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essage Sequence Chart의 오토마타 시멘틱 정의 및 시멘틱 오토마타 추출 알고리즘

        김태효(Tai-hyo Kim),차성덕(Sung-duck Cha),배두환(Doo-hwan Bae)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Ⅰ

        Message Sequence Charts는 요구 사항 및 설계 단계에서 시스템의 시나리오 정보를 명세하는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그 정형 시멘틱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여, 자신의 완결성 및 다른 명세와의 일치성 등의 검증이 힘든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Message Sequence Charts의 오토마타 기반 정형적 시멘틱을 정의한다. 제안된 오토마타 기반 정형적 시멘틱은 MSC에서의 모든 경로에 대한 행위를 유지하고, 그 오토마타는 MSC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의 연속과 일치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오토마타의 추출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오토마타 추출과정이 자동화 됨으로써 다른 상태 기반 언어와의 검증등이 용이하게 되고, MSC의 자체 검증에도 도움을 준다.

      • TimeBounder : 실시간 시스템 자동 분석기

        김태효(Tai Hyo Kim),방호정(Ho Jung Bang),차성덕(Sung Deok Cha)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지 Vol.25 No.8

        최장수행시간(Worst-Case Execution Time: WCET)은 실시간 시스템 분석의 기본 정보로 작업 스케줄 분석 등 다양한 분석에 사용된다. 기존의 최장수행시간 분석은 주로 측정에 기반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진 바,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결과의 안전성을 보장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 정적 분석기법을 이용한 최장수행시간 분석 기법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정적 최장수행시간 분석 기법들은 결과의 안전성을 보장할 뿐 아니라, 자동화가 가능하여 분석 시간과 노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imeBounder는 C언어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하는 정적 최장수행시간 자동 분석 도구이다. TimeBounder는 최장수행시간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프로그램 흐름 정보와 분석 결과를 효과적으로 시각화하여 개발자로 하여금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디버깅 및 최적화 과정에 쓰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정보들과 내부적인 분석 기법들은 테스트 데이터 자동 생성 등 다양한 분석에 활용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TimeBounder 실시간 시스템 자동 분석 도구를 소개하고 사용되는 기법들과 활용방안을 설명한다.

      • 태스크 상호작용 테스팅을 위한 MSC 명세로부터의 전체 유한 상태 기계 생성

        이남희(Nam Hee Lee),김태효(Tai Hyo Kim),차성덕(Sung Deok Cha),신석종(Seog Jong Shin),홍인표(In Pyo Hong),박기웅(Ki Wung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01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28 No.9

        MSC는 통신 소프트웨어에서의 병행 수행 태스크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기술하기 위해서 많이 사용되어져 왔다. 요구사항 단계에서 검증된 MSC 명세는 상태 기반의 설계 모델을 합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스트 시퀀스 생성에 사용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는 MSC에 기술된 각 이벤트의 위치정보 만을 이용하여 전체 상태 그래프를 생성함으로써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MSC의 조건문을 시나리오 활성화 조건과 상태 변경을 기술할 수 있도록 확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체 상태 그래프를 생성함으로써 테스트 시퀀스 생성에 이용한다. 생성된 전체 상태 그래프인 GFSM은 시스템의 의미있는 상태 정보와 가능한 메시지 시퀀스만을 가지게 된다. 생성된 GFSM에 기존의 FSM 기반의 테스팅 기법을 적용하여 테스트 시퀀스를 추출할 수 있다. Message Sequence Charts (MSC) has been used to describe the interactions of numerous concurrent tasks in telecommunication software. After the MSC specification is verified in requirement analysis phase, it can be used not only to synthesize state-based design models, but also to generate test sequences. Until now, the verification is accomplished by generating global state transition graph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nly. In this paper, we extend the condition statement of MSC to describe the activation condition of scenarios and the change of state variables, and propose an approach to construct global finite state machine (GFSM) using this information. The GFSM only includes feasible states and transitions of the system. We can generate the test sequences using the existing FSM-based test sequence generation technology.

      • 반례를 이용한 프로그램의 오류 원인 탐지 기법

        신모범(Mo Bum Shin),방호정(Ho Jung Bang),김태효(Tai Hyo Kim),차성덕(Cha Sung Deok)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1

        모델 체킹(model checking)은 자동으로 소프트웨어의 속성을 검증하는 기법으로 그 필요성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시스템이 특정 속성(property)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모델 체커는 반례(counterexample)를 생성하게 된다. 반례는 오류가 발생한 원인을 담고 있는 정보로서 오류를 이해하고 수정하는 작업에 많은 도움을 준다. 하지만 반례가 너무 길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분석에 많은 시간과 자원이 소요되기도 한다. 따라서 자동적으로 반례 안의 오류를 찾아내고 설명을 제공하는 기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추상모델(abstract model)에서 생성된 반례의 오류의 원인을 밝히는 자동화 기법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