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Influence of Consumers' Emotions on Brand Disappointment Caused by the Nepo-Baby Issue in Fashion Brands -Focusing on Powerlessness, Unfairness, Relative Deprivation, and Loneliness-

        김하연,최우진 한국의류학회 2024 한국의류학회지 Vol.48 No.1

        The term ‘Nepo-baby’ refers to someone whose career benefits from family connections. Criticism of the so-called Nepo-baby issue is growing, especially among the MZ generation, who highly value fairness. In this study, we explored how fashion consumers perceive the Nepo-baby issue and its impact on fashion brands. Consumers are more likely to compare themselves to Nepo babies and may experience feelings of powerlessness, unfairness, relative deprivation, and loneliness. These perceptions can lead to negative feelings toward the brand, resulting in disappointment. Our research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SPSS 26.0 and AMOS 23.0. Fashion brands promoting Nepo babies affect consumers' self-perceptions of powerlessness, unfairness, relative deprivation, loneliness, and negative feelings. Brand disappointment was test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 multi-group path analysis, we investigated consumers' perceptions of the Nepo-baby issue and general brand stories. Our research results reveal the significant impact of controversial Nepo babies on negative feelings toward fashion brands and brand disappointment.

      • KCI등재

        메타버스 크리에이터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제페토 크리에이터의 창작동기와 플랫폼 특성, 몰입을 중심으로

        김하연,홍세민,이상우 한국혁신학회 2023 한국혁신학회지 Vol.18 No.1

        As the metaverse market expands, so do metaverse creators, who engage in activities for creating within the metaverse platform. Although consumers and companies have grown increasingly interested in metaverse creators, related academic studies have not yet been actively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the motivations of metaverse creators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motivation for creating and platform characteristics on flow and intention to use. To this end, this study derived the motivation for creating ZEPETO creator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and examined the effect of motivation for creating and platform characteristics on creators' flow and intention to use. The results show that intrinsic motivation (entertainment motivation, self-expression motivati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economic motivation, relationship-building motivation) were derived as the creators' motivations. As a result of the structural model verification, creators with strong intrinsic motivation (entertainment motivation and achievement motivation) were more immersed in creative activities. Creators who perceived interactivity, telepresence, and convenience of use on the platform were more immersed in ZEPETO. Furthermore, flow in creative activitie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low in ZEPETO, and flow in ZEPETO also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intention to use. This study is the first exploratory study on metaverse creators and is meaningful in that it conceptualized metaverse creators and identified their creative behavior and platform use behavior. 메타버스 시장이 성장하면서 메타버스 플랫폼 내에서 창작행위를 하는 이용자인 메타버스 크리에이터가 주목받고 있다. 메타버스 크리에이터에 대한 소비자와 기업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과 달리, 아직까지 이와 관련된 학술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메타버스 크리에이터의 창작동기를 탐색하고 창작동기와 메타버스 플랫폼의 특성이 크리에이터의 몰입과 플랫폼 이용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심층인터뷰를 통해 제페토 크리에이터의 창작동기를 도출하고, 창작동기와 플랫폼 특성이 크리에이터의 몰입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크리에이터의 창작동기로 내재적 동기(오락적 동기, 자기표현 동기, 성취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경제적 동기, 관계 맺기 동기)가 도출되었다. 구조모형 검증 결과, 내재적 동기(오락적 동기, 성취적 동기)가 강한 크리에이터일수록 창작활동에 더욱 몰입하였다. 또 플랫폼에서 상호작용성, 원격실재감, 이용편리성을 높게 인식하는 크리에이터일수록 제페토에 더욱 몰입하였다. 마지막으로 창작활동에 몰입하는 크리에이터일수록 제페토에 몰입하는 경향이 높았고, 이러한 크리에이터들은 제페토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려는 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크리에이터에 대한 최초의 탐색적 연구로, 메타버스 크리에이터를 개념화하고, 이들의 창작행위와 플랫폼 이용행위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Synthesis and Antifungal Activity of Dithiocarbamoic Acid Derivatives

        김하연,이종대,Kim, Ha-Yeon,Lee, Jong-Dae The Basic Science Institute Chosun University 2009 조선자연과학논문집 Vol.2 No.3

        Dithiocarbamoic acid and their derivatives were found to readily react with potassium and sodium hydroxide to give the corresponding alkali metal dithiocarbamoic acid derivatives 8-17 in moderate to good yields.

      • KCI등재
      • 직장 내 왕따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김하연,도형기,강대석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15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5 No.3

        본 연구는 개념 정의와 측정에 있어서 중복과 모호함이 있는 대인간 부당 대우(interpersonal mistreatment)에 관한 변수들, 즉 집단따돌림(mobbing/bullying), 무례함(incivility), 사회적 훼방(social undermining)을 이용하여 ‘직장내 왕따(workplace wang-tta)’라는 하나의 사회 현상을 새롭게 개념화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자 했다. 기존 척도들에 대한 문헌 검토와 왕따 피해유경험자들과의 개별 인터뷰를 통해 예비문항들이 도출되었으며 안면 및 내용타당도 평가를 거쳐 총 47개가 개발되었다. 이후 350명의 응답자료를 대상으로 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직장내 왕따 척도는 3개요인, 23개 문항으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들은 인간적인 무시, 역량폄하, 불합리한 업무처리/조정으로 명명되었다. 또 다른 351명의 응답자료를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이러한 3요인 구조는 데이터에 대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척도의 내적 요인구조와 외적 변수들을 이용한 타당도 검증에서도 척도의 수렴, 판별, 및 동시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직장내 왕따 척도는 국내의 사회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척도로서 대인간 부당 대우에 대한 설명력을 한층 더 확장시켰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조직 내부에 왕따 현상이 얼마나 확산되어 있는지를 진단하는데 실무적으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무용전공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취업준비역량에 미치는 영향

        김하연 한국무용과학회 2019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6 No.1

        본 연구는 무용전공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취업준비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5개 대학의 무용전공대학생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최종적으로 368명을 유의표집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검사를 거친 후 사용하였다. 수집 된 설문자료는 통계프로그램 IBM SPSS Statistics Version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첫째, 무용전공대학생의 셀프리더십 하위요인인 행동적전략, 건설적사고전략, 자연보상전략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미래계획, 직업정보수집, 목표설정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셀프리더십 행동적전략과 건설적사고전략은 자기평가와 문제해결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대학생의 셀프리더십 하위요인 중 자연보상전략, 행동적전략은 취업준비역량의 하위요인인 취업정보탐색, 취업준비행동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직업정보수집, 문제해결이 취업준비역량의 하위요인인 취업정보탐색에, 그리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미래계획, 직업정보수집, 목표설정은 취업준비역량의 취업준비행동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무용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취업준비역량에 작용하는 의미 있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mpirically the effects of self - leadership of dance major students on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and job preparation ability. 368 students were selected from five dance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were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were used after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IBM SPSS Statistics Version 18.0.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behavioral strategy, constructive thinking strategy, and natural compensation strategy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future planning, job information collection and goal setting, which are sub - factors of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 Self - leadership behavioral strategies and constructive thinking strategi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elf - evaluation and problem solving. Second, natural compensation strategy and behavioral strategy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search information search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Third, collecting job information and solving problems significantly affected job search information. In addition,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future planning, job information collection, goal sett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 - leadership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is a meaningful factor affecting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and job preparation ability.

      • KCI등재

        Digital atmosphere of fashion retail stores

        김하연,이유리,Erin Cho,정여진 한국의류학회 2020 Fashion and Textiles Vol.7 No.1

        This study sheds light on a prominent issue in retailing: how the digital atmosphere can afect the consumer decision-making process in a fashion retail store. Digital devices and services such as digital screens and digital signage are widely employed in fashion retail stores, transforming the way consumers make decisions about purchasing fashion products.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the digital atmosphere afects consumers’ purchase behavior patterns based on the attention-interest-desire-searchaction-share (AIDSAS) model. The fndings show that attention is a key antecedent to interest, desire, and behavioral responses (search, action, and share) triggered by the digital atmosphere. The fndings further suggest that attention has signifcantly positive efects on consumers’ purchasing patterns of utilizing the digital atmosphere in two types of fashion retail stores: sports and luxury stores. However, we fnd that these positive efects are more pronounced for sports retail stores than luxury retail store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consumer behavior related to the digital atmosphere of fashion retail stores by applying the AIDSAS model and helps uncover the stepwise relationships between attention to the store atmosphere-interest/desire and the products-behavior response. These fndings have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in the fashion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