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는 가정적 상황에 대해서 분노할 수 있을까?

        김한승 한국분석철학회 2007 철학적 분석 Vol.0 No.15

        건써(Y. Gunther)는 최근 그의 논문에서 감정의 지향적 대상은 논리적으로 단순하다는 주장을 한다. 예컨대, 우리 분노의 대상은 조건문으로 적절히 표현될 수 없다는 것이다. 그 이유로 그는 감정적 내용에는 내용/효력 구분이 적용될 수 없다는 것을 든다. 나아가 그는 감정적 내용의 논리적 단순성이 보여주는 바가 감정적 내용이 비개념적 내용이라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필자는 감정적 내용이 비개념적이라는 그의 주장에 동의하면서도, 감정적 내용이 논리적으로 단순하다는 그의 논변은 옳지 않다는 것을 보이려 한다. 감정적 내용 일반을 놓고 논리적으로 제한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은 옳지 않으며, 감정적 내용이 논리적으로 독특한 행태를 보인다는 것 역시 일반화할 수는 없다. 이로부터 필자는 감정적 내용이 갖는 제한성은 건써가 말하는 논리적 제한성이라기보다는 그 감정 상태가 지향하고 있는 대상이 갖는 시간적 제한성 및 양상적 제한성이라고 제안한다.

      • KCI등재

        믿음의 자유와 믿음의 의무

        김한승 범한철학회 2016 汎韓哲學 Vol.82 No.3

        In order to acknowledge duty to believe there are two questions to be answered. First, under which conditions do we have duty to believe a certain proposition? Second, what kind of duty is this? We shall examine three different views on these questions: Clifford’s view, James’s view, and Pascal’s view. Also I shall show that this is by no means an exhaustive list of possible views. After analyzing the case of conspiracy theories I shall present and defend the view which states that we have the epistemic duty to believe the proposition P to the degree that P is possibly true. Finally, I shall examine and reject Wrenn’s view that there are no epistemic duties and Nelson’s view that epistemic duties are only negative. 믿음의 의무를 인정한다면, 우리는 다음 두 가지 물음에 답해야 한다. 첫째, 어떤 조건에서 믿음의 의무는 생겨나는가? 둘째, 믿음의 의무는 어떤 종류의 의무인가? 필자는 이 두 물음에 관한 견해들로 클리포드, 제임스, 파스칼을 살펴본 후, 이외에도 다른 견해가 가능함을 보인다. 필자는 음모론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기존의 세 견해와는 다른 견해, 즉 ‘P가 참이라는 증거의 정도에 따라 P가 그 정도로 참이라고 믿어야 할 의무가 있다’는 견해를 옹호한다. 끝으로 필자는 ‘인식적 의무는 없다’는 렌의 견해와 ‘인식적 의무는 부정적 의무이다’는 넬슨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살펴본 후 이들의 견해가 불만족스러운 점을 지적할 것이다.

      • KCI등재

        후회 없는 삶은 바람직한가?

        김한승 범한철학회 2009 汎韓哲學 Vol.53 No.2

        There are two kinds of considerations to the question of why we regret what has already happened and thus cannot be altered: descriptive and normative. Psychological researches focus on the descriptive aspect of the problem of rationality of regrets, leaving important normative questions on regrets unanswered. By comparing two opposite philosophical thoughts on rationality of regrets represented by Williams and Spinoza, Bittner claims that having regrets on what one did is not rational. He admits the premise that negative emotional state is detachable from counterfactual thinking. I will argue that even if this premise is admitted there is still rationality in having regrets. ‘왜 우리는 이미 일어난 일에 대해 후회하는가?’라는 물음은 후회의 기술적 측면과 규범적 측면에 대한 고찰을 모두 요구한다. 심리학은 후회라는 감정의 기술적 측면을 다루지만, 규범적 물음, 특히 후회의 합리성에 관한 규범적 질문을 간과하고 있다. 비트너는 후회의 합리성에 관한 두 상반된 입장을 윌리엄스와 스피노자를 통해 살펴보면서 결국 후회를 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못하다고 주장한다. 비트너는 부정적인 감정 상태가 반드시 반사실적 사고와 결합될 필요가 없다는 전제를 받아들인다. 하지만 이 논문은 이 전제를 받아들인다고 하더라도 후회에는 합리적 측면이 있다는 것을 후회에 대한 분석을 통해 주장한다.

      • KCI등재

        폐리의 지표성

        김한승,Kim, Han-Seung 한국논리학회 2003 論理硏究 Vol.6 No.2

        지표성은 두 가지 다른 철학적 관심에서 연구되어왔다. 하나는 지표어가 어떤 방식으로 그것이 지시하는 바를 지시하는가를 이해하는 의미론적 관심이고, 다른 하나는 지표어가 인식체계에서 담당하는 역할을 이해하는 행위 이론적 관심이다. 페리가 여러 문헌을 통해서 관심을 가져왔던 문제는 이 두 가지 철학적 관심을 모두 만족시키는 통일된 이론을 제시하는 것이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 두 관심사가 서로 구별된다는 점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으며, 왜 하나의 이론에서 함께 다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논변도 제시되지 않았다. 지표성 문제에 대한 페리의 해결책은 의미론적인 것이고 는 이를 통해 행위이론의 문제도 함께 해결된다고 주장한다. 그의 의미론적 해결책은 여러 가지로 변화되어 왔지만, 필자는 이 모두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페리의 이론이 가지고 있는 어려움의 근원은 필자가 '의미론적 토대주의'라고 부르는 입장을 페리가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표성 문제에 대한 올바른 접근은 의미론적 토대주의를 처음부터 포기하는 것이라는 것이 필자의 제안이다.

      • KCI등재

        ‘ANY’와 ‘아무’에 관한 분석

        김한승 한국논리학회 2014 論理硏究 Vol.17 No.2

        영어 ‘any’는 일차술어논리에서 ‘every’, ‘all’, ‘each’ 등과 유사하게 다루어지지만, 자연언어에서 이들은 서로 다른 의미를 갖는다. 특히 ‘any’는 부정어와 함께 사용되는데, 언어학자들은 이 현상에 주목하고 이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필자는 기존의 언어학적 설명이 만족스럽지 못한 점을 지적하고 벤들러가 ‘any’의 논리적 특성에 관해서 오래 전에 제시한 철학적 통찰에 주목한다. 필자의 분석에 따르면 ‘any’는 벤들러가 ‘선택의 자유’라고 부르는 특성을 일차적으로 가지며 파인이 ‘임의의 대상’이라고 부르는 것을 가리킨다. 이 과정에서 필자는 ‘any’의 논리적 특성이 한국어 ‘아무’의 분석을 통해서 더 잘 드러난다는 점을 보인다. 필자는 이러한 분석이 중요한 철학적 함축을 갖는다고 생각하며, 그 한 가지 사례로 보편 일반화 규칙과 서문의 역설이 제기하는 문제가 ‘any’의 논리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새롭게 조망될 수 있음을 보인다. In First-Order Logic the English expressions, ‘any’, ‘every’, ‘all’, and ‘each’ are treated on a par but have different meanings in the natural language usages. Especially the expression ‘any’ is typically used only in the negative contexts, which linguists have paid attention to and attempted to provide an adequate explanation of. I shall show that the explanations so far mainly from linguists are not satisfactory and revive the philosophical insights concerning the logical features of ‘any’ provided by Zeno Vendler in 1962. I shall claim that the expression ‘any’ has what Vendler calls the ‘freedom of choice’ as its primary meaning and denotes what Kit Fine calls an ‘arbitrary object’. It will be shown that the logical features of ‘any’ are manifested more evidently in the analysis of the Korean expression ‘amwu’. I believe that this analysis has significant philosophical implications. As an instance I shall show that we can take a fresh perspective on the problem which involves the universal generalization rule and the preface paradox.

      • KCI등재후보

        소아에서 발견된 골외성 유잉육종에 의한 허리엉치신경얼기병증 - 증례 보고 -

        김한승,유인희,조덕원,권정이,김준성,유진영 대한근전도전기진단의학회 2009 대한근전도 전기진단의학회지 Vol.11 No.1

        Extraskeletal Ewing’s sarcoma (EES) is a rare tumor that may arise from soft tissues at any site. Clinically, patients usually present with painful growing mass around paravertebral region or lower extremities, and focal neurological symptoms are uncommonly accompanied. We experienced a case of an EES arising in the pelvic cavity of a 13 year-old boy who presented with pain and progressive weakness of left lower extremity for 5 months. Diagnosis of left lumbosacral plexopathy due to EES was made by electrodiagnostic examination, radiologic findings, histologic analysis,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Extended surgical excision and multiagent chemotherapy were performed.

      • KCI등재

        매몰 비용 오류의 오류

        김한승 범한철학회 2015 汎韓哲學 Vol.78 No.3

        Is it rational to consider the efforts and costs which have already been incurred in the past in deciding which course of action should be taken? In economics considering the costs that cannot be recovered in deciding future enterprise is counted as committing what is called ‘the sunk costs fallacy’. Robert Nozick, however, tries to argue that honoring sunk costs is not always irrational. This brings about the economist David Steele’s criticism that an irrational inference with accidental desirable results is still irrational. Thomas Kelly, on the other hand, tries to support Nozick’s conclusion by claiming that a knowledge of sunk costs is essential to knowing what one should do. I argue that honoring sunk costs is not always irrational, and yet show that Kelly’s argument is not free from Steele’s criticism. According to my argument justification of honoring sunk costs should be found in redeeming past selves, not in realizing valuable future states as in Kelly’s argument. 어떤 선택을 결정하는 데 과거에 들인 노력과 비용을 고려하는 것은 합리적일 수 있는가? 경제학에서는 회수할 수 없는 과거의 비용 때문에 자신이 취할 행동을 결정하는 것을 이른바 ‘매몰 비용 오류’(sunk costs fallacy)라고 보고 비합리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노직(Robert Nozick)은 매몰 비용을 고려하는 것이 모두 비합리적인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경제학자 스틸(David Steele)은 바람직한 결과를 낳는 것이 추론을 합리적으로 만들지는 않는다고 주장함으로써 노직을 비판한다. 켈리(Thomas Kelly)는 매몰 비용에 대해 아는 것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데 본질적이라고 주장함으로써 노직의 결론을 지지한다. 필자는 매몰 비용을 고려하는 것이 오류라는 주장에 반대하지만, 켈리의 논증이 스틸의 비판을 피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필자는 과거 비용에 대한 고려가 정당화되는 이유를, 켈리처럼 미래의 이익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과거 자아의 구제에서 찾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