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금연 진료 환자에서 니코틴 의존도와 우울감 간의 관련성

        김창수,남가은,정경만,한병덕,조성중,김정훈,엄도현,김태륜,이상우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2

        Background: This study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nicotine dependence and depressive mood in patients who visited a secondary hospital for smoking cessation treatment. Methods: From March 2016 to February 2017, a total of 48 patients who visited the smoking cessation clinic of a secondary hospital in Seoul were surveyed through questionnaires. Nicotine dependence was assessed by the Fagerströ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was used to assess depressive mood. Results: The mean BDI scor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nicotine dependence (P=0.01). In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creasing BDI was associated with higher odds (1.21, 95% confidence interval; 1.02–1.44) of high nicotine dependence after adjusting for all confounding variables. Conclusion: Depressive mood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nicotine dependence among patients who visited a smoking cessation clinic. Consideration of depressive mood in smoking cessation treatment may be helpful for smoking cessation among patients with a willingness to quit smoking. 연구배경: 금연 치료를 받기 위해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니코틴의존도와 우울감 간의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방법: 2016년 3월에서 2017년 2월까지, 서울시 소재 일개 2차 병원 금연 클리닉에 내원한 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니코틴 의존도는 한국판 니코틴 의존도 설문 도구(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로 평가하였다. 우울감 평가는 한국판 벡우울척도(Beck DepressionInventory, BDI)를 이용하였다. 결과:니코틴 의존도가 높을수록 우울 정도도 높았다(P=0.01). 나이,성별, 체질량지수, 음주 여부, 총 흡연기간, 흡연시작 연령을 보정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 BDI의 증가는 니코틴 의존도 오즈비의 증가와 관련되었다. 결론: 금연 진료를 위해 내원한 환자에서 니코틴 의존도와 우울감간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 KCI등재후보

        아침 식사와 학업 성취도의 상관관계: 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결과

        엄도현,조성중,한병덕,정승진,남가은,김정훈,김태륜,이상우,민순홍,이우현,허연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1

        Background: Eating breakfast is important for optimal growth and development in adolescence, and is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as nutrition and health statu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kfast consumption frequency and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Methods: We used data from the 2017 Korea Youth’s Risk Behavior Web-Based Study, conducted by the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64,991 stud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breakfast consumption frequency was examined using logistic regression. Results: Students who consumed breakfast frequently exhibit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as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of appropriate eating habits and breakfast consumption frequency. Further, students who had not received any education about eating habits exhibited low academic achievement. Conclusion: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they should be motivated to eat breakfast every day. Additionally, appropriate education about eating habits need to be implemented at schools and at home to increase students’ breakfast consumption frequency. 연구배경: 청소년기에서의 아침식사는 성장과 발달에서 중요하며영양 및 건강 상태 뿐만 아니라 학업수행능력과도 연관이 있다. 이에중고등학생들의 아침식사 빈도가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2017년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여 아침식사 빈도와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영양 및식사습관에 대한 교육 이수 여부와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과: 아침식사 빈도와 학업성취도의 관련성을 알아본 연구에서 아침식사의 빈도가 높은 집단에서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및식사습관에대한교육이수여부와아침식사의빈도를알아본 연구에서 식습관에 대한 교육 이수 여부와 아침식사 빈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영양 및 식사습관에 대한 교육 여부와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연구에서 영양 및 식사습관에 대한교육을받은적이없는집단에서낮은학업성취도를나타내었다. 결론: 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서는 아침식사를 매일해야 하며 아침식사의 빈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와 가정에서의식사습관에 대한 적극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