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인적자원개발과 중소기업의 지배구조

        김태기(Taigi Kim) 한국경제발전학회 2004 經濟發展硏究 Vol.10 No.2

        한국의 중소기업은 「시장력의 열세-임금 및 근로조건의 열악-기술력의 낙후」라는 악순환의 고리에 빠져있다. 본 논문은 한국의 중소기업이 인적자원 개발을 통해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기업의 지배구조측면에서 찾고자 한다. 지금까지 한국에서 기업의 지배구조문제에 대한 논의는 재벌 대기업에 집중되어 왔고 주식회사제도를 전제로 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중소기업이 대기업과 달리 인적회사의 속성이 강하다는 점을 반영하면서 동시에 유한책임를 인정한는 지배구조에 초점을 맞춘다. 기업의 지배구조문제에 대한 선진국의 정책경험과 특히 미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유한회사 열풍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기업지배구조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JEL : L2, J0) Korea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 have been put into a trap 「disadvantage of market power-decrese in ablity to pay-lack of techonology innovation」. This paper investigates a way for SME to escape from the trap by establishing a proper governance struture of a firm. It focuses on the limited liability company(LLC) which has not drawn attention because previous researches have been discussing corportion mainly adopted by large enterprises. It shows the policy experiences of advanced countries to utilize LLC and their implication on Korean SME.

      • KCI등재

        노동시장정책개혁과 갈등해결의 방향: 국제비교

        김태기 ( Kim Taigi )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소 2016 분쟁해결연구 Vol.14 No.3

        한국은 기술혁신과 세계화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의한 경제의 이중구조와 정규직과 비정규직에 의한 고용의 이중구조가 악화되고, 동시에 숙련퇴화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고령자의 빈곤화가 커지고 여성의 경력단절비용이 올라가며 교육과 노동시장의 괴리로 청년실업이 악화되고 있지만, 노동시장정책을 둘러싼 갈등이 커져 성장 및 생산성 둔화와 고용불안 및 소득불평등이 방치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기존의 연구결과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밝히고 국제비교 관점에서 노동시장정책개혁과 갈등해결의 방향을 제시한다. 한국의 노동시장 현실을 고려하면 노동시장정책개혁은 법제도의 개혁을 넘어서야 하고, 생산물시장의 개혁을 포함해 새로운 경제성장모형을 만드는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며, 기업의 고용과 임금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혁신시스템과 근로자의 노동시장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복지시스템 그리고 노동시장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시스템의 개혁과 연계해서 추진되어야 한다. 노동시장정책개혁에 따른 갈등을 줄이기 위해서는 정책의 방향을 생산성과 고용의 질 제고에 두고, 임금고용문제의 적극적 해결을 규정하고 있는 헌법과 고용불안이 민주주의 위기를 초래하는 정치사회 현실에 부응해 노동시장정책의 역할을 확대하며, 성장의 원리가 인적자본이 기술혁신을 주도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데 맞추어 재정금융정책의 한계를 보완하고 일과 삶의 균형 추구 등 사회 통합적으로 노동시장정책 개혁을 추진해야 한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Korean labor market policies based on the impact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globalization as well as ageing on wage and employment such as lowering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age and productivity, worsening the dual structures of both economy and employment, deepening the povertization of aged, raising the cost of women`s career disconnection and deteriorating overeducated youth`s unemployment. In spite of fundamental changes in labor markets the existing labor market-related policies have neglected the importance of skill and human capital formation failing to secure the quality of employment and social cohesion. Their lack of inter-linkage has caused high cost-low efficiency problem. Comparing international experiences it suggests the direction of reform of labor market policies which need to be coordinated with product market reforms especially de-regulating service industries to make innovation system for sme to raise productivity, welfare system for the aged workers and women to assist skill development and education system for youth to raise enterprises` participation responsibility of firms.

      • KCI등재

        중산층 감소와 정책 공백의 개선방향

        김태기(Taigi Kim)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7 産業關係硏究 Vol.27 No.2

        본 논문은 중산층 감소와 중산층정책의 공백 원인을 국내외 연구를 활용해 조사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한다. 한국은 강력한 중산층정책을 통해서 경제성장과 소득분배의 개선에 성공했다. 그러나 기술혁신과 세계화가 중산층의 분화 및 감소를 야기하고, 시장자유화는 중산층 지원을 위한 정부의 역할을 축소시켰다. 외환위기 이후 중산층의 감소를 막기 위한 복지정책의 강화에도 불구하고 중산층 감소와 중산층정책의 공백 문제는 악화되었다. 학력이 높아진 신중산층의 증가는 민주화와 노동운동의 동력이 되었지만 정치제도의 변화가 생산물시장 및 노동시장의 변화와 조화되지 못해 중산층 감소와 정책의 공백은 지속되었다. 산업과 고용의 이중구조는 중산층의 분화 및 감소를 지속시킨 반면, 중산층 감소에 따른 정치사회 불안의 증대는 유권자의 지각을 왜곡시켜 중산층정책의 개선과 정책의 일관성 확보를 어렵게 만들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치와 경제여건의 변동에 따라 정부가 자의적으로 개입해 중산층 감소에 대응하기보다 기업의 혁신과 교육 그리고 사회복지를 노동시장시스템의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접근하고 정책의 목표를 고용률과 임금 및 생산성 그리고 사회이동성을 제고하는데 두는 신중산층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discusses reasons and problems for middle class policies to be hollowed out and suggests the direction to reform them by applying the related research outcomes of labor economics, political economy and behavior economics on middle class. Korea had achieved both economic growth and income equality owing to strong middle income policies until the 1980s. Even though economic growth and income equality have deteriorated since the 1990s, middle income policies have retreated as market liberalization has been emphasized. In addition, democratization and political instability have reduced concerns for middle class. Like advanced countries Korea has see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globalization to cause job polarization and division of middle class to raise voters’ misperception on middle class policies. Both market failure due to dual economy and political institutions’ failure have brought vicious cycle between changes in middle class and labor market making middle class policies hollowed-out. Since political instability make middle class policies difficult to keep consistency and sustainability, it is necessary to focus on building labor market systems to raise both employment rate and labor productivity as well as to strengthen social mobility.

      • KCI등재

        노동생산성 변화의 원인과 결과

        김태기(Taigi Kim)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6 産業關係硏究 Vol.26 No.2

        본 논문은 1990년대 이후 노동생산성 변화와 그 요인이 다르고 이에 따른 문제 또한 상이한 미국, 일본, 독일의 경험을 비교함으로써 한국의 노동생산성 증대를 위한 시사점을 찾는다. 저생산성의 덫에 걸린 서비스산업과 중소기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적 생산성 정책이 필요하다. 서비스산업은 규제완화와 함께 ICT와 기업의 조직 및 인적자원 혁신 등에 대한 투자 확대와 혁신을 촉진하는 보상제도가 필요하다. 중소기업 보호는 사업에서 기술중심으로 지원은 개별 기업에서 혁신 환경 지원 중심으로 전환해 전문중소기업의 육성과 핵심 기술을 가진 근로자에 대한 파격적인 보상제도가 필요하다. 임금과 생산성을 연동하며 경기변동의 충격을 근로시간 단축으로 흡수하는 유연한 노사관계와 비정규직의 억제와 함께 정규직으로 전환을 뒷받침하는 직업훈련 강화 등으로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해소해야 한다. This paper studies the lessons of US’, Japan’s and Germany’s experience of labor productivity changes to suggest policy directions to Korea. The Korean government needs ‘strategic productivity policy’ to raise especially the productivity of service industry and SMEs. For service industry it supports investment in ICT as well as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human capital development with deregulation. For SMEs it prioritizes protection toward specialized enterprise with its own technology and transforms the focus of assistance from business to technology and fortifies compensation for core skilled workers. It induces flexible industrial relations by tieing wage and productivity as well as shortening working hours to absorb the fluctuation of product demand. For irregular workers it enforces vocational training to move to regular workers’ job.

      • KCI등재

        87 노사관계체제: 평가와 미래

        김태기 ( Taigi Kim ) 한국질서경제학회 2020 질서경제저널 Vol.23 No.1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eatures and problems of the 87 labor relation regime shaped by the democratic movement in 1987 in Korea applying both game theory and variety of capitalism theory and using literature on labor relations. It shows that even though the regime has expanded labor basic labor right due to economic democracy, it has made contradiction as labor market has become dual and middle class has shrunk. It has been led by the militant labor movement of monopolistic large enterprises workers so as to prevent tripartite parties from shaping trust and cooperation and rather put them in legalistic conflict. It is characterized by labor market rigidity as well as labor politics which has lowered consciousness of and responsiveness to technology changes, globalization and ageing, which has made policy arena skewed agains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irregular workers. It is hard to be sustained as it does not match open economy in that fortified employment protection laws have raised gap between economic environment and institutions. In order to make the 87 labor relation regime replaced with new one with both flexible and stable employment, the government should change its existing roles toward expanding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and put emphasis on the reform of labor market policies rather than that of labor laws. It should make policy bargaining arena flat for the regime to work for the majority of workers as the principle of democracy and change labor laws for labor and management to build up trust and cooperation as well as for labor unions to be balanced with right and social responsibility as the Korea Constitution demands.

      • KCI등재

        노사협상이론의 새로운 영역과 적용 :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Public Sector

        김태기 한국노동경제학회 2001 勞動經濟論集 Vol.24 No.2

        노사분쟁과 협상에 대한 경제학의 전형화된 이론은 비대칭 정보 협상이론이다. 전형화된 이론은 논리적인 일관성을 가지고 있지만, 협상의 현실을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심리경제학에 토대를 둔 새로운 협상이론과 타학문 분야에서 진행되어 왔던 협상의 실제에 대한 연구결과를 수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는 새로운 협상이론과 협상의 실제에 대한연구결과들을 살펴보고 전형화된 이론과의 접목 가능성을 검토한다. 새로운 협상이론은 전형화된 이론의 핵심적 가정인 정보의 비대칭성 문제가 협상당사자의 인식과 깊은 관련이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협상의 실제에 대한 연구결과들은 당사자들이 제안을 주고 받는 과정이 전형화된 이론이 가정하고 있듯이 기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리고 협상의 실제에 대한 연구결과들을 노사관계가 불안한 공공부문의 노사분쟁에 적용함으로써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의 노사분쟁과 협상의 차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다. Bargaining theory with asymmetric information is widely accepted to explain labor disputes. Even though it secures theoretical consistency, it needs to be supplemented to explain disputes and negotiation more accurately. This paper shows that it may be assisted by bargaining theories based on the economics of psychology as well as theories on bargaining practices which are popular in other academic fields. The former suggests the occurrence of asymmetric information is related with the perception of the players of bargaining. The latter does they do not exchange offers as the typical theory of bargaining with asymmetric information assumes. When the latter is applied to explain the labor disputes of the public sector, it explains clearly their features and the differences from those of the private sector.

      • KCI등재

        조정의 성공요인 : 노사분쟁의 경우 Labor Disputes

        김태기 한국노동경제학회 2003 勞動經濟論集 Vol.26 No.1

        본 연구는 노동부가 2000년에 실시한 노동위원회 조정서비스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분쟁조정의 성공을 좌우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를 보면 업종이 제조업이거나 노동조합이 민주노총에 소속되어 있는 경우 조정의 성공 가능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정을 받았던 경험이 많은 사업체일수록 노사 당사자들의 자세가 조정 과정에서 합의에 우호적인 방향으로 바뀔 가능성은 낮고 조정안을 수락하지 않을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사 당사자들이 조정위원이 공정하고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조정회의 시간이 길어질수록 조정이 성공할 가능성이 올라간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uccess factors of labor mediation using the Surve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Mediation Service by the Labor Relation Commission which wa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Labor in 2000. When the parties of labor and management which took mediation service belong to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Minju-nochong, they are found to have less chance to change their negotiation attitude favorably toward agreement in mediation process and to adopt an agreement proposal made by the mediator. Those who took mediation service more frequently in the past tend to have lower chance to make use of mediation service successfully. Those who saw the mediators of their dispute to be qualified with fairness and expertise tend to have higher chance. As the time of mediation meeting lengthens, it is more likely for them to reach an agreement with assistance by the mediati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