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촌락 자치 조직의 한,일 비교

        김필동 ( Pil-dong Kim ) 한국사회사학회 1999 사회와 역사 Vol.55 No.-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village structure of Korean and Japanese rural society by comparing "self-governing organizations" (hereafter SGOs) of Korean and Japanese mral villages. For this purpose, I first examine the general formative processes of SGOs in Korean and Japanese rural village, and then focus on two exemplary villages in both countries. The Japanese case is Sezawashindeng village cooperative(瀨澤新田集落組合) in the Nagano prefecture and the Korean case is Doiri village assembly (桃李里 마을총회 ) in the Chungchongnamdo province. Based on these descriptions, I compare two SGOs in Korea and Japan on the following 6 points: 1) autogenousness (or self-production), 2) system coherence, 3) representativeness, 4) self-reliance, 5) functional comprehensiveness, and 6) self-governing ability. Results of the comparison show that the SGO of Japanese village are bener organized in all respects when compared with its counterpart in Korea. I hypothetically`` explain that the difference can be attributed to the following points. The Japanese village has successfully maintained the tradition of village community of the past, additionally developing democracy on the level of village after the Second World Wa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village has experienced direct interventions of the stat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authoritarian military regimes since the 1960s. Though the Japanese village has also experienced the direct intervention of the state to some degree, it worked favorably for the maturation of the SGO. This signifies the necessity for a more detailed investigation on the history of SGOs.

      • KCI등재

        경성제국대학의 사회학 교육 - 제도와 사람들 (1926-1945)

        김필동 ( Kim Pil-dong ) 한국사회사학회 2020 사회와 역사 Vol.0 No.127

        1926년에 개교한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에는 사회학강좌(社會學講座)가 설치되어 있었고, 총독부는 1928년에 사회학제2강좌를 설치할 계획도 갖고 있었다. 이는 총독부가 3.1운동으로 동요된 민심을 수습하고 통치의 안정을 기하기 위해서는 사회학의 학문적·교육적 역할이 긴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후 사태는 제2강좌 설치가 무산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회학을 전공하는 학생을 양성하지 않는 이상한 형태로 전개되었다. 이렇게 된 것은 민심 수습과 통치 안정을 위해 사회학적 연구는 필요하지만, 전문 사회학도를 양성하는 데는 일본 정부와 총독부가 부담을 느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 결과 사회학 과목들(사회학개론, 사회학 연습, 사회학특수연구)은 오래동안 법문학부 다른 전공 학생들의 선택과목에 머물러 있었으며, 강좌 담임교수 아키바 타카시(秋葉隆)는 혼자서 이 과목들을 담당했다. 또한 그는 학문적 관심이 같은 종교학 교수와 함께 조선과 동아시아 지역의 무속(巫俗) 연구에 주력하고 있었다. 1942년 사회학교육에 큰 변화가 생겼는데, 스즈키 에이타로(鈴木榮太郞) 조교수가 충원되고, 사회학전공 학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조선 경제의 변화와 일제의 중국 침략에 따른 사회학에 대한 사회적 수요의 증가를 반영한 것이다. 그 결과 사회학전공 학생수가 크게 증가했고, 사회학 강의수도 늘어났다. 또한 학생들은 사회조사에 참여하는 경험을 갖게 되었고, 1943년 10월에는 경성제대에서 열린 일본사회학대회에 참가하는 특별한 경험도 갖게 되었다. 그러나 그 무렵 전황(戰況)이 악화되자 일본정부는 그동안 유예해온 ‘학도출신(學徒出陣)’을 단행하게 되었고, 다수의 학생들이 1943년 12월부터 입영(入營)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아키바 교수는 학생들의 입영을 적극 독려했다. 학생들의 입영으로 정상적인 교육은 이루어질 수 없게 되었고, 그 결과 1941년 이후 입학한 20명이 넘는 학생들 중에서 졸업자는 겨우 3명에 불과하게 되었다. 그 결과 경성제대의 사회학은 후진 양성이란 측면에서 성과를 낼 수 없었고, 해방 후 한국에서 활동할 전문 사회학자를 길러내지 못한 채 종막을 고했다. 일부 학생이 해방 후 경성대학을 통해 학업을 이어갔지만, 이후 학계에서 활동한 지도적 인물은 한 명에 불과했다. 그러나 경성제대에 사회학강좌와 전공이 있었다는 제도적 유산은 해방 후 경성대학과 서울대학교에 사회학과가 설치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경성제대의 유산은, 그것이 내장한 유럽적 학문 전통과 함께, 해방 후 극복·청산 담론의 대상이 되었기 때문에 미국적 학문체제로의 압도적인 경사(傾斜)를 초래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경성제대 유산의 문제는 단절 또는 계승의 차원으로 단순화해서 생각할 수 없는 학문적 논제로 남아 있다. The Faculty of Law and Literature at Keijō Imperial University (京城帝國大學, KIU), which opened in 1926, had a lectural chair of sociology (社會學講座), while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朝鮮總督府) also planned to establish a second lectural chair of sociology in 1928. However, the situation developed into a strange course not only that the second lectural chair fail, but that did not train students majoring in sociology. This is believed because the Government-General felt burdened on fostering students majoring in sociology, although sociological researches were necessary to settle down public sentiment and stabilize governance which had been shaken by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s a result, sociology subjects have long remained elective subjects for students of other majors in the Faculty, and Akiba Takashi (秋葉隆), the professor in sociology, was in charge of them alone. In 1942,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sociology education, because an assistant professor Suzuki Eitaro (鈴木榮太郞) was recruited and the lectural chair of sociology was able to receive students majoring in sociology. These changes reflected the Joseon economy’s changes and the growing social demand for sociology following the Japanese invasion of China. As a result, the number of students majoring in sociology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number of sociology subjects has also increased. In addition, Students had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social survey and fieldwork. In October 1943, they also had the uniqu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18th Conference of Japanese Sociological Society held at KIU. However, as the war situation worsened around that time, the Japanese Government implemented a suspended “Going to war of students (學徒出陣)” and many students joined the military from December 1943. In the process, Akiba encouraged students to join the military. KIU’s regular education failed to materialize, resulting in only three graduates (including 2 Japanese) out of more than 20 students enrolled since 1941. As a result, the sociology education of KIU could not produce the academic successor generation to work in Korea after Liberation. Some students continued their studies through Kyungsung University (京城大學) after liberation, but only one of them worked as a professor of sociology. However, the institutional legacy of having a lectural chair and students majoring in sociology had a decisive impact on the establishment of sociology department at Kyungsung University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However, the KIU’s legacy and its embedded European academic tradition had been criticized and led to an overwhelming skewness to the American academic system. Thus, the issue of KIU’s legacy remains an academic topic that cannot be simplified to the dimension of disconnection or succession.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일제 말기 한 젊은 사회학자의 초상

        김필동(Pil-Dong Kim) 한국사회학회 2017 韓國社會學 Vol.51 No.1

        신진균(申鎭均)은 1913년 경북 영해의 평범한 유림 가문의 아들로 태어났다. 지주이자 청년·교육 운동가였던 부친(申命燮)은 아들의 중등 교육을 위해 집을 대구로 옮겼으며, 대학 교육을 위해 그를 일본에 유학시켰다. 제5고등학교를 거쳐 1937년 동경제국대학 문학부 사회학과에 입학한 신진균은 1940년 대학원에 진학했으며, 1941년 5월 조선으로 돌아와 명륜전문학교의 교수가 되었다. 신진균은 대학원 학생과 전문학교 교수로 재직하는 수년간 매우 활발한 연구활동을 전개했으며, 교수와 동료들로부터 공히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 기간 동안 신진균은 일본사회학회에서 3편의 연구발표를 했고, 학회지에 7편의 서평을 기고했으며, 한 권의 번역서를 출판했다. 그의 연구는 조선의 촌락과 가족(친족) 연구에 초점을 둔 것이었는데, 실증적 연구를 중시하는 특징이 있었다. 이는 동경제대 사회학과의 학풍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론적인 관점에서 보면, 학부 졸업논문은 맑스주의에 경도되어 있었지만, 조선에 돌아온 이후의 연구는 기능주의에 접근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방법론적으로는 사례연구와 역사적 연구로 초점이 옮겨갔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면 그의 연구에는 이론적·방법론적으로 융통성이 있었고, 아카데믹한 연구 지향이 뚜렷했으며, 그런 가운데 조선의 역사와 현실에 적합한 사회학에 대한 고민도 하고 있었다. 신진균은 1945년 해방 직후의 시점에서 보면 사회학 분야에서 가장 준비된 연구자이자 교육자의 한 사람이었다. 또한 1946년 전반기에는 진보적인 교육·문화 운동에 매우 활발하게 참여했다. 그런 그가 다소 돌발적인 사건으로 영어(囹圄)의 몸이 되어 남한에서 더 이상 학자 및 교수로서의 삶을 살 수 없게 된 것은 개인의 불행일 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학계로서도 큰 손실이 아닐 수 없었다. 이후 그의 삶은 완전히 다른 길을 걷게 되었다. Shin Chin-Kyun (申鎭均) was born in 1913 as a son of an ordinary Confucian literati in Younghae county, North Gyeongsang Province. His father, a landlord and a local leader of youth and education movement, moved to Daegu, a city in the province, for his son’s secondary education, and sent him to Japan for his higher education. Shin Chin-Kyun entered the sociology department at the Imperial University of Tokyo (IUT) in 1937 after his graduation of the Fifth High School in Kumamoto-Prefecture, and went on to the Graduate School of the IUT in 1940. He returned to Korea in May 1941 and became a professor at Myeong-Ryun Junior College. Shin Chin-Kyun was highly active in conducting his research between 1941 and 1944 and received high recognitions from both his professors and colleagues. He presented his papers three times at the annual meeting of Japan Sociological Society (JSS), contributed seven book-reviews to the Journal of JSS, and published a book of translation in these years. His research focused on the villages and family-kinship systems of the traditional and modern Korean society and put an emphasis on a positivistic approach, reflecting the academic tradition of IUT sociology. From the theoretical point of view, his undergraduate thesis was tilted toward Marxism, but after returning to Korea, his theoretical orientation became closer to functionalism, and the methodology moved to the case studies and historical approaches. Taken as a whole, however, he possessed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flexibilities, had a clear academic orientation, and struggled to develop a sociology more relevant to the history and current states of Korean society. In the period shortly after 1945 Liberation, Shin Chin-Kyun was one of the most prepared researchers and educators in the field of sociology. He also actively participated in various progressive cultural and educational movements in the first half of 1946. Therefore, it was a great loss to Korean sociology, as much as personal misfortune, that he was put into prison by an accidental affair and no longer able to continue his career as a scholar and professor in South Korea. He walked on a completely different path of life afterwards.

      • KCI등재

        한국 종족 (宗族) 집단의 형성과 변동

        김필동(Pil Dong Kim) 한국농촌사회학회 2000 農村社會 Vol.10 No.-

        이 글은 한국 종족 집단의 형성과 그 역사적 변화의 과정을 한 종족 마을(桃李里)의 사례를 통하여 살펴보고 이를 통해 종족의 구조와 변동에 관한 하나의 이론적 설명을 제시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종족은 전통사회의 중층적인 부계친족집단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종족은 양반문화의 전통을 만들고 이를 유지하는 토대였고, 전통사회 사람들의 사회적 신원(身元)의 주된 근거였다. 종족의 형성과 발전은 종족마을의 형성·발전과 표리의 관계를 갖는다. 또 종족 성원들의 결속은 문중으로 조직됨으로써 강화된다. 문중은 제사를 위한 물질적 토대를 마련하고 종족내 질서를 확립하며, 종족을 통합하는 정치적 기능도 갖는다. 그러나 그것은 제사와 그 속에 구현된 유교적 의례를 실천하는 범위에 제한된 것이었다. 따라서 종족은 경제적·정치적 단체로서의 성격이 매우 약하다. 이 점이 일본의 도조쿠(同族)나 중국의 쭝쭈(宗族)와 다른 중요한 차이점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종족은 무엇보다 사회적·문화적 단체로서의 의미가 강했고, 그것이 추구하고 실현한 것도 물리력에 기초한 지배가 아니라 명예과 평판에 기초한 지배였던 것이다. 종족이 갖는 이러한 특징은 많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오늘의 종족에 계승되고 있다. 물론 종족이 존립할 수 있는 환경은 크게 바뀌었고, 종족의식도 많이 약화되었다. 그러나 종족은 제사 관행의 지속과 문중의 대외적 활동을 통해 전통을 지키고 나아가 이를 재창조하려고 하기도 한다. 종족적 아이덴티티와 선조의 업적에 대한 과시는 돈(경제력)만으로는 충족되지 않는 사회적 명예 표현의 중요한 근거가 된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 점이 종족 집단이 선조(특히 派祖)의 현창 사업에 몰두하는 이유가 된다.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formation and changes of Chongjok(宗族 lineage group) in Korea, through the case study of a Chongjok village, Dori-ri(桃李里), and proceeds to present a theoretical explanantion of the structure and changes of Chongjok group. The Chongjok has played the key role among the multilateral partrilineal kin groups in traditional Korea, Chongjok was the base which formulated and sustained the tradition of Yangban(兩班) culture and the main basis of social identity of people in traditional society.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hongjok had intimate relationships with those of Chongjok village. And the solidarity of Chongjok members has been strengthened with their being organized to Munjung(門中). The Munjung, which is the organizational repesentation of Chongjok, prepared material basis for ancester worship, established the hierarchical order among Chongjok members, and had the political functions to integrate them. But those were mainly confined to performing sacrificial rites(察祀) and practicing Confucian rituals embodied in them. Therefore the traits of Chongjok as economic and political organizations were very weak, which was main point of difference comparing with Tozoku(同族) of Japan and Zongtsu(宗族) of China. The Chongjok in Korea, first of all, entailed the traits of social and cultural organizations, and purported to realize the hegemonic domination by honor and reputations, not by physical power. Such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hongjok has been succeeded to today`s Chongjok in spite of many changes. Of course, the social environment which Chongjok was based on has greatly been changed and Chongjok consciousness has been weakened too. But Chongjok members try to preserve and reinvent their traditions by way of the continuation of sacrificial rites and facilitating external activities. They believe that showing off Chongjok`s identity and ancester`s achievements will be the important bases enhancing the social honor of their own, not acquired only by money. This is the reason why Chongjok group are hung up the appraisal of their ancesters (especially their founding fathe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대한제국기 "근대 조직" 변동의 추이

        김필동 ( Pil-dong Kim ) 한국사회사학회 2015 사회와 역사 Vol.0 No.107

        이 연구는 1898~1910년의 조선(대한제국)을 대상으로 ‘근대 조직’ 변동의 추이를 살펴보고, 그것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해석해본 것이다. 연구방법은 『황성신문』 본문 전체에서 ‘조직(組織)’이란 단어가 들어간 기사를 검색하고, 그 기사에 나타난조직(활동)의 사례를 국가별(조선/외국)·연도별, 그리고 조직의 유형별로 나누어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변동의 추이를 살펴봄에 있어서는 연도별 추이와 함께 전기간을 1기(1898~1899), 2기(1900~1904), 3기(1905~1907), 4기(1908~1910)로 나누어 분석하는 방법을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 1기에 탄생기를 맞이했던 조선의 근대 조직은 2기에는 조직의 종류(유형)에 큰 상관없이 침체기를 겪다가 3기 이후 빠르게 증가하여 4기에 최고 수준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조직의 종류(유형)별로 보면, 정부조직의 조직활동은 비교적 완만하게 증가하는 반면, 회사(조합)는 좀 더 빠르게, 그리고 결사체는 3기와 특히 4기에서 폭발적인 성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3기 이후 폭넓은 집단·영역에서 결사체가 폭발적인 성장을 보인 것은 대한제국기 조직변동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당시 활발하게 조직된 수많은 자발적 결사체의 성격은 매우 다양했다. 학교 설립과 유지를 위한 학회·교육회를 필두로 자치단체(민회)와 정치단체, 학생·청년회, 상공업 및 농업단체, 전문직단체, 부인회 등도 다수 조직되었다. 이처럼 다양한 결사체의 활성화 현상과 회사(조합)의 증가 추세는 당시 조선사회가 근대 시민사회의 역량을 키워나가는 도정(途程)에 들어섰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비록 그 역량이 충분히 성숙되기 전에 조선은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고 말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축적한 역량은 장기적 관점에서 한국사회 발전에 밑거름이 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s of modern organizations in the period of Korean Empire (1897~1910) and interprets their historical meanings. Th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searching articles including the word of cho-jik (組織) in the full text of Hwangseong Daily News (皇城新聞. HDN) database, which has been published during years of 1898~1910; collecting the activity cases (or events) of organizations in those articles as basic data for this study; classifying the data by years and types of organization; tracing yearly trends of activity cases/events of the organizations; and comparing the developments of modern organizations by nations and types of organization. Besides analysing the yearly trends of data, I divided the whole period into 4 stages and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with others: the 1st stage (1898~1899), the 2nd stage (1900~1904), the 3rd stage (1905~1907), and the 4th stage (1908~1910). The results are outlined as follows: In my opinion, Korea was undergoing the birth age of MOs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hich was the 1st stage of our research period. We can see dozens of the activity cases of MOs in the HDN articles of that stage, including bureaucracy, business firms, and voluntary associations. But the growth of MOs in Korea has been delayed in the 2nd stage regardless of MO types. In the 3rd stage, the MOs of Korean Empire underwent rather rapid growth and arrived at higher point of development in the 4th stage (especially in 1908). It was the greatest characteristics of MOs development in the period of Korean Empire that the voluntary associations showed an explosive growth after the 3rd stage. The kinds and characters of those associations are very diverse and spread nearly all over the areas. In addition to hundreds of associations for education and learning, people’s assembly or county council, student or youth society,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professional societies, membership clubs, and other societies or associations were actively organized. The increase and activation of various associations and business firms showed the fact that the Korean (Chosun) society was entering into the road to developing and accumulating the competences of modern civil society at that time. Although the Korean Empire was annexed to Japan in 1910, the civil competences accumulated at that time has served basal fertilizer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from the long-term point of view.

      • KCI등재후보

        일본 국립대학 법인화의 과정과 구조

        김필동(Pil-Dong Kim)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8 사회과학연구 Vol.19 No.2

        일본의 국립대학 법인화에 대한 연구는 그 자체 학문적으로 의미 있는 작업이지만, 여전히 진통을 겪고 있는 한국의 국립대학 법인화 문제에 소중한 교훈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일본 국립대학 법인화의 과정을 정책과정론의 관점과 이해관계자들 간의 역학관계에 초점을 두고 검토한 뒤, 국립대학법인의 구조를 법인화 이전의 그것과 대비하면서 고찰하고 있다. 일본이 2004년 전격적으로 국립대학 법인화를 실시하게 된 직접적 배경이 된 것은 장기 불황에 따른 1990년대 후반 행정개혁의 추진이었다. 법인화에 대해 처음에는 각 대학은 물론 문부성도 반대했지만, 점차 법인화의 불가피성이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하면서, 이해관계자 집단 사이에 일종의 타협이 이루어졌다. 대학 측이 타협을 하게 된 중요한 이유는 ‘학부 자치’를 기본으로 하는 일본 국립대학의 낡은 구조가 글로벌 경쟁 시대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인식과 함께 교수집단의 힘이 상대적으로 악화되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결과적으로 일본의 국립대 법인화는 내부자 지배구조를 유지하되 권력추가 학부 및 교수집단에서 총장으로 이전되는 형태로 귀결되었다. 동시에 국립대학법인은 법인평가를 통해 사회와 국가에 대해 설명책임을 갖는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The study on the incorporation of Japanese national universities is as well an important lesson for the incorporation issue of Korean national universities as an academically meaningful work in itself.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incorporation of Japanese national universities in the view of policy process theory and focusing on the dynamics among university stakeholders, and investigates the structure of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s contrasting that of pre-incorporation period. The sweeping incorporation of Japanese national universities in 2004 was rooted in the administrative reforms of Japanese Government in the late 1990's after long-term deflation of Japanese economy. At first, Monbusho (the Ministry of Education) as well as national universities oppose to the promotion of incorporation. But, step by step, incorporation grows to a trend and a kind of compromise was made among university stakeholders. The main reasons why the university side accept those compromise are the recognition that the old structure of Japanese national universities on the basis of 'faculty autonomy' is blocking progress in the age of global competition and the fact that the power of professor group has gradually been weakened. After all, the incorporation of Japanese national universities resulted in the power shift from the faculty and professors to university president, although in-group governance structure is maintained. In addition, the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got a system of social accountability through the corporation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