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강남콩 (Phaseolus vulgaris L.) 의 Triglyceride 조성
김충기,이태규,김상필,엄태붕,양희천,권용주,고석범 한국콩연구회 1988 韓國콩硏究會誌 Vol.5 No.1
강남콩의 지방질을 chloroform-methanol-water(1.2 : 0.8 v/v)의 용매로 추출하고 이를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로 분획한 다음 이들의 지방질 조성과 지방산 조성을 TLC, GLC에 의하여 분리 정량하였다. 강남콩의 총지방질 함량은 1.9%이었으며 이중 중성지방질은 48.2%, 당지방질은 7.5%, 인지방질은 44.3%이었다. triglyceride는 중성지방질중 64.6% 함유된 주성분이었으며 가장 함량이 높은 인지방질과 당지방질로서 phosphatidyl choline은 인지방질 중 32.9%, esterified steryl glycoside는 당지방질중 38.8% 함유되어 있었다. 강남콩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nic, linoleic, oleic, palmitic acid 이었으며 특히 linolenic acid는 그 함량이 높아 총지방질의 경우 37.1%, 중성 지방질의 경우 50.4% 함유되어 있었다.
Charge coupled device의 연구, 개발 및 생산에 관하여
김충기 대한전기학회 1975 전기의 세계 Vol.24 No.6
전자결합소자는 1069년 미국의 Bell Telephone Laboratory에서 W.Boyle과 G.Smith에 의해서 발명된 후 수년간의 각 연구소에서의 개발과정을 거쳐 1975년 1원 소규모 상품화에 까지 이르고 있다. 여기에서 전자결합소자의 동작원리와 발명당시의 많은 문제점들이 개발과정에서 어떻게 해결되었는가를 살펴보고 소규모 상품화에서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점들을 기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