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정보통신활용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관심유형과 실행수준 조사연구

        김찬민,서순식 춘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3 敎育硏究 Vol.20 No.-

        관심에 기초한 혁신 채택 모델인 관심기반수용모형(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을 사용하여 정보 통신 활용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관심유형과 실행수준을 살펴봄으로써 현 상태를 진단하고, 관심유형과 실행수준의 관계를 알아보자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정보 통신 활용 교육에 대한 교사의 관심유형은 정보 통신 활용 교육의 채택여부, 그리고 성별, 나이, 교직경력, 담당학년, 연수유무, 컴퓨터 사용 능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정보 통신 활용 교육의 실행수준은 교사의 성별, 나이, 교직경력, 담당학년, 연수유무, 컴퓨터 사용 능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정보 통신 활용 교육에 대한 관심유형과 실행수준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 인천, 경기 지역 소재 11개 초등학교 교사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유효 응답 총 201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설문에 사용된 측정 도구는 관심도 설문지와 Locks, Newlove, Hall에 의해 개발된 비형식적 면담도구를 토대로 연구자가 변형·개발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선정된 세 가지의 문제를 분석함에 있어 정보 통신 활용 교육에 대한 교사의 관심유형과 실행수준의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x²검증을 사용하여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전반적인 관심유형에서는 무관유형이 가장 많았으며, 정보 통신 활용 교육의 채택 여부에 따른 관심유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교사의 개인적 배경요인에 따른 관심유형에서는 연수경험 유무의 경우 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전반적인 실행수준에서는 수준 3이 가장 많았으며, 교사의 개인적 배경요인에 따른 실행수준에서는 연수경험 유무의 경우 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정보 통신 활용 교육에 관한 교사의 관심유형과 실행수준은 정적으로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EfficientNet 모델 종류에 따른 비디오 분류 성능 비교

        김찬민,박운상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23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06

        이미지 분류, 객체 감지 등에 널리 쓰이는 EfficientNet은 기존에 수동으로 모델의 깊이, 너비, 입력 이미 지의 크기를 조절해 모델의 정확도를 높인 것과는 달리 이 3가지 요인마다의 상관관계를 찾아내었고 이 를 수식으로 만들었다. 이를 실제 데이터인 UCF-Crime 데이터셋에 적용하여 최적의 모델 정확성을 찾는 작업을 통해 적절한 접근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 고측고 광폭형 & 반밀폐형 온실의 고온기 공기환경 분석

        김찬민 ( Chan-min Kim ),김락우 ( Rack-woo Kim ),이승헌 ( Seung-hun Lee ),김우주 ( Woo-ju Kim ),문준섭 ( Jun-seop Mun ),석희웅 ( Hee-woong Seok ),안수빈 ( Su-been Ahn ),이선형 ( Sun-hyoung Lee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후 현상이 심해지고 있다. 여름철 극심한 고온이나 겨울철 한파 등의 이상기후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농업의 피해도 증가하고 있다. 이상기후 현상으로 농업의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외부 환경의 영향이 적은 시설원예의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으나 현재 우리나라의 시설원예농업은 대부분 비닐온실에 의한 소규모 시설원예농업 형태로 이루어져있으며 여름철의 경우 비닐하우스와 유리온실은 환기, 안개분무, 차광커튼 등의 방법으로는 고온을 낮추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고온 환경 극복 온실로 고측고 광폭형 온실과 반밀폐형 온실이 대두되고 있지만 고온 환경에 적합한지 공기역학적인 분석이 필요하나 공기유동은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센서 계측을 통해 예측하는 것은 어렵지만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과 같은 공기유동 시뮬레이션은 물리 법칙을 해석하여 유체의 공기역학적 흐름을 예측하고 가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를 이용하여 고측고 광폭형 온실과 반밀폐형 온실을 설계하여 환기 방식에 따른 고온기 공기 환경 분석을 진행하였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 고온 환경인 아랍 에미리트의 기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외부 풍환경과 작물의 현열 및 잠열 방정식과 작물의 공기저항 값들을 조사하여 CFD 내에 경계조건으로 입력하였다. 환기 방식으로는 자연 환기와 FCU 및 포그시스템을 이용한 강제 환기 방식을 시뮬레이션 Case로 선정하였으며 환기 방식에 따른 시뮬레이션 분석을 진행하였다. 고측고 광폭형 온실과 반밀폐형 온실의 고온기 공기환경 분석을 통하여 고측고 광폭형 온실과 반밀폐형 온실이 고온 환경에 적합한지 평가할 수 있었으며 고온 환경에 적합한 온실의 최적 운영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거라고 판단된다.

      •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종란 부화기 공기유동 및 열환경 분석

        김찬민 ( Chan-min Kim ),김락우 ( Rack-woo Kim ),이승헌 ( Seung-hun Lee ),문준섭 ( Jun-seop Mun ),석희웅 ( Hee-woong Seok ),안수빈 ( Su-been Ahn ),이선형 ( Sun-hyoung Lee ),박정환 ( Jeong-hwan Park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국내 축산업의 경우 국민소득 증대에 따른 수요 증가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축산업 생산액은 육류 소비 증가와 가격 상승으로 연평균 2.3%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가축동향조사에 따르면 한우 371만 두수, 돼지 1,133만 두수, 닭 19,685만 수수, 오리 919만 수수로 국내 가금 산업의 경우 타종의 사육 두수와 비교하여 가장 높은 사육 규모를 가지며 가금 산업의 생산액은 전체 축산업 중 축산물을 제외하고 약 22.5%로 높은 경제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가금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가금류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서는 가금류의 여러 육성 단계를 거쳐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하며 육성단계 중 종란의 부화단계에서 부화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현재 가금 산업 규모가 지속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인공적으로 부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부화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부화기 내부적절한 발육 환경이 조성될 경우 종란 내부의 배자가 폐사할 수 있으며, 세균 침투로 인한 질병 발생 문제와 함께 부화율이 급격하게 감소할 수 있다. 부화기 통하여 종란의 질적 생산성을 높이고 부화율을 증가하기 위해서는 공기유동, 온도, 습도, CO2 등의 발육 환경 요인을 적절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조시스템을 최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환기량, 공조 방식, 전란기 및 종란의 배치 등에 따른 부화기 내의 공기 흐름 분석이 요구되지만 공기 유동은 눈에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센서 계측을 통해 예측하는 것은 어렵다. 하지만,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과 같은 공기유동 시뮬레이션은 물리 법칙을 해석하여 유체의 공기역학적 흐름을 예측하고 가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하여 ㈜대상키우미의 KHS-576 부화기를 설계하여 운영 방식에 따른 내부 공기유동 및 열환경을 분석하였다. 부화기 모델링은 부화기 양쪽 형상의 대칭성을 고려하여 symmetry 경계조건을 적용하여 1/2만 모델링하였으며 계산의 효율성을 위해 종란의 경우 압력 강하량을 측정하여 Porous Media로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부화기의 운영 조건 (팬 속도, 종란 트레이 방향, 종란 트레이 간격)에 따라 Case를 선정하여 시뮬레이션 분석을 수행하였다. 부화기의 운영 조건별 내부 공기유동 및 열환경 분석을 통하여 종란의 부화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화기의 공조시스템 최적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식물공장 내 에너지 부하 분석

        김찬민 ( Chan-min Kim ),김락우 ( Rack-woo Kim ),이승헌 ( Seung-hun Lee ),이승기 ( Seung-kee Lee ),김웅 ( Woong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전 세계적으로 극단적 기상 현상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농작물의 생산 안정성을 저해시켜 식량안보를 위협하고 경제적 피해를 유발한다. 이러한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책으로 기후나 계절의 영향을 받지 않는 시설 내에서 내부 환경을 조절해 작물에 최적의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식물공장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식물공장에서는 환경 조건을 인위적으로 조성하기 때문에 안정성 및 균일성을 유지하기에 한계가 있다. 또한 식물공장 내부의 에너지 환경 인자들은 매우 다양한 요인들이 연관되어 있으며 에너지 흐름에 대한 추적이 어려워 비효율적 운영 및 에너지 과투입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물에너지 시뮬레이션 (Building Energy Simulation, BES)을 이용하여 식물공장의 동적 에너지부하 분석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BES를 이용하여 식물공장의 에너지 교환 및 부하를 동적으로 해석하였으며 여러 상용 프로그램 중 TRNSYS를 이용하였다. 식물공장 내 작물 에너지 교환을 구현하기 위해 선행 연구들의 식을 사용하여 동적 에너지 교환 모델을 설계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검증된 BES 모델을 사용하여 예산지역의 기상데이터를 사용하여 에너지 부하 분석을 실시하였다. 식물공장 최소 환기량에 따른 Case Study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식물공장 내 에너지 절감 방안을 제시하였다.

      • 혈관조영시술 영역에서 환자 불안 유발 인자의 도출 분석과 종사자의 인식차이 비교분석

        박영성,김찬민,권영백,임진오,양슬기,김수환,오제선,하동윤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11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14 No.1

        목적 혈관조영실에서 근무하는 직원들과 시술을 받기 위해 내원하는 환자에게서 불안을 유발 할 수 있는 인자들을 파악하여 직원, 환자 모두에게 동일 설문을 시행한 후 분석된 항목의 결과로 직원과 환자간 불안 유발 인자의 인식차이의 파악과 해소방법을 체계적으로 구축하여 환자의 심리적 안정과 치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인식의 변화와 환경의 개선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2월부터 3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 입원하여 혈관조영실을 내원한 재진 환자 70명(남자47명, 여자23명)과 혈관조영실 직원 33명을 A군(환자), B군(직원)으로 나뉘었다. 설문조사의 종류는 개인적 자기 기입식(personal self administration)방법으로, 설문은 폐쇄형질문 형태로 두 집단에 동일 항목으로 시행하여 인식의 차이와 불안 유발 체감 배수를 알아보았다. 결과 설문의 내용은 일반적인 질문에 관한 8문항, 혈관조영실 시술 대기 중 불안을 유발 할 수 있는 11문항과 혈관조영실 내부환경으로 불안을 유발 할 수 있는 4문항, 시술 장비로 인하여 불안을 유발 할 수 있는 5문항, 시술 중 불안을 유발 할 수 있는 7문항 총 35문항으로 시행하였으며, 두 그룹간의 인식 정도 차이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2-Proportion test를 실시한 결과 p-value = 0.0으로 나타나 불안감을 느낀 그룹과 평안함을 느끼는 그룹의 비율간에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각 항목의 불안 유발 인자 체감 배수의 차이에서도 항목에 따라서는 49배의 인식차이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결론적으로 직원과 환자간의 불안 유발 인자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획일적인 환자응대 및 만족이 아닌 각 업무현장의 실정에 맞는 불안 유발 인자 해결의 가이드 라인이 체계적으로 구축되어야 할 것이며, 환자의 심리적인 안정을 찾아, 치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도로 식재 배치 유형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 분석

        이승헌,김찬민,김락우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3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32 No.4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통해 미세먼지 저감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는 식재를 선정하고 CFD를 이용하여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중앙분리대, 가로수의 식재 배치유형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검증 및분석 방법론을 적용하여 미세먼지 저감 농도를 효과적으로예측하였고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최적의 식재 구조를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가로녹지 식재기준(가이드라인) 마련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도시 도로변 미세먼지 저감 연구 진행에 선행연구의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활용된 기상 데이터는 기상청 자료를 이용한 것으로, 대상 지역에서 직접 실측을 통해 얻은 데이터가 아니기 때문에데이터의 신뢰성에 제한을 둘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중앙분리대와 가로수 배치의 경우 다양한 유형별로분석하였으나 식재 종류는 단일 식재로만 적용하였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현장 데이터 확보 및 실증을 통한 모델의 신뢰도 향상과 다양한 식재들을 적용한 미세먼지 저감효과 분석에 대한 연구가 추가로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적 요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가장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은 도시 지역의 녹지 조성으로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 도시 특성상 도로변에 녹지를 조성할 경우 별도의 녹지 조성없이 대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먼지나 차량에서 발생한 미세먼지가 도로변 가로수에 흡착돼 미세먼지 저감에 효과적이다. 하지만, 미세먼지는 대기 중에 부유하며 존재하고 지역별 미세먼지 농도 차이와 식재 배치 차이로 인해 때문에 미세먼지 농도 현장 측정 및 대기 중 이동 경로에 대해 예측과 도로 식재 배치 유형별 미세먼지 저감효과에 대한 규명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FD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도로 중앙분리대와 가로수의 식재 유형별로 미세먼지 농도변화 및 미세먼지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서는 중앙분리대에 식재가 있는 것이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탁월할 것으로 보이며 가로수에 교목과 관목을 동시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가로녹지 식재 기준(가이드라인) 마련에효과적으로 이용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도시 도로변 미세먼지 저감 연구 진행에 선행연구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The importance of urban green space creation is increasingly recognized as the most realistic and efficient approach for fine dust mitigation in urban areas. Particular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cities, the application of buffer green spaces along roads can maximize the efficiency of fine dust reduction without the need for separate green space cre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fine dust mitigation effects based on the types of plantings in the central dividers and roadside trees in Jeonju City, Jeollabuk-do. To do this, we controlled various external variables of urban space and considered the planting arrangement types in the central dividers, carrying out the analysis using a CFD simulation. The simulation results confirmed that the central dividers with plantings demonstrated more effective ultrafine dust reduction than those without. Moreover, the arrangement of roadside trees showed a greater ultrafine dust reduction effect when adopting a multilayered structure compared to a single layer. Based on these findings, we concluded that installing both trees and shrubs simultaneously in the central dividers and along roads was effective for ultrafine dust mitigation. On this basis, we quantified the dust reduction effects of plants in urban street environments and proposed planting guidelines for roadside green spaces to improve air quality.

      • KCI등재

        도시공원 면적이 유아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과관계 연구

        권나연,김찬민 한국통계학회 2023 응용통계연구 Vol.36 No.1

        Many existing studies have foun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green spaces, including urban parks, and children's happiness. Furthermore, it was implied that the area/proximity of the urban park would be effective in enhancing infancy happiness. However, inferring causal effects from observed data requires appropriate adjustment of confounding variables, and from this perspectiv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area of urban parks and children's happiness has not been well understood. The causal effect of urban parks on children's happiness was estimated in this study using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s methods for adjusting confounding variables, regression adjustment using a regression method, weighting method, and matching method were used, and key concepts of each method were described before the analysis results. Confounders were chosen for the analysis using a directed acyclic graph. In contrast to previous research, the analysis found no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ize of the city park and children's happ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