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상 임신시 폐기능의 변화에 관한 연구

        김향미,천선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5

        경미한 호흡곤란은 정상 임산부의 60∼70%에서 호소되는 생리적 현상으로 임신 초반부터 발생되며 환자에 따라서 그 정도가 다양하고 일상생활에 장애를 주지는 않는다. 저자들은 임신이 호흡기계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정상 건강한 임산부 14명을 대상으로 임신 초기, 중기 및 말기에 spirometry와 Body plethysmograph를 시행하여 폐기능을 비교한 결과 건강한 여자에서 폐기능은 전 임신 기간을 통하여 정상으로 유지되었다. 따라서 임신시 호소하는 생리적 호흡곤란이 임신시의 폐기능과는 상관이 없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임신 기간 중 호흡곤란이 심하거나 호흡기 질환을 가진 산모에서 임신시 폐기능의 변화를 고찰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 Dyspnea is a common feature of pregnancy, occuring 60 to 70% of normal pregnant women. It usually is a normal physiological response in pregnant women, and it typically does not interfere with daily activiti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 of pulmonary functions during the normal pregnancies in healthy women. Material and Methods: Forced spirometry and body plethysmograph were performed in 14 normal pregnant women at first (10±1.8 weeks), second (26±2.9 weeks) and third (38±0.4 weeks) trimester serially. Results: Pulmonary function remained well within normal limits during pregnancy. At term, FVC increased (7.1%) and FEV1 and PEF tended to increase slightly but MMFR tended to decrease slightly. The airway resistance remained normal range. There was an decrease in the RV which coupled with the reduced ERV. This resulted in 18% diminution of FRC at term. But it was compensated by a corresponding increase of the IC (19.4%), so TLC decreased very slightly. Conclusion: Normal pregnancies in healthy women cause no significant alterrations in the pulmonary function. Whereas the study in the pregnant women with severe dyspnea or respiratory disease would be needed.

      • KCI등재

        발반사요법이 시설노인의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김향미,안혜경 노인간호학회 2003 노인간호학회지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foot reflex therapy on heath status in institutional elders using a quasi-experimental design. Pre and post-experiment measures were compared. Data were collected for a month from July 12 to August 16, 2002. Sixteen institutional elders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 as the control group. Foot reflex therapy was performed to the feet of eld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40 minutes twice a week for a month, a total of 8 times. During therapy, the elders in the control group enjoyed relaxing in their rooms. The effects of foot reflexology on physical health such as systolic/diastolic pressure, pulse rate, respiration rate, muscle endurance, agility, psychological health such as perception of health status, perception of pain, sleep pattern and spiritual health such as quality of life of institutionalized elders were evaluat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 PC 10.1 for window with frequenci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Chi-square test, and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for weight, age and height at pro-treatment (p<.05).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two groups were similar in the sample distribution. The effects of the foot reflex therapy on physiological responses were a significant decrease in respiration rate after therapy, on muscloskeletal function, a significant increase in muscle endurance after therapy and on kinesthetic perception responses, a significant increase in agility after therapy. The effects of the foot reflex therapy to psychological health were a more perception of health status after foot therapy and a decreased perception of pain after therapy, and improved sleep pattern after therapy. The effects of the foot reflex therapy showed that quality of life improved after therapy. In conclusion, the study provided support that foot reflex therapy for elders promotes positive physiological responses, psychologic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From this result, it can be concluded that foot reflex therapy is effective as a intervention for health promotion in elders.

      • 단절적 균형 이론과 정책변동: 집시법 제10조 야간옥외집회금지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을 중심으로

        김향미,이삼열 한국정책학회 2014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

        이 글의 목적은 2009년 집시법 제10조 야간옥회집회금지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단절적 균형 이론의 시각에서 설명하는 것이다. 야간 옥외집회를 원칙적으로 금지하는 정책은 1962년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때부터 수차례의 법 개정에도 불구하고 계속 유지되었으나, 2009년 헌법불합치 결정에 의해 2010년 실효되었다. 이처럼 장기간 유지되었던 어떤 정책이 판결을 통해 단절적이라고까지 표현할 수 있는 변동을 겪는 과정은 단절적 균형 이론(Punctuated-Equilibrium theory)에 의해 잘 설명될 수 있지만, 이를 사용한 국내외 논문은 그리 많지 않은 상황이다. 단절적 균형이론을 중심으로 문화인지(cultural cognition)와 초점사건의 개념을 사용하여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설명한다. 이를 위해 1968년부터 2011년 사이 해당 정책과 관련하여 법조계 논문에서 나타난 문화인지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야간옥외집회와 관련된 초점사건을 분석하여 단절적 변동의 이유를 제시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미술교육에 있어서 미술치료적 관점의 적용에 관한 연구

        김향미 한국조형교육학회 2005 造形敎育 Vol.0 No.2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potentiality of art education from a viewpoint of art therapy. Especially, the focal point of this study is to clear the process of creativity in artistic expressions in healing, art and education. The healing ability of art has been mainly developed in the field of art therapy. We, who are involved in art education, have to re-examine the essential meanings of creativity in art education and healing in art therapy in order to develop the reciprocal assistant relationship between art education and art therapy. Both of them are an indispensable power for our total change. It is very important that we have a suitable way to express ourselves or communicate our thoughts or feelings to a person. It is also important that we take an objective view of ourselves in the process and result of our expressions, because it is necessary in daily life to look back on what we have done and to keep our mental balance. In this sense, art is not for just some talented person, but for all of us, living. In this study, I tried to find an essential common point between art education and art therapy in order to achieve children's freedom of self-expression.

      • KCI등재

        한국 전통 무용의 분장 연구 -민속 무용 중심으로-

        김향미,김금란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4

        Korean traditional dance is roughly classified into two kinds of traditional dance and creative dance, and the traditional dance is sub-categorized into royal court dance, folk dance, mask dance and ritual dance. In particular, folk dance was a sort of religious rite or traditional customs before the Three Kingdom Period, but it has developed into diverse types of tunes or dance in each areas since the Three Kingdom Period. Folk dance did not have any form as one of ways to express diverse feelings of common people such as sorrow and joy. There have been a number of studies on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makeup in recent times, but as those on folk dance makeup were not sufficient, it is suggested that diverse studies on folk dance should be conducted for further development of dance makeup design. Therefore, this study analysed static image of Salpuri, swift image of Ganggangsulrae, holy image of Seungmu, dynamic image of Jangguchum and fantastic image of Mudangchum targeting Salpuri, Ganggangsulrae, Seungmu(Buddhist dance), Jangguchum(Korean traditional drum dance) and Mudangchum(exorcism dance) as subjects of the study. A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makeup artists or dancers who do direct makeup by dancers, this study will pay more attention to folk dance makeup and provide useful data for development of diverse dance makeup designs. 한국무용의 종류는 크게 전통무용과 창작무용으로분류되고 전통무용은 궁중무용, 민속무용, 가면무용, 의식무용으로 나누어진다. 최근 한국무용과 분장에 관한 연구는 점점 많아지고 있지만 민속무용과 분장에 관련한 연구들은 미비하여 민속무용 분야에 무용분장디자인의 발전과 확대를 위하여 다양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민속무용은 삼국시대 이전에는 제사나 세시풍속들이었으나 삼국시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각 지방에따라 각기 다른 가락과 춤가락 등으로 달라지는 양상을 지니고 있으며 격식이 없고 서민들의 슬픔과 기쁨등 여러 가지 감정들을 표출하는 하나의 방식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용분장의 관심을 제시하고 분장디자인의 다양성과 발전을 위해 민속무용분장에 대해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서론에서 한국무용 중 민속무용의 관심을 제시하고 민속무용 분장디자인의 다양성과발전을 위한 연구목적과 방법 및 범위를 설명하였고이론적 배경에서는 무대분장의 개념과 무용분장의 개념, 한국전통 무용의 종류, 분장과 한국 전통 무용의발달과정을 연구하였으며 본론에서는 민속무용 중 살풀이, 강강술래, 승무, 장구춤, 무당춤 등 다섯 가지를선정하여 특성과 이미지를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배경에서 선행논문, 저서, 전문잡지, 간행물, 인터넷을 활용하였으며 다섯 개의 민속춤의 특성에 맞춰 일러스트레이션을 제작하고 이미지와 제작과정을 제시하여 춤의 특성과 이미지에 어울리는 분장디자인을 제작하여 연구 분석 한 결과 무용분장 디자인은 춤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이미지를 극대화하여 작품의 고유한 특성과 이미지가 충분히 고려된 분장디자인을 기획하고 제작하는 것이가장 중요하며 향후 분장디자인의 발전을 위해 기본적인 디자인 외에 춤의 특성과 이미지에 걸 맞는 창의적이며 개성이 표현되는 디자인 연구도 지속되어야한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미술교육의 사회적 기능 확장으로서의 노인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김향미 한국조형교육학회 2018 造形敎育 Vol.0 No.66

        With people living longer, on average, there is a growing desire to enjoy a better quality of life as a senior citizen. Likewise, to conduct education for seniors to cope with the changes and social trends in a desirable way, in-depth consideration should be made regarding the purpose, content and methodology for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necessity for senior art education from a perspective of extending lifelong learning and the social function of art and discern specific relevant measures. Likewise, the research was preceded by the task of converging theories from various fields that are focused on seniors. Further,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resent status of art education for seniors in Korea. Meanwhile, overseas research trends in art education were investigated. Specific plans were then sought to discern an art education program for seniors that reflects theory, from each perspective. Henceforth, to invigorate art education for seniors, there should be an overall change in understanding about the function that art offers to society as a whole. 인간의 평균 수명 연장과 전반적인 교육수준의 향상은 노인들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과 교육적 욕구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들 스스로 자신의 가능성과 자아정체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노력이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 추세에 발맞추어 노인교육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그들의 교육적 요구에 기초한 교육목적과 내용, 방법 등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종래 미술교육이 주로 학교교육의 범주에서만 고려된 점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기반으로, 미술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의 확장이라는 관점에서 노인 미술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고그 구체 방안을 구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우선 노인을 중심으로 한 노인학, 노인 복지, 평생교육, 미술교육, 미술심리치료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관점과 이론을 유기적으로 검토하고, 해외 노인 미술교육 연구동향을 조사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한편, 국내 노인 미술교육의 현황 조사를 통해 프로그램 내용상, 운영상의 문제점과 과제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상을 통해, 각 관점에서의 이론적 기초를 반영한 노인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함으로써 개선방안을 조망하였다. 향후 노인 미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미술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더불어, 노인들의 개인별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구 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나아가 교육현장에서의 효율적인 적용과 실천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