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생태계 종적 연결성 평가를 위한 국내외 연구 현황 및 어류기반 종적 연속성 평가모델 적용성 분석

        김지윤,김재구,배대열,김혜진,김정은,이호성,임준영,안광국,Kim, Ji Yoon,Kim, Jai-Gu,Bae, Dae-Yeul,Kim, Hye-Jin,Kim, Jeong-Eun,Lee, Ho-Seong,Lim, Jun-Young,An, Kwang-Guk 한국환경생물학회 2020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8 No.4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하천에 중소형 보(Weir) 및 각종 구조물(어도) 건설이 건설되면서 수생태계의 단절 및 훼손이 보고되고 있고, 이들은 수생태계 건강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면서 수생태계의 종적 연결성 평가가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생태 건강성 확보를 위한 일환으로 수생태계 종적 연결성 평가를 위한 국내외 연구 현황, 선진국의 어류 기반 종적 연속성 평가모델 개발 및 현장 적용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 하천의 종적 연결성 현황 및 구조적 문제점, 어류 모니터링 기법 및 현황, 종적 측면의 어류 이동성 단절 및 종 다양성 영향에 대한 현황분석을 하였다. 또한, 물리적 서식지 적합도 평가, 환경생태유량 평가 및 어류 서식처 모의를 위한 생태-수리모델링의 기술적 한계 등에 대한 연구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어류 유영력 기반 이동성 분석 및 행위자 기반(ABM) 어류행동예측 프로그램개발에 대한 현재 기술의 한계성도 제시하였다. 전 세계에서 적용된 하천 종적 연결성 평가모델 및 기법(프로토콜)에 대해 문헌, 자료 및 다양한 모델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에 따르면, 첫째, 하천 구조물과 어류 유영속도, 점프력 등의 지표 기반 평가기법, 둘째, 직접 현장 어류조사 및 모니터링 기법, 셋째, 하천지형학적 접근방식 평가 기법 및 구조물 기반 DB 구축기법 및 넷째, 하천 연계성 지수 평가법 등으로 분석되었다. 종적 연결성 평가모델의 조사방법론 및 적용성 평가 결과에 따르면, 유럽권의 ICE 모델(Information sur la Continuite Ecologique)과 ICF 모델(Index de Connectivitat Fluvial)을 우리나라에 수정보완하여 적용할 경우 적절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Recently, stream longitudinal connectivity has been a topic of investigation due to the frequent disconnections and the impact of aquatic ecosystems caused by the construc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weirs and various artificial structures (fishways) directly influencing the stream ecosystem health. In this study,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research trends of the longitudinal connectivity in aquatic ecosystems were evaluated and the applicability of fish-based longitudinal connectivity models used in developed countries was analyzed. For these purposes,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longitudinal connectivity and structural problems, fish monitoring methodology, monitoring approaches, longitudinal disconnectivity of fish movement, and biodiversity. In addition,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some technical limitations of physical habitat suitability evaluation, ecology-based water flow, eco-hydrological modeling for fish habitat connectivity, and the s/w program development for agent-based model. Numerous references, data, and various reports were examined to identify worldwide longitudinal stream connectivity evaluation models in European and non-European countries. The international approaches to longitudinal connectivity evaluations were categorized into five phases including 1) an approach integrating fish community and artificial structure surveys (two types input variables), 2) field monitoring approaches, 3) a stream geomorphological approach, 4) an artificial structure-based DB analytical approach, and 5) other approaches. the overall evaluation of survey methodologies and applicability for longitudinal stream connectivity suggested that the ICE model (Information sur la Continuite Ecologique) and the ICF model (Index de Connectivitat Fluvial), widely used in European countries, were appropriate for the application of longitudinal connectivity evaluations in Korean streams.

      • KCI등재

        신선육자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김지윤,박해진,김미려,Kim, Ji Yoon,Park, Hae-Jin,Kim, Mi Ryeo 대한본초학회 2017 大韓本草學會誌 Vol.32 No.5

        Objective : The Sinseon-yukza-hwan (SSY), a Korean medicinal formula which includes Radix Rehmanniae Preparata and other medicinal herbs, has long been used for treatment of alopecia and gray hair through oral administration. This study is designed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natural materials in hair and scalp-related cosmetics. Possibility of SSY as an antioxidant was examined from its 50% ethanol extract. Methods : The antioxidative capacities were evaluated by determining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educing power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sults :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SSY were 25.53 mg TE, tannic acid equivalent/g and 18.90 mg RE, rutin equivalent/g, respectively, which correlated strongly its antioxidative activity. The DPPH an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SSY at $0.1mg/m{\ell}{\sim}5mg/ml$ were ranged from 20% to 85% and 10% to 58%, respectively. Also the hydroxyl radical scavenger activity and reducing power increased in SSY-treated group, which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SY-compared to BHA-treated group. But the highest reducing power was shown as 79% from SSY-treated group, which was higher value than 65% from BHA-treatment. These results showed that SSY extract effectively inhibited the generation of free radicals in the all assay system with dose-dependent manners. Conclusions : Thus, the present study provide preclinical data to support the expanded application of SSY, which could be potential candidates for natural antioxidants.

      • SCOPUSKCI등재

        고등학생의 남녀평등의식에 관한 연구

        김지윤,안채순,Kim Ji Yoon,Ahn Chae Soon 한국아동간호학회 2000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6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degree of Korean Gender Egalitarianism among the students from six different high schools(132 girls, 127 boys) in Sunchon si, Chunnam province from Dec. 7th to Dec. 15th in 1999. The survey on gender egalitarianism was done in relation to the public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matter, parents' hug times, and parent's communication skills. Korean gender egalitari- anism scale was standardized by Korea Woman Developmental Institutes in 1999. The data was analyzed by SAS program. Results were as follows: 1) Generally, girls are more conscious of gender egalitariannism than boys(t=-13.79, p<.001). Above all, the younger the students are, the more they feel equal(F=8.01, p<.01). In sibling cases, two sisters have the highest level of gender egalitarianism while two brothers have the lowest level of gender egalitarianism(F=9.20, p<.001). Students who come from religious families are more inclined to demonstrate gender equality(t= 2.42, p<.05).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in relation to the parents' ages or academic background or harmony within the family. 2) There is no difference that girls and boys generally communicate with their parents. In ages, 17 years old students communicate more than 18, 19 with parents(father F=3.97 p<.05ㆍmother F=5.31, p<.01). That is, the younger students can communicate with their mothers more often than the older ones. In sibling cases, two sisters have more openly communication to parents while two brothers have(F=2.84, p<.05). Students communicate with their parents regardless of parents' academic background. But those from the family in harmony have more open chance to communicate than those who are not in hamony(father F=21.66, p<.001ㆍmother F=13.37, p<.001). They can comm -unicate with their parents better when their fathers hug them than when they didn't get hugs(father t=-4.76, p<.001ㆍ mother t= -2.34, p<.05). They can also communicate with their patents better when their mothers hug them once or more than when they didn't get hugs(father t=-3.78, p<.001ㆍmother t=-5.64, p<.001). 3) There is no difference whether the father hugs or not, but the mother's hug is very important because students whose mothers hug them once or more have significantly more gender egalitarianism than those students whose mothers didn't do(t=-3.98, p<.001). Based upon these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we reconsider the role of gender in the socializ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also include gender egalitarianism in sex education. In this context, further study should be done for the improvement of students' communic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egalitarianism based upon parents' hugs(semi-language). Continued study is especially important in regards to the mother's hug and its enhancement of the students' gender egalitarianism.

      • KCI등재

        단호박을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김지윤,송민규,전은비,박신영,Kim, Ji Yoon,Song, Min Gyu,Jeon, Eun Bi,Park, Shin Young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1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6 No.3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효능과 관능적 특성이 강화된 막걸리 제조를 위해 통단호박을 직접 찐 후 비율별로 첨가하여 막걸리를 제조하였다. 단호박 막걸리 제조를 위해 단호박을 쌀 중량의 5%, 10%, 20% 및 30%를 첨가하였으며 발효 및 담금 후 9일간 단호박 막걸리의 이화학적(pH, 총산 및 알코올), 미생물학적(유산균 및 효모수)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pH의 경우 모든 실험군에서 발효 및 저장기간이 늘어날수록 점차 낮아졌으며 9일차에는 단호박 무첨가군인 대조군(3.27)에 비해 단호박 첨가군(3.28-3.52)이 다소 높은 결과를 보였다. 총산도는 1일차(0.09-0.55) 및 3일차(0.81-0.86)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그 후 서서히 증가하여 9일차에는 단호박 첨가군에서 1.16-1.32의 결과를 보였다. 알코올 함량은 9일차에 대조군 0%가 4.59로 가장 낮았고 단호박 5-30% 첨가군에서 5.20-5.77%로 단호박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알코올 함량이 높았다. 유산균수 측정의 경우 발효초반에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5일차부터 다소 감소하거나 유사하여 9일차에는 단호박 첨가 0-30% 첨가군에서 7.95-8.09 log CFU/g로 나타났으며, 효모수의 경우 발효가 진행될수록 증가와 감소를 다소 반복하였으며 9일차에는 7.68-7.99 log CFU/g으로 측정되었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단호박 30% 첨가군에서 85.96 및 78.97%로 각각 측정되어 단호박 무첨가군의 DPPH (48.29%) 및 ABTS (62.12%) 결과와 비교 시 높은 항산화 활성도를 보였다. 따라서 추후 단호박 첨가에 따른 각종 비타민류, 무기질 및 β-carotene 등의 영양·기능성 성분의 분석과 더불어 소비자의 관능평가 등을 통해 항산화 기능이 강화된 단호박 막걸리의 실용화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개발의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weet pumpkin is rich in minerals such as calcium, phosphorus and fiber, and also contains a large amount of β-carotene, which has antioxidant effects. In this study, Makgeolli containing steaming sweet pumpkin (SP) was manufactured to enhance the antioxidant activity. To prepare the Makgeolli, SP was added in amounts of 5, 10, 20, and 30% (w/w), and the chemical (pH, total acidity, alcohol), microbiological (lactic acid bacteria, yeast)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DPPH, ABTS) were examined during fermentation and storage for 9 days. The pH of SP Makgeolli was 4.00-4.23 at day 1 of fermentation, and then the pH gradually decreased as fermentation progressed, showing the lowest results at day 9 (3.28-3.52). At day 1, the total acid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as the amount of SP (0-30%; 0.09-0.55%) and the total acidity in SP Makgeolli (1.01-1.20) was also rapidly increased by 5 days of fermentation. Alcohol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as the amount of SP (0-30%; 4.59-5.77%) increased at day 9. The count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in SP Makgeolli were 8.0-8.1 and 7.9-7.8.0 CFU/mL, respectively, which was higher than SP 0% at day 9.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as the amount of SP (0-30%; 48.29-78.97% for DPPH, 62.12-86.68% for ABTS) increased at day 9. This study suggests that Makgeolli added with SP could be potentially and commercially developed due to its superior microbiological and chemical properties, including high antioxidant activities.

      • KCI등재

        N-Screen 기반의 해양시설물용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김지윤,오진석,Kim, Ji-Yoon,Oh, Jin-Seok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9 No.3

        급격하게 발전하는 IT 기술과 국내 해상에 넓게 분포된 해양시설물의 모니터링 시스템이 융합된 효율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은 필수적이다. 특히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의 보급 및 스마트 TV등의 등장은 다양한 기기 환경에서 편리하게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였고, 해양시설물의 관리자가 언제 어디서나 해양시설물을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현재 이용되고 있는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 등은 제조사 및 적용되는 OS에 따라 다양한 환경내에서 모니터링 시스템의 서비스가 어렵다. 또한 각 디바이스별로 모니터링 시스템을 별도로 개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NMMS(N-Screen Marine-facility Monitoring System)를 제안한다. NMMS는 효율적인 해양시설물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해 해양시설물의 전력 상태와 제어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 할 수 있는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과, 해양시설물의 고장진단을 확인할 수 있는 고장진단 시스템, 그리고 해양시설물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 및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NMMS는 최근 각광받는 웹 표준 언어인 HTML 5를 이용해 각종 디바이스에서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NMMS를 이용하여 관리자 및 관리단체가 사용하고 있는 개인 PC, 노트북,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다양한 기기 및 다양한 OS의 종류에 제한받지 않고 해양시설물의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였다. The convergence of IT technology and marine facilities monitoring system is needed for effective monitoring systems to marine facilities. Especially the spread of smart device such as smart phone, smart pad, smart TV provide an environment that can check the status of the marine facility for marin facilities manager. However, smart phones and smart pads are used in a variety of OS used. Thus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various service environments is difficult. In addition, There is inconvenience that must individually developed monitoring system for each devi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NMMS (N-Screen Marine-facility Monitoring System) is proposed. NMMS is consist of Real-time monitoring system, Fault diagnosis system, Data storage system. To improve variety of smart devices accessibility, we use HTML 5. Through NMMS, marine facilities manager can use smart device such as PC, Notebook, smart phone, smart pad for marine facilities monitoring.

      • KCI등재

        VR 기반 선원 안전교육용 콘텐츠 개발

        김지윤,오진석,Kim, Ji-Yoon,Oh, Jin-Seok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6 No.12

        Every year, many shipping companies provide seaman safety education programs periodically to reduce ocean-traffic accidents. However, undertaking the regular safety training for seaman has been difficult because of litimation of space and time. Recently, VR technolgy is received attentions to overcome previous problems. It can provide users educational interactions between a user and virtual environment and fulfill sustainable teaching. In this paper, VR-based safety education content for sailors has been developed, and it includes four programs. Also, survey was conducted with four questionnaires such as immersiveness, easy to experience, satisfaction of education contents, comparative evaluation between traditional education program and VR education contents. As the result, immersiveness questionnaire could be gain 53.83% positive assessment, and easy to experience could be gain 65.38% positive assessment, and satisfaction could be gain 69.23% positive assessment. Lastly, comparative evaluation between traditional education program and VR education contents could be gain about 46% positive and 34% neutral assessments.

      • KCI등재

        1980년대 소설의 젠더적 공간 재현 양상과 그 의미 : 『고삐』와 『여왕벌』을 중심으로

        김지윤(Kim, Ji-yoon)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5

        본고는 1980년대에 발표된 윤정모의 장편소설 『고삐』와 유재순의 르포소설 『여왕벌』을 대상으로, 미군기지 주변의 이태원과 그곳을 살아가고 있는 여성들의 재현 양상을 살폈다. 그동안 민족문학에 의해 이 지역의 여성들은 주로 한 가지 모습으로 단일화되어 왔다. 1980년대적 전형성을 부여받은 ‘기지촌 성매매 여성’이라는 표상이 그것이다. 특히 이 시기에는 문학장에서 기지촌 여성의 과거사를 매개로 민족의 수난에 대한 남성 주체의 사유와 반성이 이루어지는 구도가 문학적 성과를 인정받게 된다. 이를 돌파하기 위해 여성 작가였던 윤정모와 유재순은 이태원 인근에서 벌어진 일들의 묘사에 있어 ‘자전적 체험’과 ‘사실성’을 강조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두 작가가 전달하고자 했던 주제는 여전히 남성주의적-민족주의적 의식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장소에 대한 묘사와 재현은 때로 주제를 약화시키거나 주제와 어긋나는 것처럼 보인다. 『고삐』에서 남성 인물이 관념화된 언어로 주장하는 민족의식의 중요성은 이태원을 위시한 여러 장소들의 구체적인 묘사를 통해 비로소 그 실감이 확보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재현의 구체성은 관념의 추상성을 압도하여, 역설적으로 소설이 강조하고자 했던 외부식민화라는 문제 대신 여성의 남성에 의한 내부식민화 문제를 들여다볼 수 있게 하는 계기로 작용한다. 『여왕벌』은 작가로 치환될 수 있는 ‘르포라이터’라는 인물을 서사의 전면에 내세워 『고삐』보다 직접적으로 이태원의 여성들로 하여금 민족의식을 갖출 것을 촉구한다. 그러나 유재순이 등장시키고 있는 ‘이태원 걸’이라는 기호는 작가의 목소리와 어긋나는 방향으로 독자를 이끈다. 결국 소설은 이러한 균열을 해결하지 못한 채 종결을 맞이한다. 『고삐』는 서사의 결말에서 민족의식에 비로소 진정으로 눈 뜬 초점화자를 강조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여왕벌』에서 채 해결되지 못했던 주제와 재현 사이의 균열은 2년 후 영화 <여왕벌>을 통해 사후적으로 봉합된다. 그러나 소설에서 발견되는 이와 같은 서사와 재현의 불일치는 그 자체로 1980년대 한국이라는 시공간이 민족의식이라는 단일한 목소리만으로 수렴될 수 없는 기표들을 포함하고 있던 다층적인 공간이었음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reproduction of Itaewon around the U.S. military base and the women living there, targeting Yoon Jeong-mo’s long-running novel “The reins” published in the 1980s and Yoo Jae-soon’s “The Queen’s Bee.” Until now, the area has been imaged mainly by ethnic literature as a “base village prostitution woman” who was given typicality in the 1980s. In particular, during this period, the literary achievements of the male subject’s reason and reflection on the plight of the people through the elderly women in the base village at the literary center will be recognized. To break through this, Yoon Jung-mo and Yoo Jae-soon, both female writers, use methods to emphasize “voluntary experiences” and “realism” in describing what happened near Itaewon. In the process, though the subject that the two writers were trying to convey was still a masculine-national consciousness, the portrayal and reenactment of the specific place sometimes seem to exceed or go against the subject. The importance of national consciousness, which is claimed by male figures in the conceptualized language in “The reins,” can only be realized through detailed descriptions of various places, including Itaewon. However, in this process, the specificity of reproduction overwhelms the abstraction of the conception, paradoxically allowing women to look into the problem of internalization by men instead of the issue of externalization that the novel intended to emphasize. The “Queen Bee” calls for women in Itaewon to have a national consciousness more directly than “The reins” by putting the character “Reforator” at the forefront of the narrative, which can be replaced as a writer. However, Yoo Jae-soon’s “Lee Tae-won Girl” symbol leads the reader in a way that goes against the writer’s voice. Eventually, the novel ends without solving this rift. “The reins” solves the problem by emphasizing the focus of the national consciousness at the end of the narrative, and the cracks between the theme and the reproduction that were not resolved in the “Queen bee” are posthumously sealed in the film “Queen bee” two years later. However, this discrepancy between the narrative and the reproduction found in the novel shows that the time and space of Korea in the 1980s itself was a multi-layered space that contained signs that could not be converged only by a single voice of national consciousness.

      • KCI등재

        노천명 시와 번역 속에 나타난 분열과 봉합의 환상

        김지윤(KIM Ji Yoon) 한국비평문학회 2016 批評文學 Vol.- No.60

        노천명은 현대시문학사에 남을 비중 있는 작품들을 많이 남긴 시인이지만, ‘고독’ ‘향수’ ‘결손의식’ 등에 치중된 한정적 평가를 받아온 바 있고, 센티멘털리즘이나 역사의식 결여를 지적받기도 했다. 여기에는 ‘여류’에 대한 기존 편견이나 노천명 개인에 대한 평가가 작용한 부분이 있다. 그러나 단순히 얕은 감상성이나 개인의 성향, 기질 등을 원인으로 치부하기에 노천명의 작품에 드러나는 고독과 향수는 좀 더 복잡하고 깊은 내면적 뿌리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노천명에게서 발견되는 몇몇 모순되는 지점들에 주목했다. 노천명은 서로 섞이거나 공존할 수 없는 이중적인 정체성 여러 개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상태로 둘 사이에서 방황하였으며 이는 노천명 시 속에 자기 분열을 만들어내고, 시인은 그 분열을 인식하며 그것을 봉합하려는 지속적인 시도로서 ‘소녀’와 ‘고향’이미지를 불러온다. ‘고향’ 이미지는 분열이 이루어지기 전의 온전한 자기 자신에 대한 과거회귀의 욕망을 담고 있으며 시인은 자기동일성을 가지고 있었던 과거의 자신인 ‘소녀’와 ‘근원’으로서의 ‘고향’ 혹은 ‘고향집’을 재구성해 환상적으로 호명한 후 ‘고독’을 통해 유폐시킴으로서 보존하려는 열망을 보여준다. 이는 내적 분열을 봉합하기 위한 노천명의 자기방어기제가 문학적으로 구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물론 자기 분열의 봉합은 환상적으로 이루어질 뿐, 자신의 이중성을 실제로 극복하는 현실적 응전력을 갖추지는 못하기에 화자는 과거회귀에서 실패하여 현실로 돌아와 더 큰 참혹한 심정을 느끼며, 그것이 비극적 시간 인식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 주목한 점은 노천명의 시 속 ‘고독’이나 ‘향수’가 단순한 감상성의 소산이 아닌, 파편화되고 찢어진 시인의 자아가 그 분열을 야기하는 조건들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벌인 심리적 투쟁이라는 것이다. 다중적인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자아의 미묘성과 복잡성이 무시되고,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이분법적 선택의 강요가 계속되었던 것이 노천명의 자아분열을 만들었으며, 그녀의 작품은 ‘찢어진 자아’를 가진 근대인의 고통과 결핍의식, 그것을 해소하려는 심리적 과정이었다. 노천명 작품 속에 드러나는 욕망과 행동 사이의 괴리, 작품 속 지향과 실제 행보간의 모순 등은 그 자체가 노천명의 자기분열을 드러내주며, 노천명 시들은 폭력적 현실에 대한 어떤 ‘손상의 감각’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본 논문은 기존에 거의 다루어진 바 없는 노천명의 번역 작품에 관심을 가지고 소개하며 유의미한 연구 지점들을 밝혀내고자 했다. 이 시기 노천명의 내면 풍경을 보다 면밀하게 가늠하기 위해서 이 번역 작품들은 비슷한 시기 창작된 친일시, 고향이미지 시와 동시에 놓고 분석, 검토되어야 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노천명의 내면 풍경을 응시하여 모순과 역설의 지점을 포착하고, 노천명의 내적 심리를 분석하여 노천명 문학의 기존 평가가 다 조망하지 못했던 부분들을 살펴봄으로써 노천명 시의 시사적 의의를 재평가하는 데 있다.

      • KCI등재후보

        췌장의 단일 종괴형태로 재발해 원발성 췌장암으로 오인된 재발성 폐암

        김지윤 ( Ji Yoon Kim ),이동욱 ( Dong Wook Lee ),배상수 ( Sang Soo Bae ),오재영 ( Jae Young Oh ),한지민 ( Jimin Han ),김호각 ( Ho Gak Kim ) 대한췌담도학회 2018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3 No.4

        저자들은 3년 전 폐선암으로 수술과 수술 후 보조항암요법을 시행한 뒤 경과관찰 중인 환자에게 췌장내 단일 고형 종괴가 발생한 것을 확인하고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수술 후 조직검사 결과, 췌장의 단일 고형 종괴는 폐선암의 재발인 것으로 확진되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ancreas metastasis of primary lung cancer is known to be very rare and if it occurs, most cases are disseminated malignant status and do not affect therapeutic plan. We experienced a case of lung cancer recurrence with solitary pancreas metastasis and mimicks primary pancreatic cancer. A 54-year old man was admitted to the hospital for further evaluation of pancreatic solitary mass. He underwent left pneumonectomy and adjuvant chemotherapy for treatment of lung adenocarcinoma 3 years ago. After surgical treatment, the lesion was confirmed metastatic adenocarcinoma of lung cancer origin. He was discharged and followed up for 24 months without recurrence. Korean J Pancreas Biliary Tract 2018;23(4):172-17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