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Understanding of Imagery and Applications of Common , Dual and Triple Coding Theories for Motor Learning : A Review

        김진구(JinGuKim) 한국체육학회 1999 한국체육학회지 Vol.38 No.2

        스포츠 심리학자들은 운동학습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중재전략의 하나인 심상연습을 많이 사용한다. 심상이란 유사지각이나 유사감각의 한 형태로 시각, 청각, 감각, 후각, 촉각 등을 사용하여 사물의 현상이나 물질을 상상하거나 표상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스포츠 심리학에서 사용한 대부분의 심상기술은 단순히 운동기술을 신체적인 연습 없이 그 기술을 상상해 보는 것이 고작이었다. 또한 현장에서는 이미지 트레이닝이라고 부르며 시합전이나 중에 미리 시행할 기술을 반복 상상해 보는 것이 심상이었다. 그러나 심상은 기억과 표상화에 바탕을 둔 인지정보처리 기제로서 단순히 무엇을 상상한다고 해서 뇌에 기호화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어떤 과제에 경험이 없는 초보자가 심상 연습을 한다고 해서 심상의 효과가 곧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심상을 과학적으로 설명해 주는 것이 공통 기호화, 이중 기호화, 그리고 다중기호화 이론이다. 공통 기호화와 이중 기호화 이론이 시각과 청각 자극을 바탕으로 심상 현상을 설명하는 반면 다중 기호화 이론은 청각이나 시각 외에 감각을 부여시킨 이론으로 운동상황에서 중요시되는 신체적인 면을 강조한다. 연구자가 운동과 관련시켜 심상을 연구할 때 단순히 상상을 전제로 하는 심상이 아니라 표상화 시스템을 전제로 하는 기호화 이론에 입각하여 연구를 하여야만 심상 효과의 원인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심상의 효과가 시각적, 청각적, 그리고 감각적 자극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심상의 원리를 인지하게 됨으로써 심상연구의 질적 향상을 물론 응용적 측면에서도 많은 도움이 있으리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논고는 스포츠 상황에 적용할 만한 심상 이론들을 소개할까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common, dual, and triple coding theories which may be essential elements for imagery research. The present paper should provide answers: Do different imagery system exist for auditory, visual, and kinesthetic imagery? If different imagery system exist, will alternative forms of imagery instructions produce different levels of skill achievement in a motor skill? Recently, several coding theories have emerged which suggest that information is received and processed in various ways until eventually it is outputted as observable motor activity. Three theoretical explanations of coding have been proposed by cognitive psychologists and they are discussed in this section. They are: (1) common coding theory, (2) dual coding theory, and (3) triple coding theory. With the use of visual imagery to facilitate movement skills, subjects are often asked to observe a model, film, videotape, or actual demonstration, and then are requested to imagine the specific actions within the appropriate situation. With the auditory imagery technique, subjects listen to auditory instructions, such as with an audiotape, and then are asked to image the event. The use of kinesthetic imagery is an approach that provides a new perspective which is absent from the other two forms of imagery. Researchers have demonstrated that each type of imagery technique can benefit motor learning and performance, although, on occasion, the results are contradictory. Therefore, it would be benefit if the three different coding theories applied for imagery research for motor learning.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운동 탈진이 선수의 인지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

        김진구(JinGuKim),박현권(HynKwonPark),여윤기(YunGhiYeo),김성운(SungWoonKim) 한국체육학회 2015 한국체육학회지 Vol.5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탈진이 체육고등학교 학생선수들의 인지정보처리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P300의 진폭과 잠재기를 통해 알아보고, 운동탈진에 대한 뇌신경생리학적인 기초정보를 선수와 지도자에게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는 D시에 있는 체육고등학교 160명을 대상으로 운동 탈진 검사 후 중앙치 66점을 기준으로 상위20%와 하위 20%의 피험자를 선별하여 운동탈진이 높은 집단(n=12)과 운동탈진이 낮은 집단(n=12)로 선정하였다. 피험자는 남자 20명, 여자 4명이며 평균 연령은 18.1세(SD=.45)였으며, 대부분 육상관련(단거리, 중장거리, 높이뛰기 등)선수들로 평균 선수경력은 5.21년(SD=.78)이였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행동수행 분석에서 각 집단에 대한 독립변인t검정과 ERP 분석에서는 2(집단)×3(영역)에 대한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종속변수는 오드볼 과제 시 반응시간과 정확률 및 P300의 진폭과 잠재기이다. 운동수행의 정확률에 대한 분석한 결과, 탈진집단과 통제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운동수행의 반응시간에 대해 분석한 결과, 탈진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반응시간이 유의하게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ERP 분석에서 P300의 진폭을 분석한 결과, 탈진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P300의 잠재기에 대해 분석한 결과, 탈진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길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탈진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는 주의력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제수행에 있어 정보가 느리게 처리되어 탈진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의사결정과정이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urnout on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in adolescent athletes. One-hundred sixty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the Burnout Scale. Twenty-four participants were then assigned to one of two experimental conditions: Higher Burnout group (n=12) and Lower Burnout group (n=12). Their ages ranged from 17 to 19, with a mean age of 18.1 years.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ata was analyzed using a independent t-test and two-way ANOVA (2 groups × 3 region). Dependent variables were reaction time, response accuracy, amplitude, and latency. The P300 data obtained from the two experimental groups were compared. The electroencephalographic data collected from Fz, Cz, and Pz were used to assess the latency and amplitude of P300 during an oddball task.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Higher burnout group yielded shorter reaction time and longer P300 latency than the Lower burnout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xperience of burnout is associated with the decline of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in adolescent athletes.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프로 스포츠구단 브랜드 인지에 대한 스포츠팬의 뇌 생리적 변화: fMRI 연구

        김진구(JinGuKim),김성운(SungWoonKim),김준수(JunSooKim) 한국체육학회 2012 한국체육학회지 Vol.5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팀 충성도에 따른 프로 스포츠구단브랜드 인지에 대한 스포츠팬의 심리를 fMRI의 연구를 통해 조사하는 것이다. 이 실험에 참가한 피험자들은 KBO H구단의 팬 12명으로 모든 피험자는 오른손잡이이며 22.4세였다. 블록 디자인을 사용한 이 연구과제에서의 자극은 H구단과 S구단의 엠블렘 및 마트코트를 이용한 기념품 사진을 fMRI의 head coil에 설치된 LCD 모니터를 통하여 제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MATLAB 6.5 프로그램 환경에서 구현되는 SPM2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이 연구결과 자기와 관련되는 정보를 처리할 때 활성화되는 영역인 내측전두이랑, 친숙한 브랜드 제품을 선택할 때 활성화되는 상전두이랑, 과거 자신의 즐거운 경험을 떠올릴 때와 대상들 간의 관련성이 있을 때 활성화가 되는 해마옆이랑, 그리고 행복한 개인적 사건의 회상에 의해 행복한 정서상태가 되었을 때 또는 기쁨 자극을 경험하는 동안 활성화되는 상측두이랑이 유의하게 활성화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충성도가 높은 팬은 자기가 좋아하는 팀의 브랜드 이미지가 자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대상으로 인지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자기가 좋아하는 팀의 브랜드 이미지는 충성도가 높은 팬들에게 큰 긍정적 자극으로 인지되어 호감과 만족감과 같은 긍정적인 정서를 이끌어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팬의 충성도가 강하면 강할수록 자기가 좋아하는 팀 경기의 반복입장과 팀 관련 상품 구매 등 팬 충성도에 따른 다양한 호감 행동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프로 스포츠구단은 팬의 팀 충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전략적 접근방법을 개발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affection on professional sports team influences the team brand recognition and the brain activation of fans. The subjects of this experiment consisted of 12 male fans of the Hanwha (H) Team in the Korean Baseball League. All the subjects were right-handed and their average age was 22.4 year. To examine the cerebral activation during the observation of the manufactured goods with the team mascot and logo, twelve home team fans of the Hanwha Eagles professional baseball team were instructed to observe with their attention six different images presented to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ctivation of medial frontal gyrus activated in self-referencing, superior frontal gyrus activated when choosing familiar brand products, parahippocampal gyrus activated when there is contextual association among objects, and superior temporal gyrus activated while experiencing pleasant stimuli. This suggests that sport fans with high affection perceive their favorite team`s brand image to be closely relevant to themselves and that the brand image of the favorite team is recognized as a strong positive stimulus to the fans with high loyalty and induce positive emotions such as good feeling and intimacy.

      • KCI등재

        사격 조준시간 고정훈련에 따른 뇌파와 심박 수 변화

        이건영(GunYoungLee),김진구(JinGuKim),류광민(KwangMinRyu),우민정(MinJungWoo) 한국체육학회 2013 한국체육학회지 Vol.52 No.6

        본 연구에서는 조준시간 고정훈련이 사격선수의 조준동안 뇌 활성화, 심박수, 조준시간, 그리고 사격점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13명의 고등학교 사격선수 (남=12, 여=6)가 실험에 참여하였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17세(M=17.8)로 평균 경력은 4.2 년이었다. 본 연구의 과제는 10 m 공기권총 사격으로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들에게8주간 조준시간 고정 훈련을 실시하였다. 피험자들이 10 m 공기권총 사격 60발 수행을 실시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대뇌 피질의 활동과 심박 활동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실험설계는 측정시점(2)×영역(8)에 대한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는 각 영역에 대한 세타, 로우알파, 하이알파, 알파, 로우베타, 하이베타, 베타, 감마 파워 값이다. 그리고 심박수와 사격점수에 대한 훈련효과는 반복측정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조준시간표준편차는 훈련 후가 훈련 전보다 편차가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심박수 변화의 편차는 훈련 후가 훈련 전보다 감소하였다. 전두엽 영역에서 세타 상대 파워는 감소하였고 베타 상대 파워는 타겟을 조준하는 동안 증가했다. 이러한 결과는 조준시간 고정 훈련이 조준과정의 안정성과 사격수행의 향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iming time fixation training on cerebral cortical activity, heart rate, aiming time, and air-pistol shooting performance. Thirteen high-school shooters (male=7, female=6)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and their average career was 4.2 years of experience. Their ages ranged from 17 to 19 years (M=17.8). Participants enrolled in a 8-week training program. Experimental task was 10m air-pistol shooting. Continuous cerebral cortical activity and heart rate activity were monitored while they perform 60 trials. Repeated two way ANOVAs have been conducted to see the influence of trainning on powers of theta, low-alpha, high-alpha, alpha, low-beta, high-beta, beta, gamma band at F3, F4, C3, C4, T3, T4, Fz, and Cz electrode sites. Repeated one way ANOVA have respectively conducted to see the influence of training on heart rate, shooting scores. As the result, shooting score and consistency of aiming time were higher in after training relative to before training. and deviation of heart rate fluctuations decreased after training. In the frontal area, theta relative power decreased and beta relative power increased during aiming the target. This result implies that aiming time fixation training increase shooting score by elevating the stabilization of aiming procedure.

      • KCI등재

        스포츠심리학 : 시각적 심상을 통한 운동학습 방해 요소 통제

        전현정(HyeonJeongJeon),김진구(JinGuKim),정상택(SangTackChung) 한국체육학회 2005 한국체육학회지 Vol.4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sual imagery on the control of visual and auditory distractors. Forty-five subjects who had not experienced in golf-putting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heir ages ranged from 18 to 28, with a mean age of 22.3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conditions: (1) control group(n=15), (2) auditory distraction group(n=15), (3) visual distraction group(n=15). Nova-strobe(U.S.A) was used to provide subjects for visual distraction. A cassette was used to provide subjects for auditory distraction(noise of 86dB). The visual imagery group watched a videotape that contained golf-putting stroke demonstrations without any verbal description. A golf-putting test was administered to all subjects. An indoor mini-golf set was used. Target consisted of a 1.5m x 1.5m square grid with lines drawn lengthwise and crosswise at 5cm intervals. Subjects performed 40 acquisition trials followed by 20 retention trials.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revealed significant main effects for group and times on the absolute error(AE), adjusted variable error(AVE), and radial error(RE) in the acquisition as well as retention phases. Subjects in the visual distraction group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control group. Visual distraction group seemed to be better than the auditory distraction group.

      • KCI등재

        스포츠심리학 : 선택적 주의과제에서 시각자극 난이도에 따른 뇌파변화

        이정희(JungHeeLee),김진구(JinGuKim),정상택(SangTackChung),김성운(SungWoonKim),이인희(RenXiLi) 한국체육학회 2005 한국체육학회지 Vol.4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300 by gradually increasing the visual stimulus and the subject identification degrees to find out the reaction changes inside the information processing part of the brain. Subjects consisted of 14 University students, whose ages ranged from 21 to 26 with an average age of 21.5. The subjects were ordered to divide five circles into 3(task3), 4(task4), 5(task5), 6(task6) and 7(task7) parts. After dividing, subjects were shown an image of one of the previously divided circles and then asked to react the presented images match from one of the five circles laid out before then. Resul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average ranges of Fz, Cz, Pz, O1 and O2. Results showed that correct responses to magnetic pole identification in task3 was higher than task7. P300 latencies of subjects were also higher in task3 than task4, task5 and task6. Comparison of amplitude and latency ranges revealed that Fz, Cz, and Pz had high amplitude but long latencies, while O1 and O2 had low amplitude but short latencies. In addition, standard stimulus showed a higher amplitude and longer latency than target stimulus, which showed low amplitude and short latency. In conclusion, P300 may be associated with task identification and decision making. Higher amplitudes suggest that the brain needed more cognitive effort which may have resulted in the delay of the actual condition. This study may help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s of identification and the brain's cognitive process in brain neurophysiology.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자기효능감 차이에 따른 인지정보처리 변화: P300

        김성운(SungWoonKim),김진구(JinGuKim),이건영(GunYoungLee)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P300의 진폭과 잠재기를 통해 자기효능감 차이에 따라 유발되는 인지정보처리과정을 밝히고자 한다. 이 연구는 남자 대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신체적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한 후, 중앙치 점수 90점을 기준으로 상위 20%와 하위 20%의 피험자를 선별하여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피험자(n=10)와 낮은 피험자(n=10)로 선정하였다. 이들의 나이는 19-29세였으며, 평균연령은 24.3세였다. P300의 진폭과 잠재기는 10명의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과 10명의 자기효능감이 낮은 집단을 비교하여 얻었는데, 200장의 사진(목표자극 40, 표준자극 160)을 무작위로 빔 프로젝트 화면에 제시하여 연구대상자는 목표자극이 제시되었을 때만 버튼을 누르도록 하였다. 뇌파는 Fz, Cz, Pz 그리고 O1에서 P300의 진폭과 잠재기를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집단(2)×영역 (4)×자극(2)의 3원 요인분산분석(three-way factorial ANOVA)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P300을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이 자기효능감이 낮은 집단보다 P300의 잠재기가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according to high self-efficacy and low self-efficacy using P300. One-hundred fifty university students (male, ages 19-29 years, M=24.3, SD=3.42) completed the Physical Self-Efficacy Scale. Twenty-four participants were then assigned to one of two experimental conditions: High Self-efficacy group (n=10) and Low Self-efficacy group (n=10). The P300 data obtained from the two experimental groups were compared. Two-hundred stimuli (40 target stimuli, 160 standard stimuli) were randomly presented via a projection monitor and the participants told to press a button to indicate the appearance of a target stimulus. The electroencephalographic data collected from Fz, Cz, Pz, and O1 were used to assess the latency and amplitude of P300.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High Self-efficacy group produced a shorter P300 latency than the Low Self-efficacy group.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스포츠에서의 반어적 심리과정에 대한이론적 고찰

        권은진(EunJinKwon),문두환(DooHwanMoon),김진구(JinGuKim) 한국체육학회 2008 한국체육학회지 Vol.4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상황에서 발생하는 반어적 심리과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심리조절의 반어과정 이론(Wegner, 1994)은 자기의 의도, 감정, 행동, 인지방향 등에 대해 반대로 작용하는 느낌이나 행동, 생각을 말하는데, 심리적 기술과 같은 중재전략을 사용함으로써 선수들의 운동수행을 최대로 향상시키기 위해 스포츠 심리학자들에 의해 최근 제안되고 있는 이론이다. 반어적 심리과정은 자신의 생각이 목표했던 것과 일치하도록 노력하는 의식적인 운영과정과 무의식적 수준에서 발생하는 수동적이고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무의식적 관찰과정의 상호작용을 통해 성취된다. 그리고 심리조절은 만족스러운 심리상태와 긍정적인 생각과 함께 정상적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의식적인 부담이나 부정적인 생각을 가질 때 반어적 심리과정은 나타나게 된다. 스포츠심리학의 문제는 심상, 자신감, 고통지각, 무드상태 조절, 불안과 주의집중을 위한 특별한 상황을 가진 반어적 심리과정의 이론에 관해 해석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ironic mental process occurs in sports. The theory of ironic processes of mental control (Wegner, 1994), which refers to feeling in ways that are opposite to one's intention, emotion, action, or recognition, is rising as a recent issue confronted by sports psychologists in order to maximize athletes' performance-enhancement by using ways such as psychological skills. The theory holds that ironic mental process is accomplish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an cognitive operating process which tries to harmonize one's thought with his/her designated goal and an unconscious monitoring process which is passive and salient and emerges in emergency existing on unconscious level. And the mental control operates normally together with satisfactory mental state and positive thinking. When one has a cognitive load or negative thinking, however, the ironic mental process occurs instead. The issue of sports psychology is interpreted considering the theory of ironic mental process, with specific reference to imagery, self-confidence, pain perception, mood state regulation, anxiety, and attention.

      • KCI등재

        자연과학편 : 12주간 저항운동이 젊은 여성의 슬개대퇴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박미희(MiHeePark),송종국(JongKookSong),김진구(JinGuKim) 한국체육학회 2007 한국체육학회지 Vol.46 No.4

        이 연구는 저항운동이 20-40세 여성의 슬개대퇴증후군(Patellofemoral pain symdrome: PFPS)의 통증과 기능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2006년 4월 25일부터 9월 30일까지 슬개대퇴증후군을 가진 서울시내 직장 여성 31명을 대상으로 통제군(n=13)과 운동군(n=18)으로 구분하여 통증(Visual Analog Scale, VAS)과 활동수준(Tegner, Lysholm), 기능동작(원심성 스텝, 전내측 런지, 한발뻗기)과 근력(60, 180°/sec)을 측정하였다. 운동군은 주 3회, 60분 정도 12주간 서울 소재 P병원 스포츠메디컬센터에서 저항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각 변인에 대한 그룹 간, 측정시기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repeated Two-way ANOVA를 실시하였다. 12주간의 저항운동 후 VAS는 운동군이 통제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아졌고, Tegner와 기능동작은 운동군이 통제군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무릎 근력에서 우측 신전근력은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신전 결손율은 감소하였다. 슬개대퇴증후군은 일반군에 비해 통증, 활동수준, 기능동작에 차이를 나타내어 임상적 가치를 나타냈으나, 무릎의 굴신 동작만으로는 기능적인 무릎의 통증을 측정하는 것은 무리가 있는 것으로 고려되었다. 12주간의 저항운동은 통증, 활동수준, 기능동작과 무릎 신전근력의 향상을 가져왔으며, 슬개대퇴증후군의 치료와 예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12-week resistance exercise on pain and functional activity for office worker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We obtained VAS, activity level, functional activity and strength from subject who were assigned to either control group(CG, n=13) or exercise group(EG, n=18) through 25th Apr. 2006 to 30th Sep. at Sports Medical Center of the P Hospital. EG attended a 12-week resistance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60 minutes and 3 times per week. Statistical analyses were analysed repeated two way ANOVA to search effect on exercise. After 12 weeks exercise VA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EG and Tegner score and functional activit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Rt knee strength was significantly improved and decreased deficit of extension streng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was clinical worth pain, activity level and functional activity compare to CG but knee pain of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was not appropriately assessed by just knee flexion and extension motion. We can consider for this study that resistance exercise for 12 weeks has improve pain, activity level, functional activity and extension strength also will has valuable patients treatment and prevention.

      • KCI등재

        스포츠심리학 : 자기통제피드백이 골프 퍼팅 수행에 미치는 영향

        문두환(DooHwanMoon),정상택(SangTackChung),김진구(JinGuKim) 한국체육학회 2003 한국체육학회지 Vol.4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self-controlled feedback on the performance and learning of a golf putting task. Thirty-six high school student (36 females) whose ages range from 16 to 18 years (M = 17.9)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experimental conditions: (1) self-controlled group(n=12), (2) yoked group(n=12), (3) control group(n=12). Subjects performed 40 acquisition trials followed by 20 retention trials. ANOVAs with repeated measures were performed on the various dependent variables; absolute error(AE), variable error(VE), directional error(DE), and radial error(RE).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revealed significant main effects for Groups and Times on the absolute error(AE), variable error(VE), and radial error(RE) in the acquisition phase. Participants in the self-controlled performance feedback condition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other groups in the radial error(RE). Analysis suggests that a feedback schedule which is controlled by the learner may be a more effective means of delivering augmented feedback than other schedules which have been exam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