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들깨의 생육단계와 부위별 기능성화합물 함량 비교 분석

        김해은,윤희랑,허재복 한국생명과학회 2021 생명과학회지 Vol.31 No.5

        The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is widely cultivated in Korea for vegetable leaves and oil seeds. Perilla species have been used for food and medicine and are known to contain many functional compound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functional compound contents of Perilla during its growth stages to analyze the optimal harvest time and conditions. The contents of the Perilla sprou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culture environment and days of growth. Sprouts grown in soil under natural light conditions showed high rosmarinic acid (23.19±0.16 mg/g) and GABA (0.55±0.05 mg/ g) content.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 that 6 to 8 days after sowing in soil under natural light conditions was the optimum harvest condition for sprouts. Also, the functional compounds of Perilla were analyzed according to growth stage and plant part. As a result, caffeic acid and rosmarinic acid exhibited the highest content in the stage from vegetative growth to reproductive growth (0.28±0.03 ~0.30±0.07 mg/g rosmarinic acid and 20.60±7.02~19.37±3.18 mg/g caffeic acid), and luteolin and GABA showed the highest content in the reproductive growth stage and in the early stages of vegetative growth, respectively (31.11±2.98~22.35±1.64 μg/g luteolin and 0.42±0.09~0.37±0.04 mg/g GABA).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 of caffeic acid (0.34±0.03 mg/g), rosmarinic acid (55.22±9.33 mg/g) and luteolin (1,044.89±6.72 μg/g) was the highest during the bolting stage. Overall, we identified the timing of the highest level of functional compounds in the sprouts and mature leaves of Perilla. These results suggest a suitable harvest time and conditions for sprouts and leaves for the use of Perilla as a functional material. 들깨(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는 대표적인 유지작물 중 하나로서, 목적에 따라 잎들깨와 종실들깨로 구분된다. 들깨는 식용과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들깨의 잎, 줄기, 종자에는 다양한 기능성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들깨를 기능성 소재로서 이용하고자 최적의 수확시기 및 조건을 분석하기 위해 새싹들깨와 잎들깨의 생육단계별 및 부위별로 들깨의 주요 기능성 화합물인 rosmarinic acid, caffeic acid, luteolin, GABA의 함량 비교하였다. 새싹들깨의 기능성 화합물 분석 결과 자연광 조건하의 흙에서 재배한 새싹들깨가 rosmarinic acid 23.19±0.16 mg/g과 GABA 0.55±0.05 mg/g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고, 파종 후 6~8일 시기에 rosmarinic acid, caffeic acid, GABA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자연광 조건하의 흙에서 파종 후 6~8일이 새싹들깨의 최적의 수확조건으로 판단된다. 생육단계별 및 부위별로 잎들깨의 기능성 화합물 변화 분석결과 caffeic acid와 rosmarinic acid는 영양생장에서 생식생장으로 넘어가는 단계에 0.28±0.03~0.30±0.07 mg/g과 20.60±7.02~19.37±3.18 mg/g으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luteolin은 생식생장단계에 31.11±2.98~22.35±1.64 μg/g으로 함량이 가장 높았다. GABA는 영양생장 초기단계에서 0.42±0.09~0.37±0.04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부위별 분석 결과 잎, 줄기, 추대 부위 중 추대부위가 rosmarinic acid (55.22±9.33 mg/g), caffeic acid (0.39±0.03 mg/g), luteolin (1044.89±6.72 μg/g)으로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새싹들깨와 잎들깨에서 기능성 화합물이 가장 증가하는 시기를 확인함으로써 적합한 수확시기 및 부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능성 소재로서 들깨를 이용하기 위해 새싹들깨와 잎들깨의 적합한 수확시기 및 조건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퍼스널 컬러 성격유형이 중년여성의 자기성장 및 삶의 균형에 대한 사례 연구

        김해은,이미나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2

        본 연구는 퍼스널 컬러 성격유형에 따른 중년기 여성의 자기이해 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자기이해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을 느끼고, 연구 목적에 동의하는 중년기 여성 4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기간은 2023년 6월~7월까지 주1회 상담 소요시간은 90분으로 총 8회기로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 4명의 퍼스널 컬러 성격유형은 인디고, 블루그린, 퍼플, 그린으로 나타났다. 참여자의 퍼스널 컬러 성격유형의 기본 특성으로는 Indigo(남색) 유형의 이해력, Blue Green(청록) 유형의 균형감, Purple(보라) 유형의 직관력, Green(초록) 유형의 안정감으로 구분되었다. 참여자들은 자신의 퍼스널 컬러 성격유형을 알고 현재의 중년기의 삶과 건강의 균형을 이루고자 하였다. 참여자의 심층인터뷰의 언어적 표현을 통해 연구자가 개인별로 자기이해 변화를 분석하였다. 참여자들의 퍼스널 컬러 성격유형에 대해서 알고 자신의 상황을 알아차림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객관적, 주관적 자기이해와 균형을 찾아가는데 도움을 받았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년기 이후의 삶을 새롭게 설계할 수 있게 되었으며, 분열되어 있던 의식의 자아와 무의식의 자기가 하나가 되도록 균형과 통합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self-growth and life balance of middle-aged women according to personal color personality types. For this purpose, four middle-aged women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counseling program from June to July 2023. The counseling session was scheduled once a week for eight weeks, each session covering an average of 90 minutes. The personal color personality types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indigo, blue-green, purple, and green.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al color personality type of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indigo type of understanding, blue-green type of balance, purple type of intuition, and green type's sense of stability. Participants wanted to know their personal color personality type and achieve balance in life and health in their current middle age. The researcher analyzed changes in self-understanding for each individual through the verbal expressions of the participants' in-depth interviews. It was an opportunity to learn about the participants' personal color personality types and to become aware of their own situations. They said that this study helped them find objective and subjective self-understanding and balance. Therefore, this study makes it possible to design a new life after middle age, and it can be said that balance and integration are necessary so that the divided conscious self and unconscious self become one.

      • KCI등재후보

        여가생활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복합형 네트워크 서비스 제안

        김해은(Kim, Hae Eun),성문희(Sung, Moon Hee),신혜인(Shin, Hye In),유예리(Yoo, Yea Li),김승인(Kim, Seung I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1

        2012년 기준 대한민국은 OECD 국가들 중 연간 노동시간이 3위로 집계되었다. 직장인들의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는 그들의 여가생활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부분의 20~30대 직장인들은 취미를 가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할 시간과 정보, 공간이 부족하다. 본 연구는 바쁜 직장인들의 여가생활을 활성화하기 위해 새로운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1차로 문헌연구를 통해 직장인들의 업무실태를 조사하였고, 2차로 SNS 유형별 분석을 통해서 직장인 여가생활 커뮤니티에 적합한 유형을 제시하였다. 3차로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인 더블 다이아몬드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을 적용하여 발견, 정의, 개발, 전달인 4단계를 거쳐 복합형 SNS ‘Mohano’를 기획하였다. 이와 같은 기준으로, 사용자들이 다양한 취미나 관심사에 따른 게시물이나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취미가 같은 사람과의 만남을 제공함으로써 직장인들이 유용한 여가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직장인들의 여가생활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가 원하는 필요한 정보나, 인간관계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폐쇄형과 개방형의 장점을 지닌 복합형 SNS로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안에 대한 시스템을 개선함으로써, 신뢰성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콘셉트 ‘circle in’을 토대로 기획된 ‘Mohano’는 다음 사용성 평가 후, 더 나은 가이드라인을 제시가 필요하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앞서 제시된 커뮤니티 서비스를 통하여 직장인들의 여가생활이 향상되길 기대한다. In 2012, Korea has been announced as a third-place for the highest working hours of workers in OECD countries. Their stressful and excessive work incredibly affects on their leisure life. Most of workers in 20’s to 30’s have their own interests, however, they do not have enough time, information, and spaces for the hobbies. This study indicates the suggestion on the new community service in order to vitalize the leisure life for busy work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at first, the study investigates the business realities in Korea throughout reference research. Moreover, it suggests a specific form which is appropriate for the leisure community of workers in consideration of the analysis for each form. After that, the hybrid SNS called ‘Mohano’ is designed with four phases of ‘Double Diamond Design Process’ including discover, define, develop, and deliver in methodology of service design. Following the process, users can share posts and information about several tastes or interests and the workers can spend valuable leisure time as it provides a meeting with people who have similar tastes. As a result,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vitalizing a leisure community are mentioned below. First, it has to provide information and human relationships as the users desire. Furthermore, the hybrid SNS offering advantages of open SNS and close SNS provides reliable service as improving the security system on personal information which users own. Depended on the concept ‘circle in’, finally, the application ‘Mohano’ which was designed with the study requires a guideline after serviceability evaluation later on. Based on the study, from now on, it is eagerly anticipated that the leisure life of workers will be advanced through the community service mentioned above.

      • KCI등재후보

        대구 및 포항 지역의 빗물 속 미생물 조사

        김신애,구형진,김진서,김해은,박지민,장정호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8 과학영재교육 Vol.10 No.3

        산업화가 가속화되며 대기 오염으로 인한 각종 문제들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미세먼지 및 황사로 인한 문제들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대기 오염은 인간 생활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오염된 대기가 빗물에 섞여 내리면서 수질 오염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우리는 대기와 수질 오염의 매개 역할을 할 수 있는 빗물의 오염 여부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일반적인 빗물의 오염으로 알려진 산성비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만 대기 오염으로 인해 빗물의 미생물에 변화가 있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우리는 대구 및 포항 지역 4개 장소(대구 북구 복현동, 대현동, 수성구 황금동, 포항 북구 우현동)에서 빗물을 수집하여 각 빗물 샘플에서 미생물을 배양하였다. 이후 유전자증폭(PCR)을 통해 각 미생물의 16S rDNA를 획득하고, DNA 염기서열 분석(DNA sequencing)과 유사 DNA 검색(BLAST search)을 진행하여 미생물을 동정하였다. 또한 각 미생물의 서식지, 특성 및 병원성 유무 등을 조사하였다. 배양 결과 18종의 미생물이 동정되었으며, 이 중 병원성을 지니는 미생물도 8종 확인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빗물의 오염에 대한 미생물학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urrently, air pollutions such as micro-dust and yellow dust have reached a critical level that negatively affect on human health in Korea. Moreover, air pollution makes a big difference in human life style, and polluted air can also lead to water pollution by merged to raindrops. We thought we needed to elucidate the contamination of rainwater that could serve as a bridge for air and water pollution. Acid rain is commonly known as the contamination of rainwater as well. However, there are little information if air pollution causes changes in the microbial life of rain. In response, we collected raindrops from four locations in Daegu and Pohang cities; Bokhyeon-dong, Daehyeon-dong, Hwanggeum-dong in Daegu, and Woohyeon-dong in Pohang. Each of the raindrop samples were incubated at 37°C for cultivating microorganisms using two types of media LB and R2A. Afterwards, 16S rDNA of each microorganism was amplified through PCR, and DNA sequencing and DNA BLAST search was performed. We also examined the habitat,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 presence of each microorganism. Eight microorganisms were identified as pathogenic from eighteen samples. This study may provide the microbiological information about the contamination of rainwa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