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부지역 소형 관개용 못들에서의(둠벙) 동물플랑크톤 군집특성 조사 및 평가

        김항아 ( Hang Ah Kim ),최종윤 ( Jong Yoon Choi ),김성기 ( Seong Gi Kim ),도윤호 ( Yuno Do ),주기재 ( Gea Jae Joo ),김동균 ( Dong Kyun Kim ),김현우 ( Hyun Woo Kim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2012 생태와 환경 Vol.45 No.4

        This study demonstrates the investiga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e.g. rotifers, cladocerans and copepods) and environmentally related driving factors (e.g. elevation, area size, water depth, types of dike construction, and bottom substrates). We hypothesized that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composition would be influenced by ambient driving forces in different scales of the irrigation ponds (Dumbeong). A total of 66 zooplankton species/groups (56 rotifers, 9 cladocerans, 1 copepods) were found and identified at 45 Dumbeong of Goseong region (i.e. Goseong-gun) in 2011. The rotifers occupied 84.9% of the total zooplankton abundance. We could categorize a clear separa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to 4 different patterns based on cluster analysis. Zooplankton diversities in Dumbeongs were lower than those in natural ponds or wetlands. In addition, community structure of zooplankton was also simpler and had a broken stick distribution based on SHE analysis. Species composition in each Dumbeong was not significantly discriminated each other. The result of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pinpointed that significant influential variables upon zooplankton community were dissolved oxygen percent saturation, pH, and Dumbeong`s material. This study indicated that morphological type of the Dumbeong and its water quality could determine the community structure of zooplankton. Furthermore, the connectivity between ambient habitats and materials could be necessary to be rigorously considered in respect to producing the Dumbeongs to subsidize alternative habitats for wetland ecosystem in freshwater landscape.

      • KCI등재

        예비 교사와 초등 교사의 도덕 토론 수업 사례 분석

        김항인 ( Hang In Kim ) 한국윤리학회 2010 倫理硏究 Vol.7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n-service a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struction of moral dilemma discussion using a case study method. The researcher discussed the importance of moral dilemma discussion based on moral psychology and current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he difficulties to implement moral dilemma teaching in classroom. Furthermore, the researcher introduced Lawrence Kohlberg`s approach to moral dilemma discussion by Galbreith & Jones. Using his approach, two teachers applied moral discussion to their each classroom. The researcher analyzed the process of moral discussion and teachers` question using qualitative data.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for this research.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were a school teacher, a teacher`s college student, and 70 fifth graders. All processes of teaching were videotaped and transcribed. The data were coded and categorized into 9 issues (characteristics of moral dilemma, use of alternative dilemma, ways of small group discussion, roles of coordinators etc). Finally the ways to develop teachers` questioning for moral discussion were presented.

      • KCI등재후보

        정보윤리 판단력 검사 도구 개발

        김항인(Hang-In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1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판단력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 기초하여 도덕판단력 검사도구 개발의 변천 과정을 알아본 후, 도덕판단력 검사를 응용한 정보윤리 판단력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생들에게 실시하는 것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덕판단력의 정의와 콜버그 및 그의 후학들이 개발한 도덕판단검사들의 특징과 장․단점을 소개하고, 이에 기초하여 선택형과 서술형을 혼합한 정보윤리판단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또한 인천지역 초등학교 학생 135명을 대상으로 정보윤리 판단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시 결과, 첫째, OISE형 정보윤리판단 단계에서 대부분의 학생이 1, 2, 3단계에 머물러 있었으며, 고학년으로 갈수록 상위 단계로 나아갔다. 둘째, OISE형 단계 점수의 남여 차이는 없었다. 셋째, DIT형 정보윤리판단 점수의 경우, 3, 4, 5학년으로 올라갈수록 높은 점수를 받았다. 3학년보다 5학년 학생들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높았다. 결론적으로, 정보윤리 판단력 검사는 기존의 도덕판단력 검사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향후 인터넷 중독 지수, 정보윤리감수성, 정보윤리 판단력 점수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후속 연구가 요청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hange in development of moral judgement test, to develop the Information Ethics Judgement Test (IEJT) applying moral judgement test, and to surve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the IEJT.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introduced the definition of moral judge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moral judgement tests that Kohlberg and his juniors had developed. Based on moral judgement test, Information Ethics Judgement Test was developed into two scores: OISE typed score and DIT typed score. The subjects for the test was 135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in Incheon. The three result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First, most of students are in 1st, 2nd, and 3rd stages in OISE typed test. The higher grader, the more score.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in OISE stage score. Lastly, the higher grader, the more score in DIT typed score. Fifth graders g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 than the 3rd graders did. In conclusion, IEJT showed similar results as moral judgement test. For further research study, the comparison of IEJT, IEST, and internet addiction test(K-scale) is recommended.

      • KCI등재

        도덕과교육에서 교육공학 활용의 현황과 발전 방향

        김항인(Hang-In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8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6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공학의 이론적 동향을 살펴보고, 도덕과 교육에서 교육공학 활용의 현황과 적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교육공학 이론의 발전과정과 최근 교육공학이론의 추세를 살펴본 후, 교육공학적 관점에서의 도덕과 교육 현황을 여러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검토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으로 교육공학 개념에 대한 부정확한 인식과 교육대학생 및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추상적인 도덕과 교수 설계 교육의 현실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전문이론가들과 현장 교사 간의 구성주의적인 교육공학적 협력 관계의 구축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교육매체 및 교육 공학이 도덕적 인간 육성이라는 교육목표에 대한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메타적 숙고가 계속 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heory of educational technology, to analyze the status of using educational technology in moral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future develop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moral education. The researcher reviews the developmental change of theory and recent theory in educational technology, and analyze the problem of using educational technology in moral education. The incorrect acknowledge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and behavioral domain in morality and the abstract training of pre and in service teachers on teaching of moral education are presented as the problems. As the alternatives of the problem, the researcher suggests the development of relationship between theorist and teachers based on constructivism. In conclusion, the researcher presents that educational media and technology needs meta reflection in that they are taking a positive role of cultivating moral human.

      • KCI등재후보

        감정 이입 발문에 관한 연구

        김항인(Hang-In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도덕과 수업에서 정의적 도덕성의 감정 이입을 원활히 하기 위한 교사의 발문 전략을 구안해 내는데 있다. 현재까지 정의적 측면 중심의 구체화된 도덕과 수업 모형이 부족한 실정이며, 이미 개발된 수업 모형도 교사의 구체적인 발문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감정 이입의 특징을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 본 후, 감정 이입을 위한 역할 채택 발문을 타인에 초점을 둔 역할 채택 발문과 자아에 초점을 둔 역할 채택 발문으로 구분하고, 가치 규범의 내면화를 위한 반성적 발문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근거로서 호프만(Hoffman)의 감정 이입 이론과 밴듀라(Bandura)의 사회 인지 이론이 도입되었고, 연구자의 실제 도덕과 수업 사례가 경험적 근거 자료로 활용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trategies for teacher's question to facilitate students' empathy as affective morality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Up to now, there has been short of instruction-learning models for teaching affective morality. Even the developed models have no concrete strategies for teacher's question. In this study, three characteristics of empathy were presented. The role-taking questions for empathy are composed of other focused role-taking question and self focused role-taking question. In addition, the strategy for reflective question was also presented. In order to giv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is study, Hoffman's empathy theory and Bandura's social cognitive theory was used. The researcher's real experience in moral education was also introduced as an empirical data for this study.

      • KCI등재

        빅데이터 활용에 따른 정보 윤리 의식 함양 방안

        김항인 ( Kim Hang-in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8 倫理硏究 Vol.123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롭게 등장한 빅데이터 활용관련 윤리적 이슈를 논의하고, 초·중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빅데이터 활용에 따른 정보윤리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빅데이터 활용이 널리 보급되면서 정보수집 및 활용기술이 날로 고도화되었고, 정치, 사회, 경제, 보건, 스포츠 분야에 이르기까지 그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개인정보 침해, 정보독점화 및 왜곡현상, 개성의 상실과 같은 윤리적 이슈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 중, 고등학생들에게 빅데이터 관련 정보윤리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2015 개정 초, 중등학교의 도덕 및 생활과 윤리 교육과정의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정보윤리 교육 방법으로 이해형과 탐구형을 제시하며 구체적인 빅데이터관련 문제 상황과 딜레마 상황을 개발하고 이를 수업에 활용하기 위한 수업 단계별 교사의 발문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수업 방안은 빅데이터 관련 교육뿐만 아니라 향후 새롭게 등장하는 정보윤리 이슈들을 다루는데도 적용할 수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iscuss ethical issues related to the emergence of new Big Data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o suggest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method based on the use of big data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With the widespread use of Big Data, information gathering and utilization technologies have become more advanced, and their influence has expanded from politics, society, economy, health, and sports. In addition, ethical issues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information monopolization and distortion, and loss of personality are frequently occurring. This study analyzed contents of Moral Education & Life and Ethics curriculum of primary & secondary school at the beginning of 2015 in order to conduct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related to Big Data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presented the type of awareness and inquiry instruction-learning for the way to teach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related to Big Data, and developed the concrete problem situation and dilemma situation of big data with the teacher's concrete in-depth questioning in class. These teaching methods can be applied not only to education related to big data, but also to deal with emerging information ethics issues in the future.

      • KCI등재

        도덕과 토론수업 모형의 분석과 활용

        김항인 ( Kim Hang-in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7 초등도덕교육 Vol.0 No.56

        연구의 목적은 초등 도덕과 교육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도덕 토론 수업 모형들의 특징을 소개하고, 모형들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도덕판단력을 향상시키는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도덕 토론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가치갈등해결, 합리적 의사결정, 가치분석, 콜버그식의 도덕적 토론 수업 모형의 이론적 배경, 목표 및 특징, 수업모형 단계, 타모형과의 차별성, 공통점을 분석한 후, 초등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업 절차와 연계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도덕 토론 수업 모형들의 활용 방안으로는 모듈별 활용, 교사용 지도서의 개편, 온라인 수업 활용으로 나뉘어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대학교와 교사 연수 기관에서 교사의 도덕 토론 관련 수업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haracteristics of Moral discussion instruction models widely used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students` moral judgment by analyz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models. The study is composed of analysi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goals, characteristics, model stage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the moral discussion instruction models: moral conflict, rational decision making, value analysis, and the Kohlbergian moral dilemma discussion. For the use of moral discussion class models, module use, teacher`s guide book reform, and online classroom use are suggested. Lastly, the researcher suggests a way to improve teachers` ability of teaching moral discussion in teacher training institute and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 KCI등재

        연구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항인 ( Hang In Kim ) 한국윤리학회 2015 倫理硏究 Vol.100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초, 중, 고등학생 및 대학생 대상 연구윤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오늘날 한국의 학문 사회에서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고 있는 표절을 위시로 한 연구윤리문제들은 시급히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연구자들의 연구 윤리의식을 높이기 위한 방법은 연구윤리교육의 철저한 실시이며, 어린 시기부터 글쓰기 윤리를 시작으로 성인 연구자에 이르기까지 연구윤리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연구윤리교육은 대학에서 일회성 특강의 수준으로 이루어지고있는바, 향 후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윤리교육의 목표, 내용, 교육의 원리 및 교육 방법에 대한 초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윤리 교육의 목표를 총괄 목표와 하위 목표로 제시하였고, 연구 윤리 교육의 내용은 학문정직성, 올바른 인용, 인간 대상 연구 시 주의할 점, 저자권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윤리 교육 방법으로는 토론식, 이야기식, 역할놀이식 교수 방법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program of research ethics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college students. Today the problems of research ethics like scholars`` plagiarism have become a serious issue in academic society. Research ethics education is a key to enhance the sensitivity of research ethics. It is necessary that educators teach the research ethics students from early school year to adult researcher. In reality, the ethics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for college level occasionally. More systematic and consistent research education is needed. This study provided a basic level``s program for ethics education including aims, contents, principles, and instructional methodology. The aims are divided as whole aim and sub aims. The content deals with academic integrity, citation, human subject participation, and authorship. The method of research ethics education is presented as discussion, storytelling, and role playing.

      • KCI등재
      • KCI등재

        연구윤리의 윤리학적 고찰과 확산 방안

        김항인(Hang-In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4

        본 연구는 연구 윤리의 윤리학적 접근에 대한 고찰과 연구 윤리 확산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다양한 학문 기관에서 연구 윤리 규정을 만들고 있는 시점에 연구 윤리의 바탕이 되는 윤리학 이론과 원칙을 다루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윤리학적 배경이론으로는 칸트의 의무론, 공리주의,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윤리 이론을 제시하였다. 규범 윤리학이론이 연구 윤리에 적용되는 한 사례를 제시하고 앞의 세 가지 이론적 관점에의 해석을 제시하였다. 연구 윤리 원칙들의 정당화, 역할, 적용을 탐구하였고, 또한 연구윤리의 원칙들과 윤리이론과의 관련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윤리 확산 방안으로 연구 윤리의 제도화와 교육을 제시하였으며, 확산의 어려움으로 연구 공동체의 강한 집단 응집력으로 인한 제도화의 어려움, 타율적·외재적 동기화의 위험, 연구 윤리 전문가의 부족, 그리고 연구 윤리의 배경이론이 되는 윤리학 이론에 대한 경시풍조를 지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ethical theory based on research ethics and to present the way for the dissemination of research ethics. It is very important to inquire ethical theory and principles at the time that various academic institutions including universities have tried to make the code of research ethics. In this study, Kant's deontology, utilitarianism, and Aristotle's virtue ethics were presented as normative ethical theories. A case related to research ethics was used to see the applicability of normative ethics on the research ethics and interpreted in terms of the above three theories. The researcher inquired justification, roles, and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on research ethics and presen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les and normative ethical theories. Finally, as the way to disseminate the research ethics, institutionalization and education on the research ethics were suggested. The researcher pointed out the problems of dissemination on research ethics: group solidarity based on collectivism, the danger of external motivation by codes, rules, and law, the shortage of the professional research ethicist, and the negligence of ethical theo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