni_3Fe and Fe_3P. The hardness of the as-deposited Ni-Fe-P amorphous alloys was 100Hv and 150Hv after being heat treated up to 400℃ for 1h.

      • KCI등재

        액체급냉법에 의해 제작된 비정질 Fe70Cr5Si10B15 금속합금의 부식특성

        김현구 한국물리학회 2009 새물리 Vol.59 No.3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measure the electrochemical corrosion of an amorphous Fe70Cr5Si10B15 (at. %) alloy ribbon under various conditions, including a 0.16 % hydrochloric aqueous solution, a 0.40 % sodium chloride solution, and various value of the pH oxygenation time. The gradients of the polarization curves as functions of the corrosion potential, critical corrosion density, corrosion current density, and corrosion rate in a 0.16 % hydrochloride aqueous solu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within the given temperature range while the corrosion potential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e polarization resistance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corrosion rate. The corrosion resistance in a 0.40 % sodium chloride solution was better than that in a 0.16 % aqueous hydrochloric acid solution at all given temperatures. Corrosion of the amorphous Fe70Cr5Si10B15 alloy occurred more rapidly at a pH of 3. The corrosion was not perfectly proportional to the oxygenation time within the range of studied times. 액체급냉법으로 제작된 비정질 Fe70Cr5Si10B15 금속합금의 전기화학적 부식 특성을 염산 및 염화나트륨수용액, pH, 그리고 산소 공급 시간 등과 같은 여러가지 조건하에서 알아보았다. 0.16 % 염산수용액에서는 부식전위(Ecorr)와 초기 부동태 전위(Ep) 사이의 분극곡선의 기울기(β), 임계 전류밀도(Icrit), 부식전류밀도(Icorr), 그리고 부식속도는 측정온도 범위에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Ecorr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온도에 따른 분극저항(Rp)은 부식속도에 반비례하는 것도 알 수 있었다. 0.40 % 염화나트륨 수용액에서 비정질 시료의 온도에 따른 부식 특성은 0.16 % 염산수용액에서의 부식 특성과 비슷한 형상을 보였으나, 염화나트륨 수용액에서 내식성이 더 좋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pH 조건에서는 pH가 3 근처에서 비정질 시료의 내식성이 가장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산소 주입시간에 따른 비정질 시료의 Ecorr는 실험 범위내에서는 대체적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