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의 우울과 삶의 만족도 간의 사회서비스 이용의 조절효과

        김향아(Kim, Hyang-A),이준상(Lee, Jun-Sang)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20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0 No.34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과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사회서비스 이용의 조절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8년 한국복지패널(KOWEPS) 13차년도의 원자료를 사용하여 노인 4,62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방법으로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우울은 삶의 만족도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노인의 우울과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사회서비스 이용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우울과 사회서비스 이용의 상호작용항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조절효과의 기울기에서 사회서비스 이용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 보다 우울과 삶의 만족도의 영향력에 차이가 큰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사회서비스 이용 하위 요인들 중에서 상호작용항의 조절효과는 검증되지 않았으나, 조절변수인 소득보장 서비스, 건강보장 서비스, 사회참여 서비스의 직접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우울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사회서비스 제공의 중요성과 실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ervice use betwee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4,620 elderly people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using raw materials from the 13th year of the 2018 Korea Welfare Panel Study(KOWEP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of the elderly was verified as a factor that decreases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ervice use was verified betwee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interaction terms between depression and social service use were significant, and the slope of the moderating effect showed that the group with high social service use had a greater effect 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than the group with low social service use. Third, although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nteraction term was not verified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service use, the direct effects of income security service, health security service and social participation service were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social service provision and practice plans to reduce the level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were suggested.

      • KCI등재

        노인의 가족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준상(Lee, Jun-Sang),김향아(Kim, Hyang-A) 한국웰니스학회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노인의 가족관계, 삶의 만족도, 우울의 정도를 파악하고, 가족관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2012년 한국복지패널(KOWEPS) 7차년도의 원자료를 사용하여 2차 분석을 하였다. 배우자와 자녀가 2명 이상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가족관계가 좋을수록 우울수준은 낮고, 삶의 만족도는 높은 관계가 나타났으며, 우울수준이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높은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가족관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우울은 노인의 가족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노인의 가족관계 증진을 통해 우울을 예방하고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실천적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family relationship, life of satisfaction, depression of the elderly and verify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between family relationship and life of satisfaction. This study was secondary analysis using raw data of seventh year of the 2012 Korea Welfare Panel.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elderly aged 65 and over, who have spouse and two or more children. As a means of study, a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were in following. First, when family relationship was good, depression was low and life of satisfaction was high. When depression was low, life of satisfaction was high. Second, depression had mediation effect in which family relationship affects life of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author suggested realistic and political issues to social welfare to prevent depression and increase life of satisfaction through improving family relationship of the elderly.

      • 대구시 탈시설 장애인 지원과제

        조문순(Moon-Soon Cho),김향아(Hyang-A Kim),김지아(Ji-A Kim) 경북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2 사회복지연구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탈시설 장애인 지원과정의 어려움과 과제를 파악하여 향후 대구시가 탈시설 장애인 지원을 위해 풀어나가야 할 과제는 무엇인지 제시하는 것이다. 탈시설 지원 경험이 있는 기관의 전문가 9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으며 반복적 비교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3개 범주(정책과 제도적 환경 미비, 지원인력의 소극적이고 비전문적인 태도 및 역할, 지역사회 정착을 어렵게 만드는 제약적 환경), 6개 하위 범주(중앙정부의 정책 부재로 인한 어려움, 지역사회 거주에 필요한 지원기반 미비, 탈시설 지원인력의 소극적 태도, 활동지원사 역할에 대한 우려, 정착에 필요한 서비스 부족, 지역사회 서비스 이용 제약과 준비되지 않은 시스템)의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탈시설 장애인이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 정착하여 살아가기 위한 다양한 인프라 구축, 장애인의 탈시설을 위한 지원인력의 역량강화, 지역사회 주택 확보, 탈시설 장애인을 위한 지원 서비스 확대, 충분한 예산 확보가 필요하다는 탈시설 장애인 지원과제를 제시하였으며, 이는 향후 대구시 탈시설 지원 마련을 위한 근거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and problems of the deinstitutionalization support process for the disabled person and to suggest the challenges that City of Daegu must address for deinstitutionalization policy in the future. FGI was conducted on 9 experts from institutions with experience in deinstitutionalization support, and using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ree categories(lack of policy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passive and unprofessional attitudes and roles of support personnel, and constraint environment making difficulties in settlement in the community), 6 subcategories (difficulty due to lack of central government policy, insufficient support base for community residence, passive attitude of deinstitutionalization support personnel, concerns about the role of Personal Assistant’s for Disabled Persons, lack of services necessary for settlement, Constraints on the use of community services and unprepared systems) were derived. Through this, deinstitutionalization support tasks were present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various infrastructures for the deinstitutionalized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settle as members of the community,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support personnel for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disabled, securing community housing, expansion of support services for the deinstitutionalized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secure enough budget. This is expected to be a valuable resource for preparing support for deinstitutionalization in City of Daegu in the future.

      • SCOPUSKCI등재

        파라캇 중독 환자에서 파라캇 혈중농도와 조기 예후 예측인자

        최원석 ( Won Suk Choi ),김자현 ( Ja Hyun Kim ),이현아 ( Hyun A Lee ),전경홍 ( Kyung Hong Jun ),강명수 ( Myung Soo Kang ),김향 ( Hyang Kim ) 대한신장학회 2010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9 No.5

        목적: 파라캇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맹독성 제초제로 이에 중독될 경우 급성 신부전 급성 폐부전 및 폐 섬유화를야기 시키는 치명적인 약물이다. 본 연구는 급성 파라캇 중독 환자에서 내원 초기 응급실에서 측정 가능한 검사항목들과 파라캇 혈중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초기 검사항목이 예후예측에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 방법: 파라캇 노출 후 24시간 이내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83명을 대상으로 내원 당시 소변 dithionite검사와 혈중 파라캇 농도를 확인하였으며 초기 검사지표로 백혈구 수 및 소변pH와 혈중 AST, ALT, BUN, Creatinine, Glucose, Amy-lase, Ph, PaO2, PaCO2, HCO3, Base excess, Na, K, Cl등을 분석하였다. 생존군과 사망군으로 나누어 소변 dithionite 검사와 혈중 파라캇 농도 SIPP를 비교하였으며, 혈중 파라캇 농도에 따라 4그룹으로 분류하여 각 그룹간 초기 검사지표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파라캇 혈중농도는 생존군에서 1.32±1.72 μg/mL 사망군에서 사망군에서 88.44±81.56μg/mL로 사망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파라캇 혈중 농도 증가에 따라 4군으로 분류하여 각 그룹의 초기 검사지표를 비교한 결과 WBC, glucose, Cr, pH, HCO3 BE항목에서 파라캇 혈중농도가 낮은 그룹과 높은 그룹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나이와 음독 후 내원 시간에 대한 보정 후에도 WBC, HCO3 BE 항목에서 혈중농도 변화에 따른 증감관계를 보였다. 결론: 파라캇 혈중 농도와 SIPP는 사망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초기 검사지표 중 파라캇 혈중농도 변화에 따른 유의한 증감관계를 보인 WBC, glucose, Cr, pH, HCO3 BE등은 생존가능성을 예측하는 조기 인자로 볼 수 있겠다. 특히 나이와 시간에 대한 보정 후에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WBC, HCO3, BE 항목은 혈중 농도를 대신해 예후 예측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Paraquat is a lethal herbicide and induces acute renal failure, hepatic dysfunction, and progressive respiratory failure.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plasma paraquat concentrations and initial laboratory data at Emergency Medical Center and to investigate whether initial laboratory data is useful for predicting outcomes of paraquat-poisoned patients.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by chart review was done on 83 patients who ingested paraquat and who had presented to Emergency center of within 24 hours. Plasma paraquat concentrations, urine dithionite test and initial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white blood cell count, urine pH, and AST, ALT, BUN, Creatinine, Amylase, Glucose, pH, PaCO2, PaO2, HCO3. Base Excess, Na, K, Cl were obtained at the time of Emergency Center visit. We compared urine dithionite test, plasma paraquat concentrations and Severity Index of Paraquat Pisoning (SSPI) of the survival group to those of the dead group.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four subgroups based on the level of plasma paraquat concentration, their initial laboratory data was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The mean plasma paraquat concentration in the mortality group was higher than that in the survival group (88.44±81.56 vs. 1.32±1.72 g/mL). Among the initial laboratory data of four subgroups, μ WBC, Glucose, Cr, pH, HCO3, Bass exces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 of low level of plasma paraquat concentration and higher group. ANCOVA analysis revealed that WBC, HCO3, Bass excess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plasma paraquat concentration significantly. Conclusion: The plasma paraquat concentration and SIPP were higher in the mortality group significantly. Initial laboratory data including WBC, Glucose, Cr, pH, HCO3, Bass excess were proven to b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Especially WBC, HCO3, Bass excess can be used to predict the outcome of paraquat poiso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