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다자성 양자원조 배분 특징 분석

        김하아람,김종섭 국제개발협력학회 2021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3 No.3

        Purpos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s multi-bilateral aid by analyzing its allocation patterns. Originalit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previous aid allocation literature by focusing on the specific type of aid(multi-bilateral). It is unique in terms of using the 3SLS method, considering the simultaneity of aid allocation decisions between bilateral and multi-bilateral aid. It also provides the analytical results of the OECD DAC countries. Methodology: We regressed multi-bilateral aid allocation on its potential determinants such as political stability, multilateral networks, and disaster victims by using the Tobit method. We also applied the 3SLS method in analyzing the bilateral aid allocation impact on multi-bilateral aid allocation. Moreover, we divided the analysis period (2009-2018) into three stages by considering the structural changes in multi-bilateral aid policy. Result: It is shown that South Korea's multi-bilateral aid is allocated more to the countries with low political stability, good multilateral networks, and many disaster victims. In addition, multi-bilateral aid allocation is affected by bilateral aid in that it provides more aid to the countries with less bilateral aid. The characteristics of multi- bilateral aid become more prominent along with the changes in multi-bilateral aid policy. Conclusions and Implication: South Korea's multi-bilateral aid is allocated considering the benefits of providing aid through multilateral organizations. As bilateral and multi-bilateral aid is mutually affecting each other with different purpose and approach,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se two types of aid and proceed with the analysis. It is also noteworthy about the importance of aid policy as it highly affects aid allocation decisions.

      • KCI등재

        한국의 다자성 양자원조 배분 특징 분석

        김하아람(Haoaram Kim),김종섭(Chong-sup Kim) 국제개발협력학회 2012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3 No.3

        연구목적: 국제개발원조에서 다자성 양자원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 데, 한국의 다자성 양자원조 배분이 어떠한 특징을 바탕으로 배분되고 있는 지를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한다. 연구의 중요성: 한국의 다자성 양자원조 배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한편, 양자원조를 순수 양자원조와 다자성 양자원조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OECD DAC 주요 공여국 분석 결과를 함께 제시함으로써 다자성 양자원조의 특징을 확인한다. 연구방법론: 한국의 다자성 양자원조 배분 현황을 정치적 안정성, 다자 네트워 크, 재난피해자수와같이다자성양자원조배분결정에영향을미칠수있는 변수들을 기초로 Tobit 모형을 통해 분석한다. 다음으로 양자원조 체계 내에서 순수 양자원조 배분이 다자성 양자원조 배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원조 배분 과정상의 동시성을 고려하여 3SLS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다. 이 때 개발원조 정책 변화가 원조 배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2009-2018년의 분석 대상 시기를 세 시기로 구분하여 추가적인 분석을 실시한다. 연구결과: 한국의 다자성 양자원조는 정치적 안정성이 낮은 국가, 다자 네트워 크가 형성된 국가, 재난 피해자 수가 많은 국가에 더 많은 원조를 제공한다. 또한 순수 양자원조가 실시되기 어려운 국가에 더 많은 원조를 제공한다. 그리 고 순수 양자원조와 다자성 양자원조는 정치적 안정성 변수에서 상호간 정책적 특징이 구분된다. 한편 이러한 특징들은 다자성 양자원조 정책이 체계화됨에 따라 더욱 선명하게 나타난다. OECD DAC 주요 공여국들도 한국과 유사한 배분 특징을 보이되, 순수 양자원조와 다자성 양자원조간의 관계는 공여국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된다. 결론 및 시사점: 한국의 다자성 양자원조는 다자성 양자원조가 효과적으로 알려진 특징들을 고려하여 배분되고 있다. 또한 원조배분에 있어 순수 양자원 조와 다자성 양자원조는 각각의 특징에 따라 상호 영향을 주고받기에, 양자원 조 유형을 세분화하여 분석하는 데에는 실익이 있다. 한편 이러한 특징들은 다자성 양자원조 정책이 체계화됨에 따라 더욱 명확하게 나타기에 적절한 개발 원조 정책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 s multi-bilateral aid by analyzing its allocation patterns. Originalit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previous aid allocation literature by focusing on the specific type of aid(multi-bilateral). It is unique in terms of using the 3SLS method, considering the simultaneity of aid allocation decisions between bilateral and multi-bilateral aid. It also provides the analytical results of the OECD DAC countries. Methodology: We regressed multi-bilateral aid allocation on its potential determinants such as political stability, multilateral networks, and disaster victims by using the Tobit method. We also applied the 3SLS method in analyzing the bilateral aid allocation impact on multi-bilateral aid allocation. Moreover, we divided the analysis period (2009-2018) into three stages by considering the structural changes in multi-bilateral aid policy. Result: It is shown that South Korea s multi-bilateral aid is allocated more to the countries with low political stability, good multilateral networks, and many disaster victims. In addition, multi-bilateral aid allocation is affected by bilateral aid in that it provides more aid to the countries with less bilateral aid. The characteristics of multi- bilateral aid become more prominent along with the changes in multi-bilateral aid policy. Conclusions and Implication: South Korea s multi-bilateral aid is allocated considering the benefits of providing aid through multilateral organizations. As bilateral and multi-bilateral aid is mutually affecting each other with different purpose and approach,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se two types of aid and proceed with the analysis. It is also noteworthy about the importance of aid policy as it highly affects aid allocation decisions.

      • KCI등재

        수원국의 ESG 요인이 공여국의 ODA 재원 배분에 미친 영향

        방호경,김하아람 국제개발협력학회 2024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6 No.1

        연구목적: 국제사회에서 ESG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수원국의 ESG 요인이 공여국의 ODA 재원 배분에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연구의 중요성: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공여국의 ODA 재원 배분 행태를 ESG 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고, UN SDGs 의제 이후 더욱 강조되는 수원국 환경 요소 (지속가능성)에 대해 설명한다. 연구방법론: 수원국의 ESG 요인이 공여국의 ODA 재원 배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국가별 ESG 표준화 지수를 구축한 후 실증분석을 실시한다. 특히, ODA 재원배분의 경우 직접적으로 관찰이 가능한 변수 이외에도 관찰할 수 없는(변수화 할 수 없는)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이를 통제하기 위해 시변적인 고정효과와 연도불변적인 고정효과를 모형내에 포함시킨다. 한편 국가별 ESG 지수의 경우 계량적 기법을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연구결과: ESG 지표와 SDGs의 지표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ESG 요인이 공여국의 ODA 재원 배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05~2013년에는 사회변수, 2014~2020년 중에는 사회변수(S)와 환경변수(E)가 함께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반면, 거버넌스 변수(G)는 모든 추정방법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에서 도출된 ESG 지표와 SDGs의 지표간 상관관계를 구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데 이는 수원국의 SDGs 달성에 ESG 요소가 디딤돌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을 시사한다. 그리고 ODA 재원배분에서 ESG 요인은 2005~2013년의 경우 사회변수, 2014~2020년에는 사회변수와 환경변수가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는데, 이는 국제개발협력의 패러다임 변화를 반영한 결과이다. 거버넌스 변수는 모든 추정방법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하였는데, 이는 사회변수와 환경변수와 달리 ESG 관련 요소 중 거버넌스에 대한 고려가 상대적으로 미흡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how ESG factors in recipient countries influence the donor’s ODA allocation. Originality: It analyses donors' ODA allocation behavior from an ESG perspective. It also explains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recipient countries, which have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since the UN SDGs agenda. Methodology: To analyze the impact of recipient countries' ESG factors on the donor’s ODA allocation, a standardized ESG index for each country is constructed. There are various unobservable factors which likely to influence the ODA allocation, hence time-varying and time-invariant fixed effects are incorporated. Meanwhile, the country-specific ESG indices are constructed using quantitative techniques. Result: ESG and SDG indicators demonstrat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ESG factors on the donor’s ODA allocation reveals that social factors played a significant role during 2005-2013. From 2014 to 2020, both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governance factors did not attain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and Implication: When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ESG and SDG indicator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s observed. This suggests that ESG factors can act as a building block towards the achievement of SDGs in recipient countries. The ESG factors played varying roles over time. From 2005 to 2013, social factors were significant, while from 2014 to 2020, both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t can be explained by the paradigm shift in development cooperation. However, governance factors did not achieve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ny estimation methods, implying that, considerations of governance factors might have been relatively insuffic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