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개혁주의생명신학의 관점에서 본 아프리카 독립교회에 관한 선교학적 제언

        김필균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9 생명과 말씀 Vol.23 No.1

        21세기 세계 기독교를 대표하는 교회는 아프리카 교회일 것이라고 예견될 만큼 최근 아프리카 독립교회의 급격한 성장은 지금까지의 북반구 중심의 기독교가 남반구로 이동하는 지각변동을 보여주고 있다. 아프리카 독립교회의 성장은 식민지 열강으로부터 아프리카 국가들이 독립하기 시작하면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현상이다. 이는 또한 아프리카인에 의한 아프리카인을 위한 교회라는 아프리카인의 정체성 확립을 보여준다. 이들 독립교회는 유럽인들에 의해 세워진 교회와 유럽인들에 대한 저항의식을 표출하는 민족주의적 색채를 띠는 경향성이 강하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아프리카 독립교회들은 아프리카 전통종교의 적지 않은 요소들을 흡수하는데 이는 아프리카 교회들의 특수한 상황들을 반영한다. 긍정적인 의미에서, 아프리카 교회는 우분투 철학이라는 아프리카인의 공동체 정신을 담은 그들 자신의 철학과 함께 아프리카인에 의한 교회로 발돋움하고 있다. 그러나 부정적인 의미에서 말하자면, 아프리카 독립교회는 조상숭배와 강령술에서 배태되는 죽은 자와 산 자의 소통의 허용으로 나아갈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한다. 그들의 우분투 정신을 계승하면서 조상숭배에서 드러나는 비성경적인 위험성은 성경적으로 변혁 및 보완이 필요하지만, 아쉽게도 지금까지 실질적인 해결방안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필자는 아프리카 교회 내에서 문제시되는 조상숭배에서 드러나는 죽은 자와 산 자, 엄밀히 말해 살아있는 죽은 자와 산 자의 소통을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평가하고자 한다. 특히 아프리카 독립교회의 조상숭배 및 강령술은 개혁주의적 관점으로 평가되어야 하는 동시에 선교학적 관점으로도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동시에 아프리카인의 일상적인 예배 및 영적 삶에서 도출되는 아프리카인들에 의해 사용되는 토착 용어와 개념정리의 필요성, 각 부족어로의 성경번역의 요구, 성경적 신앙의 아프리카인들로의 구체적인 적용, 세계 복음주의 교회들과의 보편적인 연합의 추구, 적절한 신학교육의 필요, 그리고 개혁주의생명신학에 근거한 성경적인 신학 재교육의 장려가 요구된다. In the 21st century, the rapid growth of the African Independent Churches(AICs) recently shows a big movement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Christianity has shifted from the northern hemisphere to the southern hemisphere, as the mainstream churches representing world Christianity are predicted to be African churches. The increase of the AICs is prominent since the African nations have begun to emerge from the European colonial powers. Moreover, this demonstrates the establishment of African identity, in that the AICs have been accomplished by the African people and for the African people. The AICs have a tendency to hold the characteristics of tribal societies that make a strong stand against Europeans and the churches established by the European missionaries. Accordingly, almost all of the AICs absorb quite a few factors of African indigenous religions, and at the same time, this reflects their specific situations. In a positive sense, the AICs contain the African mind in Ubuntu philosophy, that is, it means the establishment of African community spirit, and as a result, they are growing, operated by African people. However, in a negative sense, the AICs hold risk to allow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living dead and the living which comes from ancestor worship and spiritualism. Unfortunately, there has been no a particular solution for alternating ancestor worship so far, although unbiblical traditions, like ancestor worship, were to be biblically transformed and complemented. From the reformist point of view, the author tries to evaluate the communication of the living and the dead, strictly speaking the living and the living dead, seen in ancestor worship which has been continually issued within the African churches. In particular, the ancestor worship and the spiritualism of the AICs need to be evaluated from both the reformist point of view and the missiologist point of view. Simultaneously, he encourages African people to have ordinary worship and everyday spiritual life, hasten the translation of the Bible into each tribal language, have the detailed application of biblical faith to Africans, have the universal alliance with world evangelical churches, and relearn biblical theology based on the Reformed Life Theology.

      • KCI등재

        성경적 복(福) 이해와 실천 - 선교적 적용

        김필균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68

        복을 일반적으로 정의할 때, 우리는 성경에서 말하는 복 이해와 세상에서의 삶에 익숙해진 복 이해와는 큰 차이가 있음을 본다. 구약성경에서 말씀하는 복 이해에 관 련하여, 더욱 좁게 말해 창세기 12장에서 보는 아브라함에게 주시는 하나님의 복은 단순히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보이는 땅만을 허락하신 것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함께 하심이 참된 복이며 이것이 복에 대한 성경적 의미로 이해된다. 성경 적 복은 바로 하나님 그 자신에 있다라는 사실을 놓쳐서는 안 된다. 더욱 중요하게, 성경은 시작부터 마지막까지 복이자 복의 근원 하나님에 대해서 말씀하고 있다. 하나 님께서는 아브라함에게 복을 주시는 원천이자 수여자시다. 동시에 그분은 아브라함에 게 복의 통로가 되도록 위임하신 것처럼, 하나님께서는 우리 또한 복의 통로로서 부 르고 사용하시기를 원하신다. 아브라함의 복은 모세에게로 이어지며, 모세의 복은 우 리에게 예수의 복음을 통해 구원을 주시는 그분의 복으로 집약되며, 하나님께서는 이 러한 복의 수혜자로서 나누어주고 베풀어주며 섬기는 청지기로서 우리를 그분의 사역 에 참여하기를 원하신다고 본다. 성경에서 말하는 복은 단순히 우리가 어떤 물질을 혹은 명예를 소유하는 복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는 우리가 이미 받은 구원의 복음, 물질, 재능, 소유물들을 함께 나누고 섬기는 것을 다 포함한다. 실천적 의미에서 복은 나누어 주는 것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사랑의 집 짓기 운동’은 집없이 방황하는 가난한 자들에 게 소망을 주고 함께 나누고 섬기는 복의 실천적 의미와 적용을 구체적으로 드러낸 다. 베트남에서의 ‘사랑의 집 짓기 운동’ 사역은 이러한 의미에서, 교회가 주는 자가 복되다고 한 나눔과 섬김의 사역을 먼저 실천함으로 세상에서의 소금이 되고 빛이 되 는 예수 그리스도의 실천적이며 선교적인 사명을 감당하고 있다는 면에서 큰 의미를 보여준다. When we generally define blessings, we recognize that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biblical understanding spoken in the Bible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blessing that has become accustomed to life in the world. In relation to the understanding of the blessings shown in the Old Testament, more narrowly, God’s blessing for Abraham in Genesis 12 is not merely a blessing in sight, but an invisible blessing, which is understood with the meaning of the Bible. The Biblical blessing should be found out on the fact that God Himself is a blessing. And more importantly, the Bible is speaking about God, who is the source of blessings, from beginning to end. God is the source and recipient for Abraham’s blessing. At the same time God also encourages us to call and use as a channel of His blessing, just as He has committed Abraham to become a channel of His blessing. Abraham’s blessing leads to Moses, and Mosaic blessing, through the gospel of Jesus, is summed up in the blessing of the One who gives us salvation. God entrusts us to become His disciple as a servant of giving and sharing the blessing with people. The blessing said in the Bible does not simply mean that we possess enormous wealth or honor. This implies that we share together the gospel, material, talent and the salvation we have already received from God and we serve together through those things. In this sense, the ‘Habitat for Humanity International’ movement specifically reveals the practical meaning and application of the blessings that give hope, share with and serve the poor who wander without residences. Specifically, the ‘Habitat for Humanity International’ mission in Vietnam is very meaningful in that it carries out the service of sharing and serving, which the church says that givers are blessed. Thus this mission embodies the practical and missionary mission of Jesus Christ who becomes salt and light in the world.

      • KCI등재

        긍휼 이해에서 본 선교·실천적 함의

        김필균 한국대학선교학회 2019 대학과 선교 Vol.42 No.-

        It is very important for us to examine what a life of mercy means in the contemporary world. God’s compassion is closely related to His salvation through the whole New and Old Testament. God would not have saved anyone without His mercy. Above all, as those who are full of God’s mercy, we need to live a life in which we love and serve Him with all our hearts and all our minds. At the same time, we have to give God’s mercy for other people. This is what we follow and take after Him as those who were made in the image of God. Having compassion is a practical spirituality, so this makes us men of their word. In particular, practicing th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and the mission for refugees in Korea, which contains missionary and practical implications, reminds us of a missionary task for compassion.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긍휼의 삶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하나님의 긍휼은 신·구약 성경 전체를 통해서 하나 님의 구원과 밀접하게 관계한다. 하나님의 긍휼이 없었다면 하나님께서는 그 누구도 구원하지 않으셨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하나님의 긍휼을 입은 자로서 우리는 하나님을 온 마음으로 사랑하고 섬기는 것과 동시에 타인들 에게 하나님의 긍휼을 베푸는 삶을 살 필요가 있다. 이것은 우리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받은 존재로써 하나님을 좇으며 그분을 닮아가는 일이다. 긍 휼은 단지 말로서만 그치는 것이 아닌 실천적 영성이다. 특히 선교와 실천적 함의를 담고 있는 공적개발원조(ODA)의 시행과 국내 난민을 위한 사역의 현황은 우리에게 긍휼 사역의 중요성을 일깨운다.

      • KCI등재

        개혁주의생명신학적 관점과 일본 세계관 이해를 통한 상황화 선교방안

        김필균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0 생명과 말씀 Vol.27 No.2

        Understanding Japanese worldview and their way of thinking appropriately will enable us to communicate the gospel with them effectively through the way they understand. The Japanese worldview seems to be quite different from other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China and Korea. The Japanese are basically people who abhor having a sense of shame, and if they concentrated on the ministry without recognizing unique Japanese worldview and her culture, the fruits of Japanese missionary work would be inevitably scarce. As for Japan, which is geographically close but can never be intimate with Korea, which is a country that had been exploited by Japanese imperialism in the past, have the tendency to avoid a great devotion to do Japanese mission, differently from God’s intention.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Japanese mission from the standpoint of reformed life theology and critical contextualization. Simultaneously we agree that Japanese imperialistic aggression and anti-humanitarian behavior is also considerably connected to their worldview and culture. Concerning Japanese Samurai, to pollute his/her honor is more disgraceful than to die. At the same time Japanese people do not betray their communitarian ethics, including ‘Sekendei’, which pay attention to how other people judge an individual and consider communities’ decision-making all the time. This culture originates from ‘Wa’ thought Japanese people pursue, Confucian value of harmony, and their relationship. Above all Japanese culture is deftly connected with Japanese Shintoism, which calls for its transformation into a biblical worldview. 일본인의 세계관과 의식 구조에 대한 적절한 이해는 우리를 그들이 이해하는 방식을 통해 효율적으로 복음을 전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일본인의 세계관은 중국과 우리나라를 포함한 다른 동아시아 나라들과 상당히 다른 점들이 많다. 일본인은 기본적으로 수치감을 느끼는 것을 매우 싫어하는 민족이다. 이러한 일본인의 고유한 세계관 및 문화를 인식하지 않으면 성숙한 사역의 열매를 기대할 수 없다.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는 매우 가깝지만, 결코 가까울 수 없는 일본은 우리나라를 과거에 수탈한 역사에서의 상처를 입힘과 동시에 역사를 통해 서로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고 이에 미움과 적대의 감정까지 더하고 있다. 그래서 하나님의 궁극적인 의도와는 부합되지 않게 많은 이들이 일본 선교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개혁주의생명신학적이며 성경적 상황화의 관점에서의 일본 선교 이해는 일본 선교를 재평가하는데 분명한 도움을 줄 것이다. 일제 강점기의 제국주의적 침략과 반인륜적(反人倫的) 행동 또한 이들의 세계관과 문화와 상당한 연관이 있다. 일본 무사도(さむらい, 武士道) 정신에서 한 사람이 자신의 명예를 더럽힌다는 것보다 더 치욕스러운 일은 없다. 공동체 윤리를 배반하지 않는 일본인의 가치관에서 상대방이 자기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는지를 항상 주의하고 공동체의 규율로 인해 이에 대한 눈치를 살피는 ‘세켄데이’(せけんてい, 世間体) 문화는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일본 특유의 ‘와’(わ, 和) 정신은 유교적인 화합과 조화의 관계성 추구라는 목적에서 비롯한다. 그뿐만 아니라 일본의 모든 문화는 교묘하게 신도(しんどう, 神道)와 밀접하게 결합해 있어서 성경적 세계관으로의 변혁이 반드시 요청된다.

      • KCI등재

        아프리카 부족 세계관과 성경적 상황화

        김필균 한국선교신학회 2019 선교신학 Vol.56 No.-

        선교적 지도자들은 타문화권 사람들에게 복음을 효율적으로 전달 하기 위해 이들의 세계관을 진지하게 취급할 필요가 있다. 아프리카에서 사역하는 선교사들이 아프리카 부족 세계관을 이해하고 연구하는 것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복음적인 상황화로 이끌어 가는 필수임을 뜻한다. 이 세계관은 아프리카 부족사회와 밀접하게 얽혀 있는데, 이는 부족사회의 기반을 이루는 하부구조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아프리카 부족사회의 중심적 특징들을 살펴봄을 통해 - 소규모 부족의 인간 중심적 세계관을 살펴보는 - 아프리카 세계관의 중요성을 본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아프리카 부족 세계관은 아프리카 우분투(ubuntu)의 정신에서 적절하 게 나타난다. 집단지향적 사회에서의 뚜렷한 특징은 인간, 조상, 신, 영, 동물, 자연 사이의 관계를 중시하는데, 이는 물활론적 세계관으로 이어진다. 아프리카 부족 세계관에 대한 평가는 성경적 세계관을 통해 살펴보아야 한다. 세네갈의 월로프족의 ‘좀’(jom), ‘먼’(mun), ‘콜레 레’(kolere), ‘테랑가’(teranga)라는 부족의 4가지 최고 가치 덕목들과 콩고 브라지빌 신학교 학생들의 ‘음봉기(mbongui)’ 라는 문화적 개념은 성경적 상황화를 통해 평가되고 변혁됨을 전제로 한다. This study looks at the significance of the African worldview by finding the central features of the African tribal society and focusing on the human-centered worldview of small-scale tribe. The African tribal worldview, for example, is aptly manifested in the spirit of Ubuntu. Some distinct characteristics in a group-oriented society have a lot to do with human beings, ancestors, gods, spirits, animals and nature, which lead to an animistic worldview. The evaluations of the African tribal worldviews should be accomplished through biblical worldview. The four highest virtues of the tribe Wolof in Senegal, jom, mun, kolere and teranga, as well as the cultural concept of mbongui by the Congolese Brazibille theological seminary students, are presupposed to be evaluated and transformed through biblical contextualization.

      • KCI등재후보

        개혁주의생명신학 관점에서의 영적 전쟁 이해와 기독교 세계관

        김필균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9 생명과 말씀 Vol.25 No.3

        According to Reformed Life Theology, it is safe to say that understanding spiritual warfare i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a Christian world view. In other words, we should not regard the essence of spiritual warfare as only visible miracle, but we need to connect it with how we should live in the world. If the Bible is not applied to our lives, we pursue a dichotomous life, separated from the biblical life. If so, we would live our own life without having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God. Biblical Christianity is to live on the whole truth. The researcher did not view the spiritual war as an abstract concept, but linked it with our beliefs in the contemporary world. That is to say, we have to focus on applying a Christian world view revealing our biblical faith, to our real life. Everyone has their own world view, but not all people seem to recognize it. The term world view itself originates from Immanuel Kant, but it is Wilhelm Dilthey who explains his philosophy through this concept for the first time. For Dilthey, a world view is “a series of mental categories that come from the deep experience of life that essentially determines the outcome, thinking about how a person recognizes the world around him or her and then understands and feels about it and reacts with action.” The concept of Christian world view is that although there are many Christian thinkers, including especially James Orr and Abraham Kuyper, for Orr, his main purpose was to cope with cultural challenges by presenting a coherent and rationally defended Christian view of the world. For Kuyper, a world view does not stay on the basis of a triple relationship with God, human beings, and the world. Instead he gives considerable advice on how the Christian world view is connected to culture, and illuminate and influence the areas of religion, politics, science and art from the reformed world view called Calvinism. The researcher intends to come up with a solution for this. It is not just a fight against Satan, but it is about how to live with a biblical and Christian world view despite many temptations and challenges that come to our lives every day. Spiritual warfare is inevitable, especially in the field of missionary work, but after all we find it to be a battle concerning world view. It is said that a life of living faith, which is emphasized in the viewpoint of ‘reformed life theology,’ is an important driving force to win spiritual warfare or the war concerning world view. 개혁주의생명신학 관점에 따른 영적 전쟁 이해는 기독교 세계관 정립과 연관되어 있다고 말해도 무방하다. 즉 눈에 보이는 기적과 이사가 아닌 영적 전쟁의 본질은 우리가 어떻게 이 세상에서 살아야 하는지와 관련한다. 우리는 하나님 말씀에 반응하고 관계하지 않으면 어쩌면 성경과 삶이 괴리되고 나누어진 채 이분법적인 삶을 추구하며 하나님과는 본질적으로 관계하지 않는 삶으로 나아가기 쉽다. 성경적 기독교는 총체적 실재에 관한 진리다. 본 연구자는 현재의 세계와 우리의 믿음을 연계시키고자 하는 의도에서 영적 전쟁을 단지 추상적인 것으로 보지 않고 우리 믿음의 실재를 현실에서 드러내는 기독교 세계관 정립에 초점을 맞추었다. 세계관은 한 사람이 사물들에 가지는 근본적인 신념들의 포괄적인 틀이자, 일련의 전제들이다. 특정적으로 사람들은 각각 자신의 세계관을 갖고 있지만, 이 사실을 인식하는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은 듯하다. 세계관이란 용어 자체가 철학적 담론에 등장하게 된 것은 칸트로부터 기원하지만, 이 개념을 통해 자신의 철학을 설명한 인물은 빌헬름 딜타이(Wilhelm Dilthey)다. 딜타이에게 세계관은“한 사람이 주변 세계와 거기에 담긴 수수께끼를 인식한 다음 이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느끼고 행동으로 반응하는지 고민하면서, 그 결과를 본질적으로 결정짓는 삶의 깊은 체험에서 나오는 일련의 정신적 범주”다. 세계관은 철학이 아니라 일관된 삶의 전제다. 기독교 세계관의 개념에 관해 여러 기독교 사상가들이 정리해왔지만, 특히 제임스 오르(James Orr)와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를 주목해 볼 수 있다. 오르는 자신의 기독교적 변증을 세계관 개념을 빌어서 활용했다. 그의 주된 목적은 정합성 있고 이성적으로 변호할 수 있는 기독교를 제시함으로 세계관을 문화적 도전에 대처하는 것이었다. 카이퍼에게 세계관은 하나님, 인간, 세상과의 삼중적 관계를 토대로 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는다. 그는 칼빈주의 세계관(Calvinistic World View)이라고 할 수 있는 개혁주의 세계관에서 기독교 세계관이 어떻게 문화와 관련을 갖고 종교, 정치, 과학, 예술 등의 영역에까지 조명하고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적지 않은 조언을 준다. 본 연구자는 단순히 사탄과의 싸움이 아닌 매일의 삶 속에서 다가오는 유혹과 도전들 속에서 어떻게 성경적이며 기독교적인 세계관을 갖고 살아야 할 것인지에 대한 해결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선교현장에서 영적 전쟁은 피할 수 없다. 그렇지만 이 전쟁은 결국 다름 아닌 세계관 전쟁이다. 개혁주의생명신학에서 강조하는 살아있는 믿음의 삶은 영적 전쟁, 즉 세계관 전쟁에서 이기는 중요한 토대다.

      • KCI등재

        환경 청지기의 돌봄과 선교적 함의

        김필균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0 복음과 선교 Vol.49 No.-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one of the most serious and important issues of the 21st century, reveals some critical situations which all human beings as well as Christians meet. To prepare solutions for these is essential for human beings to live comfortably, but it still seems that this problem cannot be solved immediately, like a maze or a riddle. Nevertheless, the researcher wrote this article to inform the seriousness of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many issues related to it. In addition, he pondered it with the intention that Christians should establish the biblical world view, that is, following Jesus Christ’s way. None of the natural environment, even a grain of sand, would have been created without the creation and planning of the Creator God, but people seem to live, forgetting readily about it. As the purpose of God’s creation is to live a life for God’s glory, God has given Christians the puritanical missions to properly manage and preserve the creatures He created. However, they often forget their missions from God owing to their sins, and they will be led into the reality that they do not fully obey the cultural commands He gave them. Nevertheless, as Christians can do, biblical ethics on environmental preservation, management and caring should be established, understanding that it is essential for church and its missions to require continued concern and research on practice. Christians need to spread the gospel, liv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the gospel at the same time, take the biblical world view, and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as a environmental steward imitating the Incarnated Jesus’ life within their natural environment, the site of the gospel. 21세기에 들어와서 더욱 심각하고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인 환경 보존의 문제는 기독교인들뿐만 아니라 전 인류가 처한 위기상황을 보여준다. 이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하는 일은 현재의 인류가 미래적인 복지가 보장되는데 필수적이지만, 여전히 이 문제는 미로나 수수께끼처럼 당장 실타래를 풀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자는 환경오염과 이에 관련한 이슈의 심각성을 알리고자 이 글을 쓰게 되었고 조금이나마 예수 그리스도 중심에서 바라본 성경적 환경관을 정립하려는 의도와 함께 고민해 보았다. 자연환경의 어느 하나, 모래 한 알이라도 창조주 하나님의 만드심과 계획이 없었다면 창조되지 않았을 것인데, 사람들은 대체로 이를 망각하고 살아가는 듯하다.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신 목적이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삶이 기 때문에, 반드시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피조물들을 마땅히 관리하고 보존하는 청지기적 사명을 주셨음에도 근본적으로 죄로 인한탐욕으로 그 사명을 잊고 본연의 자신을 위한 삶만을 사는 삶은 그분께서 원천적으로 주신 문화 명령을 온전히 순종하지 못하는 현실로 이어지도록 만든다. 그럼에도 기독교인은 가능한 대로 환경 보존과 관리 및 돌봄에 대한 성경적 윤리를 정립함을 통해 교회 사역의 일환으로 선교적 실천에 대한 계속적인 고민과 연구가 요구된다. 기독교인은 복음을 전파함과 동시에 복음대로 살아야 하고 성경적 세계관을 가지고 나아가 복음의 현장인 자연환경 속에서 성육신적인 환경 청지기직 책임을 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예수의 케노시스를 통한 선교적 리더십

        김필균 ( Pilkyu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8 한국개혁신학 Vol.59 No.-

        본 논문을 쓴 목적은 예수의 비움적 관점에서 선교적 지도자가 가질 수 있는 리더십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예수의 케노시스를 통한 선교적 삶은 그분의 성육신, 삶 그리고 십자가에서의 죽음을 통해 드러난다. 예수가 낮아져 섬기시기 위한 종으로 오신 것처럼, 선교적 지도자는 예수의 자기비움적 삶을 따라갈 필요가 있다. 예수의 자기비우심은 빌립보서 2장 7, 8절에서 설명되며, 이는 성경적 리더십의 패턴(비움 - 종의 자세 취하기 - 인류 품기 - 비움적 겸손 - 변혁적 순종)을 제공한다. 즉, 이 패턴은 종래의 카리스마적 리더십의 한계에 대한 해결점들을 찾는다. 그러나 오늘날 리더십은 종종 사람들을 지배하고 차별하는 계층적 패러다임들에 의해 행사된다. 가부장적 권위에 기초하는 리더십은 리더십이양을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선교사의 현지인 리더십이양의 문제는 ‘선교사가 선교현장에서 선교적 접근방법을 바꾸지 않고 기존의 가부장적이고 자민족적인 리더십을 계속 유지해왔다’라는 데에 있다. 명확히, 선교사는 파송 이전에 리더십이양이나 출구전략에 대한 준비없이 흔히 자신의 사역만을 하는 경우가 많다. 리더십이양을 하더라도 이양시기를 놓쳐 현지인 교회성장에 큰 방해를 일으킬 수 있다. 한 실례로, 한국교회는 네비우스 선교원칙들(자립, 자치, 자전), 특히 자립의 원칙을 채용함으로 인해 토착화되어 빨리 성장했다. 그렇지만 현지인 리더십이양의 문제는 단지 경제적 자립의 문제만은 아니다. 이에 관련하여, 톰 스테판(Tom Steffen)의 이양모델은 이전의 리더십이양 모델들의 취약점들을 보완할 것이다. 요약해서 예수의 케노시스는 성육신적 선교방안을 위한 포괄적인 개념이며, 실천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게다가 자기비움은 선교사가 하나님을 전적으로 신뢰하고 헌신함으로 나아가는 출발점이다. 동시에 케노시스는 선교사가 현지인들과 관계를 맺는 겸손한 용기이다. 결론적으로, 이 개념은 더욱 적절한 선교적 리더십에 필요로 되는 동기부여를 제공한다. The reason for this thesis is to enhance missionary leadership from the perspective of Jesus’ kenosis. The missionary life through Jesus’ kenosis is revealed through His incarnation ― life and death on the Cross. Jesus came as the Servant to serve others; likewise, one needs to imitate the self-emptying life of Christ. Jesus’ self-emptying is portrayed in the biblical passage Philippians 2:7-8, which provides the biblical pattern for missionary leadership (self-emptying - servant posturing - embracing humanity - kenotic humility - transformative obedience). In short, this pattern resolves the limits of the older styles of charismatic leadership. Contemporary leadership, however, is often accomplished by means of hierarchical paradigms that dominate and discriminate against people. Leadership based on paternal authority can obstruct one’s leadership succession. For example, leadership succession where the missionary has retained a paternal and ethnocentric leadership style without changing their approach. Clearly, one frequently carries out one’s own ministry without either leadership succession or an exit strategy before one’s arrival in the mission field. Although the missionary makes leadership succession, s/he often misses succession timing, so this can hinder local churches from growing. For instance, the Korean church grew rapidly by adopting the Nevius principles (self-support, self-government, self-propagation), specifically, economic self-support. But the issue of leadership succession in the mission field does not only concern being economically self-supported. In this regard, Tom Steffen’s leadership succession complements the weak points of the previous models of leadership succession. To sum up, Jesus’ kenosis is a comprehensive idea for an incarnational missionary strategy, and is practically applicable to the mission field. Furthermore, self-emptying is the starting point for a missionary to trust and commit to God entirely, while at the same time, kenosis is the humble courage for one to have relationship with the local people. This concept provides the motivation needed to develop more adequate missionary leadership.

      • ‘순전함’의 선교적 제자도

        김필균(Kim, Pil-kyun) 신학지남사 2020 신학지남 Vol.87 No.3

        예수님의 제자가 갖는 실천적 삶은, 우리가 그분을 닮는 만큼 행하게 되는 것처럼, 믿음의 삶을 위해 우리에게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개혁 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는 모토는 개혁 교회의 불변의 지향점임을 보게 된다. 개혁이 단번에 이루어지지 않는 것처럼 제자도 역시단 한 번에 이루어지지 않으며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현재진행형의 과정 중에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는 일관된 순전함에 반하는 세속적인 유혹들과 종교적 핍박에 타협하고 따르는 비성경적인 가르침에 결코 순종해서는 안 된다. 이를 위해 영어 단어 ‘인테그리티’(integrity, 순전함)는 신앙적인 순전함의 흐름을 유지하는 제자도의 삶을 영위해 나가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가 실천하는 제자도가 얼마나 중요한지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거룩과 변화의 삶을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해 끊임없이 되물어 보는 필요성을 이해하는 데에 있다.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나라에서, 한 개인을 ‘인테그리티’의 사람으로 평가하는 것은 그 사람의 전체 인생에서 가장 찬사적인 표현이라고 한다. 연구자는 ‘인테그리티’에 관한 연구를 선교적 제자의 삶에서 가장 본질적인 것이 무엇인지를 재고찰하는 영적인 도전과 기회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에서 시작하였다. 이것은 순전한 제자가 선교적 영성으로 – 하나님께 더욱 가까이 나아가도록 이끄는 – 주어진 삶을 사는지 혹은 아닌지에 관한 끊임없이 질문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연구자는 ‘인테그리티’의 성경적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인테그리티’의 의미와 관련하여 선교적 제자도의 실천적 의미를 드러내고자 한다. The practical life that Jesus’ disciple has is necessary for the greatest purpose of the Christian faith which means that ‘we follow Him as we take after Jesus Christ.’ The motto that a reformed church should be continuously reformed (“semper reformanda”) is the directing point of the reformed church. As the reformation is not achieved at a time, we see our disciple training as an on-going process of accomplishing continuous reformation. Jesus Christ’s disciples should never agree with unbiblical teaching going after wordly temptations and religious persecution against consistent ‘integrity.’ To this end, the meaning of the English word ‘integrity’ is very important in accomplishing discipleship that keeps religious integr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how significant our discipleship is and simultaneously to practice how we live the life of holiness and transformation. In an English-speaking country, evaluating a person as a man of integrity is the most panegyrical expression in his/her life. The researcher studied in the hope that it would be a spiritual challenge and an opportunity to rethink what the most essential thing in the life of a missionary disciple is. This is to ask repeatedly whether an integral disciple lives on missionary spirituality, leading us nearer to God. The researcher intends to derive the biblical meaning of ‘integrity’ and further to reveal the practical meaning of missionary discipleship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integrity.’

      •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에 입각한 효율적인 지역공공진료정책에 대한 예비연구 -경기도 양주시를 중심으로-

        김필균 ( Pil Kun Kim ),박혜숙 ( Hye Sook Park ) 한국보건복지융합학회 2015 노인의료복지연구 Vol.7 No.2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the public medical service strategy based on the analysis of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KCD) system. We analyzed the data of patients who received public medical service in Yangju-city for 4 years(2011-2014) using KCD-6 system, and selected several main codes of disease based on a statistical significance. Data on each level of health institution were also studied. There was a decrease in the number of patients for every 4 years in every institution. I-, M-, J-, K-, E-code had more patients than other codes of diseases. In a quarterly analysis, only J-cod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