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푸드마일을 고려한 주요수입곡물의 운송단계별 환경영향 및 저감방안 분석

        김찬우,김솔희,정찬훈,서교,Kim, Chanwoo,Kim, Solhee,Jung, Chanhoon,Suh, Kyo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60 No.3

        Transportation and storage technologies, which are key drivers for trade, has increased global trade of agricultural products about 165% from 1995 to 2015. Korea imports 76.2% of grain from major food exporters such as USA, Australia, Brazil, and China. The expected long shipping distances from these countries can seriously cause environmental impacts on various environmental categories such as climate change, particulate matter, and acidificatio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nvironmental implications focused on greenhouse gases (GHGs) and particulate matters (PMs) emissions of imported grains (wheat, corn, and bean) using food miles analysis and life cycle assessment (LCA).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imported crops are estimated by transportation modes using the national LCI database provided by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 (KEITI).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mported wheat comes from USA (29%), AUS (27%), and URK (20%), corn is imported from USA (34%), BRA (29%), and URK (16%), and bean comes from BRA (57%), USA (40%), and CHN (2%); (2) the food miles of imported crops (wheat, corn, and bean) are 3.62E+10, 1.30E+11, and $2.20E+10ton{\cdot}km$, respectively; (3) the potential GHGs and PMs of wheat, corn, and bean are 5.02E+08, 1.67E+09, and 2.84E+08 kg $CO_2e$ and 5.89E+05, 1.83E+06, 3.07E+05 kg $PM_{10}e$, respectively. The output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environmental impacts and carrying distances of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for preparing a plan to reduce environmental impacts.

      • KCI등재

        생태발자국 지수를 통한 제주도 토지자원 활용의 지속가능성 평가

        김찬우,정찬훈,김유안,김솔희,서교,Kim, Chanwoo,Jung, Chanhoon,Kim, Yooan,Kim, Solhee,Suh, Kyo 한국농촌계획학회 2018 농촌계획 Vol.24 No.3

        The residential population of Jeju Island has increased more than 10% for last 10 years. Especially, the tourist population is more than twice comparing to 2005. The population growth of Jeju has brought about large-scale urban development and increased land demands for tourism servic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uman, social, and environmental status of Jeju Island and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capacity of land use using ecological footprint (EF) model. This study shows the changes in ecological deficits of Jeju Island through estimating ecological productive land (EPL) considering EF from 2005 to 2015. The categories of total EF consists of food land, built-up land, forestry, and energy consumption. In order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resort island, we consider not only residential population but also tourist population who can increase land demands. The outputs of this study also provide the potential excess demands of EPL and suggest needs of sustainable management plans for the limited land of Jeju Island.

      • KCI등재

        일-가정 양립정책이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찬우(Kim, Chanwoo),박순애(Park, Soonae) 서울행정학회 2022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공공부문에서 진행된 일-가정 양립정책이 조직의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증하고, 그 영향력이 조직문화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일-가정 양립정책의 실질적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일-가정 양립정책의 시행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두 번째로 일-가정 양립정책이 조직성과를 창출하는 데 있어서, 조직문화를 조절변수로 하여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공무원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한 결과 일-가정 양립정책은 조직의 성과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일-가정 양립정책이 조직성과를 창출하는 데 있어, 조직문화가 부분적으로 조절됨을 알 수 있었다. 관계지향성 및 과업지향성 조직문화가 일-가정 양립정책과 조직성과 사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일-가정 양립정책의 효율적인 운영에 대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또한 조직의 가치관 및 문화에 대한 고려를 통해 조직성과 창출의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verified how work-family balance policies affect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addition, we investigated how the influence differs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culture. To this end, first, the effect of work-family balance policie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verified. Second, the effect of work-family balance policy on organizational culture as a moderating variable in organizational performance creation was verified.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analysis of the public official perception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addition, between work-family balance polici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partial moderating effect. The moderating effect was found in relationship-oriented and task-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this study, strategie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work-family balance policies were presented. In addition, effecti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creation measures were proposed through consideration for organizational culture.

      • 퍼지 방향코드와 확장 은닉 마르코프 모델을 이용한 온라인 한글인식

        김찬우(Chanwoo Kim),김병만(Byeong Man Kim),강오한(Ohan Kang) 한국정보과학회 1997 정보과학회논문지(B) Vol.24 No.5

        온라인 무제약 필기체 한글 문자 인식의 보편적인 특징벡터인 방향코드는 필기체 한글문자에서 자주 발생하는 기울기의 변형이나 국부적으로 발생한 문자패턴의 왜곡들에 대하여 인식률 저하를 보이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방향코드가 가진 결정적인 근사화로 인한 인식 성능 저하를 개선하기 위하여 문자데이터가 가진 방향성분을 결정적으로 근사화시키지 않고 방향성분의 특성을 그대로 보존하는 퍼지 방향 코드를 제안하고 온라인 문자 인식 분야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 은닉 마르코프 모델(Hidden Markov Model)을 확장하여 퍼지 방향 코드를 결합하였다. 퍼지 방향 코드와 은닉 마르코프 모델을 결합하여 구현된 문자인식기는 기존의 방향코드를 사용한 문자인식기에 비해 평균적인 인식률뿐만 아니라 기울기나 국부적인 왜곡에 대해 우수한 인식률을 나타냈다. On-line Korean character recognition systems usually use the directional cham code as a feature vector. However, it causes degradation of recognition rate on hand-written characters that are slanted or locally distorted because it maps a pen movement to a deterministic direction and thus excludes the possibility of other directions. To overcome the problem of the directional chain code, we propose fuzzified directional chain codes in which a pen movement is represented by a vector whose components mean the possibility of each direction and also we extend HMM to handle them.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recognition rate of our approach is better than the approaches that use the directional chain code, especially on characters that are slanted or locally distored.

      • 푸드마일을 고려한 주요수입곡물의 환경영향평가

        김찬우 ( Chanwoo Kim ),김솔희 ( Solhee Kim ),정찬훈 ( Chanhoon Jung ),신바울 ( Paul Shin ),배원길 ( Wongil Bae ),서교 ( Kyo Suh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Transportation and storage technologies, which is one of key drivers for trade, has increased global trade of agricultural products about 165% from 1995 to 2015. Korea imports 76.2% of grain from major food exporters such as USA, Australia, Brazil, and China. The expected long shipping distances from these countries can seriously cause environmental impacts on various environmental categories such as climate change, particulate matter, and acidificatio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nvironmental implications focused on greenhouse gas emissions (GHGs) and particulate matters (PM) of imported crops (wheat, corn, and bean) using food miles analysis and life cycle assessment (LCA).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imported crops are estimated by transportation modes using the national LCI database provided by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 (KEITI).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mported wheat comes from USA (29%), AUS (27%), and URK (20%), corn is imported from USA (34%), BRA (29%), and URK (16%), and bean comes from BRA (41%), USA (31%), and CHN (18%); (2) the food miles of imported crops (wheat, corn, and bean) are 3.62E+10, 1.29E+11, 2.24E+10 ton·km, respectively; (3) the potential GHGs and PM of wheat, corn, and bean are 4.98E+08, 1.55E+09, and 2.86E+08 kg CO<sub>2</sub>e and 5.86E+05, 1.75E+06, 3.12E+05 kg PM10e, respectively. The output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environmental impacts and carrying distances of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for preparing a plan to reduce environmental impacts.

      • KCI등재
      • 해상운송 환경규제에 따른 기술개발이 곡물푸드마일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찬우 ( Chanwoo Kim ),김사명 ( Samyeong Gim ),김유안 ( Yooan Kim ),김솔희 ( Solhee Kim ),서교 ( Kyo Suh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해상운송에서 배출되는 황산화물(SOx)은 전체 운송부문 배출량의 약 60%로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황산화물은 해안지역의 대기오염뿐만 아니라, 산성비, 미세오염물질에 따른 인체질환 등 다양한 환경범주에 대한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국제해사기구(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는 해상운송에서 발생하는 황산화물 배출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2020년부터 선박에 사용되는 연료의 황 함유량을 기존의 3.5%에서 0.5% 이하로 규제하였다. 최근 많은 연구에서는 IMO의 규제에 따른 선박의 연료전환, 탈황시설 설비 등 기술적 대안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효율을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경제적 측면의 효율만을 제시하고 있어, 환경적 관점에서의 효율을 함께 고려할 수 있도록 환경개선효과를 평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 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상운송 환경규제에 따른 기술적 대안에 따른 환경저감효과를 국내에 수입되는 주요 곡물의 무역과정을 대상으로 평가해 보았다. 이를 위해 IMO의 ‘연료 내황 함유량 규제’가 기존의 벙커C유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의 환경영향을 개선하는 데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 해상운송수단이 탈황장치나 LNG 연료를 기반으로 한 선박으로 전환될 경우의 예상되는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기술적 대안에 따른 해상운송과정의 환경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전과정환경영향평가(life-cycle assessment, LCA) 방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환경범주에서 운송수단에 따른 단위 무게·거리 당 발생하는 환경영향을 분석하였다. 해상운송수단의 환경영향범주는 LCIA TRACI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환경영향범주 가운데 해상무역과정에서 발생하는 황산화물과 온실 가스에 주된 영향을 받는 기후변화(greenhouse gases, GHG),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s, PM10), 산성화(acidification)로 선정하였다. 전과정평가를 위한 선박의 모델별 인벤토리는 Ecoinvent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데이터셋을 활용하였으며. 선박의 모델은 사용연료의 고려와 함께 곡물운송에 주로 활용되는 해상운송 모델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는 향후 해상운송의 환경규제에 따른 국제교역을 위한 해상운송과정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범주의 환경영향에 대한 개선효과를 제시하고, 가장 친환경적인 기술적 대안 선택과 적용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증기폭발 압력 하중에 대한 마이크로 버블 군집의 저감 효과 연구

        김찬우(Chanwoo Kim),박현선(Hyun Sun Park),안호선(Ho Seon Ahn)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11

        Steam explosion is a phenomenon which can threat the integrity of the containment structure with high pressure impulses when the molten core drops into a water pool either inside or under the reactor vessel bottom during a severe accident of a light water reactor. For suppressing steam explosion, we focus on the shock wave mitigation effect by microbubble clouds, i.e. the shock-bubble interaction (SBI). Using the SBI model which describes one-dimension shock tube containing bubbly liquid with microbubble clouds, dissipation energy (DE) and damping time (DT) are obtained, which are major indicators of shock mitigation under the microbubble-liquid media. To apply the SBI model to large scales such as steam explosion, candidates of shockwaves from steam explosion are listed for this research from previous researches conducting the steam explosion. Finally, moving distances of the shockwaves are calculated and discussed for shock mitig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