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어린이 전통문화교육의 민속학적 고찰

        김행심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08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4 No.-

        伝統文化の一つの領域として民俗は、躍動感ある民衆らの率直な生活文化であるわけだ。 したがって民俗というのは、民衆らの生活史であり、日常的な生活の風俗(風速)であり、習俗である。あたかも表面では見られないが、民衆らの意識の中には以前の伝統文化が内在していて、社会のあちこちで、民衆の生活空間の中で伝えられている。民俗が核心になっている伝統文化は、特に子供たちには、私たちの固有の伝統と精神文化に対する掛け替えもない大切な内容を提供してくれる。すなわち私たちの悠久な歴史とともに精神文化の根である伝統文化を通じて、子供たちは人格と徳性を育成して道徳性と倫理意識を習うことができる。このような意味で、子供を対象にする伝統文化に対する体系的な接近が必要な実情である。教育は、私たちの日常生活の人生の中で教育的理論と知識に対する実践的要素として成り立たなければならない。教育は、単に教科書などの文献だけを習うのではなく、幼いころから両親や周囲大人たちからの教えを通じて成り立つ人格教育も含む総体的な概念である。本論文では、空間と時間の概念を考慮して、子供を対象にした伝統文化教育を考察するために、歴史文献資料を調べたのである。そして現在小学校教科書に入っている伝統文化の内容を中心に、小学校の教科課程上に見られる内容を分析してみた。 子供を対象にする伝統文化教育は、子供個人の成長と発達は勿論、文化的、情緒的感受性と信頼を形成させる望ましい教育活動にならなければならない。また、子供のための伝統文化教育は、伝統社会の児童教育用教材の持つ合理的で肯定的価値を、現代社会に合うように再解釈して適用できる十分な可能性を持っている。また、小学校教科書に反映されている伝統文化の範囲が歳時風俗、民俗遊び、民間信仰、伝統的祭りなど一部限定された分野だけに限定されているので、これからもう少し多様な分野で拡大しなければならない。

      • 일반논문 :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나는 전통문화교육의 일고찰

        김행심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구소(구 중앙대학교 한국민속학연구소) 2010 중앙민속학 Vol.- No.15

        오랜 역사와 함께 만들어 내고 유지하면서 전승해온 전통문화는 오늘날 민중들의 일상적인 생활문화 속에 여전히 남아서 면면히 전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통문화는 특히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우리 고유의 전통과 정신문화에 소중한 내용을 제공해주는 것으로 현재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학교의 이론학습과 방과후 박물관 등과 연계한 살아 움직이는 체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교과서의 공교육과 사회교육기관의 연계로 학교 밖에서의 문화유물이나 박물관을 통한 방과후 학교프로그램과 사회체험프로그램에서 직접 체험으로 병행 할 수 있다. 한편 체험학습은 주중과 주말, 방학이라는 시간적 특성을 살려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전통문화의 맛과 멋을 느끼고 배울 수 있으며 유물을 직접 만져 볼 수 있는 전시체험학습도 있다. 또 역사체험과 민속교실이 있으며, 박물관캠프를 통한 역사와 민속이 있는 현장에서 전통문화를 체험하는 프로그램도 여기에 포함된다. 더불어 앞으로도 전통문화의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의 주체적이고 지속적인 개발로 전통문화를 계승하며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여 교육적 가치를 추구해야 한다. Along with our long history, traditional culture has been continuously brought into our daily life as a living culture. Traditional culture, especially for children, provides our distinct moral culture and traditions. Currently, 7th curriculum in education includes programs such as methodological study and visiting museum after school. Current curriculum includes programs that coordinate public and social education with diverse experience outside of school. This kind of on-the-spot experience study make the most of using weekdays, weekends, and vacations to find out and study the beauty of our tradition. Display experience study gives students a chance to touch the artifacts as well. There is history experience and folklore class. It also includes museum camp which offers traditional experience like folklore. Diverse experience through traditional culture should independently and continuously be developed and restructured with the pursuit of contemporary value of education.

      • KCI등재후보

        어린이 전통문화교육의 민속학적 고찰

        김행심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08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4 No.-

        傳統文化の一つの領域として民俗は、躍動感ある民衆らの率直な生活文化であるわけだ。 したがって民俗というのは、民衆らの生活史であり、日常的な生活の風俗(風速)であり、習俗である。あたかも表面では見られないが、民衆らの意識の中には以前の傳統文化が內在していて、社會のあちこちで、民衆の生活空間の中で傳えられている。民俗が核心になっている傳統文化は、特に子供たちには、私たちの固有の傳統と精神文化に對する掛け替えもない大切な內容を提供してくれる。すなわち私たちの悠久な歷史とともに精神文化の根である傳統文化を通じて、子供たちは人格と德性を育成して道德性と倫理意識を習うことができる。このような意味で、子供を對象にする傳統文化に對する體系的な接近が必要な實情である。敎育は、私たちの日常生活の人生の中で敎育的理論と知識に對する實踐的要素として成り立たなければならない。敎育は、單に敎科書などの文獻だけを習うのではなく、幼いころから兩親や周圍大人たちからの敎えを通じて成り立つ人格敎育も含む總體的な槪念である。本論文では、空間と時間の槪念を考慮して、子供を對象にした傳統文化敎育を考察するために、歷史文獻資料を調べたのである。そして現在小學校敎科書に入っている傳統文化の內容を中心に、小學校の敎科課程上に見られる內容を分析してみた。 子供を對象にする傳統文化敎育は、子供個人の成長と發達は勿論、文化的、情緖的感受性と信賴を形成させる望ましい敎育活動にならなければならない。また、子供のための傳統文化敎育は、傳統社會の兒童敎育用敎材の持つ合理的で肯定的價値を、現代社會に合うように再解釋して適用できる十分な可能性を持っている。また、小學校敎科書に反映されている傳統文化の範圍が歲時風俗、民俗遊び、民間信仰、傳統的祭りなど一部限定された分野だけに限定されているので、これからもう少し多樣な分野で擴大しなければならない。

      • KCI등재후보

        남북한 어린이 민속놀이의 변화와 지속

        김행심 ( Haeng Sim Kim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14 통일연구 Vol.18 No.2

        민속놀이는 흔히 민속오락, 민속경기, 민속유희, 민속예능, 전승놀이, 향토오락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놀이는 종교적 행사나 세시풍속에서 출발하여 시간을 보내기 위하거나 즐기기 위한 소소한 일상생활의 여가를 포함한다. 이 중 소년, 소녀가 함께 노는놀이를 “어린이놀이”라 하며 지극히 단순하고 수시로 하는 놀이가대부분으로 개인보다 다 함께 노는 집단놀이가 발달하였으며 분단이전 하나의 어린이전통놀이가 남한과 북한이라는 각기 다른공간 속 각각의 체제에 따라 놀이의 명칭과 놀이 방법에 차이를보이고 있다. 이에 북한의 어린이민속놀이는 어릴 적부터 학교와가정에서도 적극 권장하며 국가 지정일인 명절과 휴일에도 국가에서 정책적으로 적극 장려하는 것과 달리 남한은 우리 전통 어린이민속놀이를 바탕으로 전통민속놀이 방법을 소개하며 교육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여 현대 생활문화에 따른 놀이를 즐기고 있다. 또한 어린이민속놀이는 여럿이 어울리는 집단놀이의 발달로 또래놀이를 통한 또래 문화를 형성하는 남한과 달리북한의 집단놀이는 국가기념일에 어린이들의 의무적 참여를 통해국가 지도자에 대한 충성을 맹세한다. 결국 남한은 전통어린이민속놀이를 현대화시켜 어린이의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하는 것을 우선시하고 있는 반면 북한은 집체성을 강조하고 사회주의 사상을 계승,발전시키려는 정책민속놀이로 사회주의 사상과 체제를 어린이들에게 주입하고 세뇌시키기위한 것이 우선이다. 이것은 남한과 북한의 공간적 차이 속 각기다른 체제에서 하나의 우리 전통어린이민속놀이가 놀이 방법은유사하나 놀이 내용에는 차이를 가지면서 현대적 계승이 이어질것이다. A folk play is often referred to as folk amusement, folk games,folk entertainment, folklore play and local amusement. Starting froma religious ceremony and the New Year`s customs, the play expandsits range to include pastime and leisure to enjoy daily life. Amongthem, “children`s play” is performed between boys and girls, and it ismostly composed of simple games and played from time to time. Inthis case, group play is further developed rather than individual play,and one traditional children`s play before the division of the Koreanpeninsula now shows the difference in the names of plays andmethods on how to play according to the different political systemof South and North Korea. In North Korea, children`s folk play isstrongly recommended both at school and at home from theirchildhood, and it is actively encouraged in festive and nationalholidays at a national level.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outhKorea, methods on how to play traditional folk games are introducedbased on traditional children`s folk plays, and ways to utilize themin education are presented so that children can enjoy games based oncontemporary lifestyle and culture. In addition, children`s folk play inSouth Korea helps to form a peer culture trough a peer play due tothe development of group play, whereas group play in North Korea is designed to swear allegiance to the national leader throughmandatory participation of children in national holiday. After all, South Korea gives priority to improving the health ofchildren`s mind and body through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children`s folk plays, while North Korea prioritizes the injection ofthe socialist ideology and system into children and brainwashingthrough political folk plays intended to emphasize communitarianism,and inherit and develop the socialist ideology. These results suggestthat modern succession will proceed as one traditional children`s folkplay shows similar methods on how to play, while its content istotally different according to each system resulting from the spatialdifference of South and Nor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