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RD 컨설턴트의 능동적 직무 수행과 직무 열의의 관계: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조절효과

        김추강,배을규 한국직업교육학회 2015 職業 敎育 硏究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RD consultants' job crafting and work engagement. A survey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was composed of three instruments, such as Job Crafting Scale(Tims, Bakker, & Derks, 2012),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ventory(Bae, 2010), and Utrech Work Engagement Scale(Schaufeli & Bakker, 2004).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261 HRD consultants from HRD consulting corporations located in Korea. Collected data was used to test two research hypotheses drawn from the extant literature review. Two hypotheses were as follows; First, HRD consultants' job crafting would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ir work engagement. Second, HRD consulta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ould hav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job crafting and work eng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HRD consultants' job crafting had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work engagement and their self-learning ability had positively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 work engagement. Based upon these results,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HRD 컨설턴트의 능동적 직무 수행이 직무 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있어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갖는 조절 효과를 확인하여 이론적 및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6개 HRD 컨설팅 기업에 근무하는 HRD 컨설턴트를 대상으로 Tims, Bakker와 Derks(2012)의 능동적 직무 수행 측정 도구, 배을규(2010)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측정 도구, Schaufeli와 Bakker(2004)의 직무 열의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회수된 261부 중 불성실한 응답으로 판단되는 8부를 제외한 25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능동적 직무 수행과 자기주도학습 능력, 직무 열의는 모두 정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HRD 컨설턴트의 능동적 직무 수행은 직무 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HRD 컨설턴트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능동적 직무 수행과 직무 열의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HRD 컨설턴트의 능동적 직무 수행, 자기주도학습 능력, 직무 열의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능동적 직무 수행 촉진,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직무 열의 향상을 위한 몇 가지 실천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제약회사 영업사원의 멘토링 기능과 경력 몰입의 관계에 대한 멘토 감성 지능의 조절효과

        배을규,김만수,김추강 한국기업교육학회 2017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mentors’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function and career commitment for medical representatives in a pharmaceutical company. A survey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was composed of three instruments such as Mentoring Function Scale(Noe, 1988), Emotional Intelligence Scale(Wong & Low, 2002), and Career Commitment Questionnaire(Blau, 1988).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251 medical representatives in a pharmaceutical company. The 246 final data excluding 5 insincere and missing value ones was used for analysis. Collected data was used to test two research hypotheses drawn from the extant literature review. Two hypotheses were as follows; First, medical representatives' mentoring function would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ir career commitment. Second, medical representative mentors' emotional intelligence would hav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f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function and career commitment for medical representat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medical representatives' mentoring function had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career commitment and mentors' emotional intelligence had positively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function and career commitment. Based upon these results,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제약회사 영업사원들이 인식하는 멘토링 기능과 멘토 감성 지능, 경력 몰입의 수준을 조사하였다. 나아가 제약회사 영업사원들의 멘토링 기능이 경력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있어 멘토 감성 지능이 갖는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이론적 및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제약회사 영업사원을 대상으로 Noe(1988)의 멘토링 기능 측정도구, Wong과 Law(2002)의 감성 지능 측정도구, Blau(1988)의 경력 몰입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회수된 251부 중 불성실한 응답이라고 판단되는 5부를 제외하고 총 246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약회사 영업사원이 인식한 멘토링 기능은 경력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멘토의 감성 지능은 멘토링 기능과 경력 몰입의 관계를 조절하며, 멘토링 기능이 경력 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멘토의 감성 지능을 높게 인식하는 집단이 멘토의 감성 지능을 낮게 인식하는 집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제약회사 영업사원의 멘토링 기능, 멘토 감성 지능, 경력 몰입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경력 몰입, 감성지능 제고를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평생교육사의 직무 특성과 조직 몰입의 관계에 대한 무형식 학습 활동의 매개 효과

        배을규,강선희,김대영,김추강 한국성인교육학회 2016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lifelong educator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500 lifelong educators of public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in capital area. 336 pieces of the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and all of the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lifelong educator’s informal learning activity incompletely mediated relationship with affective commitment in skill variety and feedback among sub-factors of job characteristics. Second, lifelong educator’s informal learning activity completely mediated relationship with task significant and affective commitment. Third, lifelong educator’s informal learning activity has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and negative effect on continuous commitment. Based upon these results,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to promote lifelong educator’s informal learning activity and enh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이 연구는 평생교육사의 직무 특성과 조직 몰입의 관계에 대한 무형식 학습 활동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Hackman과 Oldham(1976)의 직무 진단 도구, Choi(2009)의 무형식 학습 활동 수준 측정 도구, Allen과 Meyer(1990)의 조직 몰입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수도권 지역의 공공 평생교육 기관에 재직 중인 평생교육사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36부가 회수되었으며(회수율: 67.2%), 모든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평생교육사의 무형식 학습 활동은 기술 다양성과 정서적 몰입, 피드백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사의 무형식 학습 활동은 과업 중요성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생교육사의 무형식 학습 활동은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지속적 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평생교육사의 조직 몰입 향상을 위해서는 평생교육사가 인식하는 직무 특성을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하고, 무형식 학습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평생교육사의 직무 특성, 무형식 학습 활동 및 조직 몰입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제공하고, 평생교육사의 무형식 학습 활동 활성화 및 조직 몰입 향상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