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 간 거래에서 고객가치가 거래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 거래가치, 관계 가치, 평가적 가치를 중심으로 -

        김향미,이소영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6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4 No.9

        본 연구는 “어떤 기업이 거래 상대로서 매력적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단지 오랜 기간 거래를 했다는 이유로 관계를 지속하는 원인이 무엇일까?” 라는 연구 문제로 출발하였다. 저자들은 이를 고객 가치로 설명하였으며, 고객 가치를 B2B 거래 관계의 스펙트럼 안에서 거래 가치, 관계 가치, 평가적 가치라는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거래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업 간 거래를 유지하는데 있어, 거래 가치 혹은 관계 가치라는 양자택일적인 가치 판단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거래를 지속할 것인지 말 것인지에 관한 의사결정은 거래 가치와 관계 가치를 토대로 평가적인 측면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기존 연구가 거래 가치 혹은 관계 가치라는 한 측면에서 거래의 지속성을 다루었다면, 본 연구는 이들을 동시에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research question that "Why some companies decide to keep working in partnership even when they are not satisfied with the partner companies simply because they are old business partners." The authors try to find the answer in terms of customer value considering the phases of B2B transaction spectrum: transaction value, relationship value and appraisal value implementing empirical research. The result shows that the intension to retain the relation with an existing partner is formed by the trade-off between the benefit and cost of both contract value and relationship value and not the sole value was dominant. The unique point of the study is that current study is considering these two factors as dependent variables which affect the relationship continuity which is not the case in existing researches.

      • KCI등재

        기초자치단체의 작은도서관 사업 예산 결정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울시 25개 자치구를 중심으로

        김향미,정다해 한국지방정부학회 2024 지방정부연구 Vol.28 No.2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decision of small library budget in local governments, focusing on economic constraints (Peterson, 1981) and political environments. We conducted a panel regression analysis on the small library budget allocated from 2013 to 2023 in 25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As a result, we found most of economic constraints and political environment factors did not affect on the decision of small library budget, but rather, only an incremental factor, which was a control variable, had a consistent and strong influence. First,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influence of structural economic constraints(Peterson, 1981) has been neutralized due to the specificity of the Seoul. Second, the incremental budgeting of local governments could be results of weak civic or interest group activities, and indifference of major politicians due to complex purposes of small library which was originated from its historical context. As an exploratory empirical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small library budget, which are currently an issue in real time but have lacked research in related academic fields, this study has timeliness and contribution.

      •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김향미 한국복지상담실천학회 2020 한국복지상담실천학회지 Vol.1 No.-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회복탄력성, 조직몰입 간의 직접적 효과를 살펴보고, 회복탄력성과 조직몰입을 매개로한 간접효과를 살펴보자 하였다. 직접적 효과를 검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과 조직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복탄력성은 직무소진에, 조직몰입은 직무소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은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적 효과 검증 결과, 회복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간 관계에 있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 effects of job stress, job burnout, 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burnout of nursing carers, and to examine the indirect effects through 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rect effect, job stress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burnout and a negative effect on 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resilience has a negative effect on job burn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a negative effect on job burnout, and resili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direct effect test results showed that resilience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 KCI등재

        미국과 일본 미술교육과정의 동향 및 내용에 관한 비교연구

        김향미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97 한국초등교육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fundamental materials on the curricular reform measures of art education by comparatively examining the tendency of educational curriculums between the USA and Japan, especially based on the historical curricular changes of elementary art education. The subject that is conclusively suggested is to establish a curricular direction in order to set its general thought and concretely achieve its goal. Through its accumulated achievements of the goal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the curricular direction, more concrete theory would be provided and its achievements could be newly expected. A curriculum, a phenomenon situated in a border side between an ideal educational policy and actual educational state, needs to more flexible educational structure, not only by a planned theory as far as it's for human beings having a self-contradiction.

      • KCI등재
      • 공교육 청소년의 ‘나눔교육활성화를 위한 지역사회네트워크 구축사업’ 실천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김향미,강상준 한국사회복지학회 2024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4 No.10

        본 연구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공모하여 진행된 ‘나눔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사업’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변화의 주체, 시민으로서의 성장 주체로 거듭나기 위해 청소년이 나눔교육에 참여한 사례를 질적으로 접근하여, 청소년들이 인식하고 있는 나눔의 의미, 개념의 확장성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인천 신현고 학생자치회(해솔)의 나눔샘 접경프로젝트는 나눔을 권리라는 관점에서 해석하고 권리의 관점에서의 나눔 실천을 프로그램화한 것이다. 본 연구는 자선·시혜의 관점의 나눔을 전통적인 자선형 나눔이라고 규정하고 이 규정에 기반하여 실천했던 나눔의 한계와 경향성에 대해 실증적으로 논의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청소년이 경험한 나눔교육은 전통적인 나눔 즉 자선의 실천에 가까운 활동이었다. 시혜적 측면이 매우 강하고 이는 한국 사회에서 나눔의 의미로는 한계가 있다. 이에 권리를 나눌 수 있는 권리형 나눔을 개념화시키고 내용적 측면에서도 학문적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권리의 나눔에 대한 개념, 내용에 대한 확장을 통해 공교육 제도 뿐 아니라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도 나눔의 지평을 확장할 필요성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로 도출된 주제는 ‘시민성을 익히다(인식의 변화), 민주주의를 익히다(실천의 확장), 시민으로 성장하다(실존적 존재로서의 자각)’이다. 도출된 논의는 시민권이 권리임을 학습하는 것 뿐 아니라 실천의 영역과 함께 하는 동료가 필요하다는 것, 학교 안/밖에서 좋은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일상적인 시민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권리로서의 나눔이라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실천적 의의가 있고, 공교육 현장에서 권리형 나눔교육이 실시되어야 하며, 시민교육이 일상화될 수 있도록 법적·정책적 제도 마련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A report of 21 unrecorded bacterial species belonging to phyla Bacteroidota and Bacillota in the Republic of Korea

        김향미,황선이,최아영,정지영,조자영,이수영,고재덕 한국환경생물학회 2025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43 No.1

        During an investigation of indigenous prokaryotic species in the Republic of Korea, 17 bacterial strains belonging to the phylum Bacteroidota and 4 strains belonging to the phylum Bacillota were isolated from freshwater environments. These isolated bacterial strains formed a robust phylogenetic clade with type strains of the closest related bacterial species, with 16S rRNA gene sequences sharing similarities of higher than 98.7%. To date, there have been no official report of these 21 isolates in the Republic of Korea. At the genus level, these unreported species were affiliated with Mucilaginibacter and Pedobacter of class Sphingobacteriia, Flavobacterium and Gillisia of class Flavobacteriia, Hymenobacter of class Cytophagia, and Paenibacillus and Planococcus of class Bacilli. These species were further examined by performing Gram staining, analyzing their colonies and cell morphologies, and determining their basic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hylogenetic positions.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21 previously unreported species are provided.

      • KCI등재

        대리모 논란에 대한 법리적 이해

        김향미 한국법철학회 2012 법철학연구 Vol.15 No.1

        Recently, there are many disputes about surrogate mother's ethical and legal problem in our society, according to proclaiming the person who related the surrogate mother procedure. I would like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s by pursuiting the proper solution about the surrogate mother procedure which has a lot of ethical and legal problems but doesn't have the regulation system, now. The author primarily reviewed the medical aspect of surrogate mother program and investigated the legal and ethical issues on surrogate mother program. Surrogate mother problem needs the sincere discussion with the related persons (doctor, the infertility couples who are going to receive the treatment, the candidate to surrogate mother etc) on the basic thinking of the bioethics. But it is essential to prepare the firming legal systems for the preservation of public order and the improvement of absence of legal system for the punishment of illegal and unethical practices. Specially considering the contents of the law, it is necessary to deal with the problems from ART (Artificial Reproductive Technology) using donated sperms, donated oocytes or donated remained embryos, and surrogated uterus for the protection of the related person's rights. In the provisions of the law, the medical practice and biomedical research must be directed and supervised by authorized institution. So, therefore, it could be achieved not only to give a protection for human fundamental rights and dignity of the persons who would have a relation by donation or surrogation, but also to contribute in establishing bioethics in our society. 2011년 9월 30일 대리모시술관련 브로커가 경찰에 구속되면서 우리사회에서는 또 다시 대리모와 관련된 논의가 수면위로 떠오르게 되었고, 이전과는 다른 관점의 여러 의견들이 추가적으로 개진되며 대립되고 팽팽히 맞서고 있는 실정이다. 본 글에서는, 현재 사회 내에서 윤리적 및 법적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대리모에 관한 현실적 소여와 법리적 문제점을 주로 살펴보고, 그를 바탕으로 우리 사회 안에서 수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대응방향과 해결책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대리모의 윤리적 및 법적 문제는 불임치료라는 전문 진료 현장에서 발생하는 특수한 문제로서, 시술의사와 의뢰부부나 대리모 등 서로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생명윤리에 대한 성찰이 특별히 요구되는 사안이다. 그러나 작금의 현실적 소여는 많은 우려를 자아내기에 충분하여, 특히, 비인간적인 불법의료행위로 인한 의학적 피해를 비롯하여, 불임부부와 대리모 지원 여성에게 발생하는 사회적, 경제적 및 심리적 피해, 이를 연계하는 불법 브로커 조직의 발생과 개입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 야기 등을 예방하고 적절히 통제하려는 목적과 대리모 시술로 출생하는 자의 권리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법적 개입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글에서 법적 개입의 필요성을 논의하는 출발점은 단순히 법률의 규정에 따라서 대리모시술의 허용 기준, 여부 및 한계를 정해야 한다는 현실적 필요성이 아니라, 대리모시술과 관련하여 법철학적인 차원에서 법의 존재 의미를 확립하고 인간의 존엄을 지키는 것이 특별히 필요하다는 생각에서이다. 요컨대, 함께 살아가는 사회 안에서 윤리적으로만 해결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하여 다른 사람들의 인격을 보호하고 인간의 존엄을 지켜 나가야한다는 명제 안에서 비윤리적인 불법 대리모 시술행위를 막기 위해서는 법적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구체적인 바람직한 법제정의 방향은 비배우자간인공수태시술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관장할 수 있는 특별한 관리기구를 두는 것이 필요하다. 인공수태시술에 관한 전반적인 윤리 뿐만 아니라 생식세포공여를 통한 임신, 배아공여를 통한 임신, 대리수태 등의 비배우자간인공수태의 내용과 윤리적인 허용한계를 분명히 한다.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에 관련되는 다양한 이해 당사자들 즉, 생식세포와 배아의 공여자와 수용자, 자궁을 빌려 주는 대리임신모 및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을 통해 태어난 출생자 등에 대하여 적절하고 적극적인 법률적인 보호를 제공하고, 시술과정 내에서 인간의 기본권과 존엄과 가치가 침해되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공여자, 수용자, 출생자 등 시술 관련인들의 사회내의 법적 지위와 권리를 보장함으로써 우리사회가 추구해야 하는 정의로운 생명윤리를 실천적으로 확립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