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통합 IVI 시스템 HMI 사용성 평가

        김태훈(Taehun Kim),이승환(Seunghwan Lee),최명빈(Myungbin Choi),이동범(Dongbeum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9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9 No.11

        최근 차량 내 클러스터 게이지, AVN 등의 개별 시스템의 통합화 기술 적용으로 분리되어 있던 정보를 한 디스플레이에 통합하여 표시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벤츠 A-Class 2019와 폭스바겐 Touareg 2019는 AVN 화면에서 클러스터 정보를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테슬라 Model 3는 AVN에서 기존 클러스터 정보 및 차량설정(도어/위도우 잠금 기능, 와이퍼 기능 등) 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통합시스템을 적용하는 차량에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 및 처리해야 하는 정보가 증가하고 있으나 통합시스템을 활용한 기능 및 기능의 사용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는 통합시스템의 적용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기능을 제안하였다. 3가지 컨셉(접근성 강화, 맞춤형 HMI, 적응형 HMI)을 바탕으로 통합 검색, 통합 즐겨찾기, 제안 기능을 도출하였다. 기능의 사용성 평가는 총 32명을 대상으로 Within Subject Design으로 진행하였으며 제안된 기능의 사용성 검증을 위하여 최신 AVN 적용 차량(그랜저)을 기준 차량으로 제안된 기능을 구현한 키오스크(클러스터 및 AVN) 간 비교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 피험자의 과제 수행시간을 측정하였고, 기능 조작에 대한 기억용이성, 일관성, 직관성, 전반적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통합 검색 및 통합 즐겨 찾기의 과제수행 시간은 기준차량과 비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동일한 피험자가 3번이상 반복하여 평가한 제안기능에서는 사용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수행 시간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통합 시스템을 적용한 디스플레이에서 제안된 기능의 효용성을 검증할 수 있었으며, 향후 일부 제안기능의 부족한 부분을 추가 연구 및 검증을 통해 보완한다면, 통합시스템에서 다양하고 많은 정보/컨텐츠를 사용자가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는데 본 연구가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클래스 불균형 조건 하에서 회전체 시스템의 고장 진단 성능을 향상시키는 신호 생성 모델의 정량적 평가

        김태훈(Taehun Kim),고진욱(Jin Uk Ko),이진욱(Jinwook Lee),윤병동(Byeng D. Youn)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11

        In recent years, deep-learning-based fault diagnosis methods for rotating machinery have come into the limelight due to their powerful advantages of exhibiting high accuracy with less intervention of human efforts. To develop reliable and stable deep-learning-based models, there exist two prerequisites that 1) sufficient datasets are secured and 2) the amount of data among several classes is well-balanced. However, compared with the normal state, it is a very struggling task to obtain fault data in real-industrial applications. Hence, the class imbalance problem can lead to worsening the fault diagnosis performance of deep-learning-based models. Stimulated by this motivation, several efforts have been made to achieve data augmentation via two representative algorithms, variational autoencoder and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Unfortunately, the validity of these algorithms has been investigated only through qualitative comparison in the time and frequency domains. There is a great need to devise a quantitative metric that digitalizes the similarity between the experimentally measured and virtually generated fault signal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everal evaluation metrics that have been used in different fields: 1) the effectiveness of the generated fault signals in diagnosis performance and 2) Kullback-Leibler divergence.

      • KCI등재후보

        주택 사업을 위한 마케팅 정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수도권 가격 데이터를 중심으로

        김태훈(Taehun Kim),김현필(Hyunphil Kim) 한국주택학회 2004 주택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주택 및 부동산 사업에 필요한 정량적 분석 모형을 개발하고 그 모형에 기반을 둔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보시스템은 확장 가능하며, 데이터 웨어하우스와 OLAP 의 개념을 활용하여 개발된 것이다. 선행 연구와 비교해서 주택 사업을 위한 정보시스템 관점에서의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분석 모형과 개발된 정보시스템은 사업시기분석, 지역분석, 인구이동분석, 재고시장분석, 미분양현황분석, 수요예측분석, 가격분석 그리고 가격추정분석으로 구성된다. 특히 가격추정분석은 시장가 격에 기반을 둔 가격추정 모형이다. 본 연구의 주요한 기여는 연구 모형 및 정보시스템을 부동산 및 주택분야에 도입하고 개발 절차와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이러한 내용은 기존 연구뿐만 아니라 새로운 연구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공기업 및 민간업체들은 사업추진 주택지역에 대한 분석과 가격 산정을 사전에 예측하여 체계적인 사업계획 수립의 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연구 모형과 정보시스템은 실무적인 관점에서 개발되었고 활용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quantitative analytical models for housing business and to implement an information system based on the models. The information system is extensible and developed under the concept of data warehouse and on-line analytical process. The studies on developing an information systems for housing business are scanty. The models and information systems consists of business time analysis, regional analysis, movement of population analysis, stock analysis, unsold apartment analysis, demand forecasting analysis, price analysis, and price estimation analysis. Especially the price estimation analysis is using a price estimation model based on market prices. The main contributions of this research are to introduce real estate and housing areas to the concepts of the models and information system and to show development processes and methods. These methods can be applied to both past studies and new studies. And the methods are useful to housing companies for building systematic housing business plans. Especially this research provides the practical usefulness of the system for practical business.

      • KCI등재

        문화콘텐츠산업의 생존요인에 관한 분석

        김태훈(Taehu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2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산업 소속기업들의 생존율이 어떠한 지를 파악하기 위해 생존분석을 이용하였다. 즉, 전체 기업의 생존율과 위험률을 추정하였고, 관심 있는 특성별로 생존기간 차이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분석들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연구기간에 설정된 문화콘텐츠산업의 중소기업들 평균 생존율은 74개월이고, 중위수 생존율은 72개월로 추정되었다. 둘째, 세부업종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방송산업, 엔터테인먼트산업, 인쇄출판업의 생존기간이 광고 및 정보제공업과 기타 제조제품업의 생존기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사 소재지별로 차이가 있으며, 영남권의 생존기간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종업원 규모별로 유의하였으나, 생존기간의 패턴이 U-형태로 생존기간이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재무등급과 동업종 종사업력 둘 다 커질수록 생존기간이 증가하였다. 이외의 특성들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기여는 아직까지 적용되지 않았던 문화콘텐츠산업에 생존분석 방법을 적용한 것이고 이것을 기반으로 문화콘텐츠산업의 다양한 분야에 생존분석을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였다는 점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survival rate of small & medium size-cultural contents industry, which includes printing, broadcasting, advertising, entertainment, other manufactures, and so on, by using survival analysis. In this article, after testing significance among characteristic factors and survival rate and hazard rate were estima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re are some significants differences among industries in details. Also there are some significants differences by region, by the number of employees, by financial status, and working periods of CEO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method of survival analysis to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in Korea.

      • KCI등재

        청소년의 맨발리듬트레이닝 프로그램 체험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김태훈 ( Taehun Kim ),김동화 ( Donghwa Kim ),신재한 ( Jaehan Shi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3

        본 연구에서는 맨발리듬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체험한 중학생들의 건강 증진 및 학업스트레스 해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D광역시 G중학교 중 1학년 학생 48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들은 대체로 심리적인 원인과 동기적인 부분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들은 소극적인 스트레스 대처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맨발리듬트레이닝 프로그램 체험을 통해서 신체 건강 및 면역력 향상은 물론, 학업 의지와 성취의욕까지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맨발리듬트레이닝 프로그램 체험의 한계점으로 획일적 음악 사용 및 열악한 운동장 흙 등의 환경적인 측면과 두뇌 자극이 어렵고 재미없는 동작적인 측면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은 유산소운동 등과 같은 적극적인 신체활동을 통해서 스트레스를 해소할 필요가 있다. 둘째, 두뇌 특성을 고려한 뇌기반 맨발리듬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게임이나 놀이 형태의 맨발리듬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on 48 freshmen of G Middle School in D Metropolitan City to find out how the barefoot training program affects the enhancement of their health and the resolution of their academic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were found to be stressed largely due to psychological and motivational causes. Seco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found to be using passive stress response methods. Third, through the barefoot training program experience, not only physical health and immunity but also academic will and desire to achieve more have improved. Fourth, limitations of the barefoot training program experience included environmental aspects such as uniform music use and poor playground soil and movement aspects in that it was difficult to stimulate the brain and uninterest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clusion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need to relieve stress through active physical activities such as aerobic exercise.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brain-based barefoot training program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ain. Third, it is necessary to operate barefoot training programs in the form of games or play.

      • KCI등재

        육체피로와 음성신호와의 상관관계

        김태훈(Kim, Taehun),권철홍(Kwon, Chulhong) 한국음성학회 2015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7 No.1

        This paper deals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fatigue and speech signals. A treadmill task to increase fatigue and a set of subjective questionnaire for rating tiredness were designed. The results from the questionnaire and the collected bio-signals showed that the designed task imposes physical fatigue. The t-test for two-related-samples between the speech signals and fatigue showed that the parameters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fatigue are fundamental frequency, first and second formant frequencies, long term average spectral slope, smoothed pitch perturbation quotient, relative average perturbation, pitch perturbation quotient, cepstral peak prominence, and harmonics to noise ratio.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it is shown that mouth is opened small and voice is changed to be breathy as the physical fatigue accumul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