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흡연예방 교육을 위한 교사용 인포그래픽 영상 지침서 제작 연구

        김지윤(Jeeyoun Kim),최유미(Yoomi Choi)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6 애니메이션연구 Vol.12 No.4

        유아는 세포가 성장 중이기 때문에 담배의 독성 물질에 대한 영향을 성인보다 더 강하게 받는다. 따라서 흡연의 폐해를 조기에 교육하여 흡연에 대한 올바른 인식 변화를 이끌어야 한다. 이러한 필요성으로 인해 보건복지부는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유아 흡연예방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의 유아 흡연예방교육의 일환인 교사용 유아 흡연예방 교육 인포그래픽 영상 지침서를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포그래픽 영상은 복잡한 정보를 시각화하여 영상으로 제작한 것으로 쉽고 빠른 시청각화 커뮤니케이션의 방식이다. 인포그래픽은 텍스트보다 주목도·이해도·흥미도·몰입도가 높아, 효과적인 교육 매체로 소개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텍스트 정보 교육 지침서의 형태에서 벗어나, 이미지 위주의 직관적 정보를 전달하여 쉽고 명확하게 교육 내용을 설명하고자 인포그래픽 영상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흡연예방 교육 내용론과 인포그래픽 영상 제작론을 정리한 후, 이를 바탕으로 인포그래픽 영상을 제작하였다. 또한 단순히 인포그래픽 영상을 기획하여 제작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시나리오 구성 단계에서 보건·의료·유아교육·애니메이션 전문가의 사전 검토 후 시나리오를 제작하였으며, 최종 영상 제작 후에 다시 전문가의 검증을 거친 내용을 토대로 수정·보완하였다. 전문가의 사전, 사후 검증을 통해 영상 자체의 질뿐만 아니라 보건, 의료, 유아교육적 측면의 내용 검증이 함께 이루어져 내용의 신뢰도가 높다 하겠다. 하지만 본 인포그래픽 영상을 실제로 사용할 일선의 어린이집 혹은 유치원 교사의 사후 조사가 반영되지 못한 점이 한계점으로 사료되며, 후속 연구에서는 실사용자를 대상으로한 조사가 뒷받침되어야 하겠다. Preschoolers are seriously effected from the poisons left behind by tobacco because their cells are still growing. Therefore, we need to educate preschoolers about the harmful effects of tobacco and give them a negative perception of smoking. Because of this need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as extensively started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for preschoolers since 2015. Under this context the main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produce an infographic moving image of smoking prevention manual for preschool teachers. The infographic moving image transfers complex information into simple visual image and sound, so it leads easy and fast communication. Accordingly, the attention, comprehension, interest and immersion of the infographic are more effective than text message. For that reason, it is introduced as an efficacious educational media. Thus, this study created an infographic moving image which shows intuitive visual information to explain educational contents easily and clearly after researches about essential content of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and production guideline of infographic. In addition, it had expert verifications of public health, med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nimation on stage of scenario development and final animation in twi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ication, because it was modified and improved, it is highly reliable. However,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did not have an actual user survey, but only expert verifications. This limitation need to be addressed and developed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청소년 약물 중독 예방용 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한 조사 및 효과 검증

        김지윤(Jeeyoun Kim),최유미(Yoomi Choi)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5 애니메이션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약물 남용 예방을 위한 캠페인 제작 시, 당위성과 현실성을 반영하여 청소년의 호응과 긍정적 반응을 이끌어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청소년기의 특징과 문화 트렌드, 약물 남용의 의미, 예방교육방법, 캠페인 영상제작의 표현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영상의 내용을 구성하고 표현을 기획하여 스마트 기기용 청소년 약물 남용 예방 교육 프로그램 중 인트로에 해당하는 애니메이션 캠페인 영상을 제작하였다. 내용면으로는 첫째, 약물 남용 예방 교육 중 절제교육을 바탕으로 하였다. 둘째, 실험과 모험을 추구하고 성인의 행동을 동경하는 청소년기의 특성과 유행하는 또래 문화에 적응하려는 청소년기 현상을 모티브로 삼았다. 또한 청소년 약물 사용의 경우, 또래의 권유로 시작하여 또래와 지속적 동반 이용의 비율이 높다는 조사를 바탕으로 하였다. 셋째, 현재 유행하고 있는 청소년 문화트렌트를 조사해 이 중, 아웃도어 의류, 줄무늬 양말, 배낭, 카카오 스토리를 내용의 소재로 삼았다. 표현면으로는 첫째, 또래의 구체적인 사례를 사실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증언전략과 또래 문화를 모티브로 하는 감성호소의 전략을 택하였다. 둘째, 청소년들 사이에 문화 트렌드로 조사된 웹툰 스타일을 제작방식으로 하였다. 백터 방식으로 이미지를 가공하였으며 주인공의 독백으로 시작되는 내러티브 방식으로 이야기를 전개하였다. 주인공의 목소리는 실제 고등학생 배우가 더빙하여 사용하였으며 사운드는 스토리 전개상 크게 세 부분으로 즐겁고 경쾌한 음악, 비트가 강한 일렉트로닉 음악, 공허한 사운드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제작 후, 중고등학생을 127명을 대상으로 호감성, 신뢰성, 현실성, 행동의도에 대한 검증 결과, 청소년 약물남용 예방교육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청소년들의 호기심과 관심사를 대변하여 청소년들의 이목을 끄는 캠페인 영상으로 제작되었음이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raw response and positive reaction from teenagers regarding the campaign production for prevention of drug abuse, with an appropriate and realistic approach. Based on this approach, the characteristics and culture trends of teenagers, the meaning of drug abuse, preventive education methods, and video campaign spot production were studied and analyzed. The video spot message and expressions were designed based on the analysis and then a campaign video spot, which corresponds to the intro of the teenager drug abuse preventive education program for smartphone device, was produced. Regarding the message, firstly, temperance education was selected. Secondly, the teenage characteristics of pursuing experiments and adventures, and admiring adult behavior, and the phenomenon of teenagers adapting to peer culture have been the motifs of this study. Also, the research was based on the analysis that in the case of teenagers, they start drug use induced by their peers and they continue drug use with their peers. Thirdly, the current teenage cultural trends were studied and subject materials such as outdoor clothing, striped socks, backpacks, and Kakao Talk Story were chosen to be included in the contents. Regarding the expression strategies, first of all, testimony and emotional appeal have been chosen. Secondly, as expression techniques, the webtoon style and narrative storytelling have been adopted. After the production, the positive effects of the teenage drug abuse preventive education were verified through the survey on likability, reliability, reality, and behavior intention among students. Also, the campaign video spot was verified that it can draw the attention of teenagers and represent their curiosity and interest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의료 애플리케이션용 의사 캐릭터 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지윤(Jeeyoun Kim),유현정(Hyunjung Yu),최유미(Yoomi Choi)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4 애니메이션연구 Vol.10 No.2

        캐릭터 관련 연구는 대부분 유아 및 청소년 타깃으로 게임 및 애니메이션 장르에 한해 진행되고 있으며 중장년층 타깃의 의료용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하는 캐릭터 스타일 연구는 미비하다. 본 논문은 단순 흉부 통증까지 심장질환에 기인한 것으로 오인하고 응급실을 방문하는 비심인성 흉통(Non-Cardiac Chest Discomfort) 환자의 인지치료 앱을 대상으로 의사 캐릭터 디자인을 연구하였다.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의료 앱 개발 시 의사 캐릭터를 디자인함에 있어 가장 고려해야 사항은 신뢰도이며 이러한 신뢰도는 의사의 진료 태도, 진료 정확성, 진료 숙련도의 차이로 평가된다. 이를 캐릭터의 비주얼 이미지(신체 비례, 표현 방법, 성별, 연령)와 목소리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40대 이상의 연령으로 풍부한 임상 경험을 가진 남자 의사를 캐릭터화하되 실제 사람의 비율과 비슷한 8등신의 비율로 일러화 혹은 만화화하였을 경우 신뢰도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의사 캐릭터가 웃는 표정을 짓고 손짓을 사용하여 설명하였을 경우 환자중심형 커뮤니케이션을 행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어 신뢰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이러한 의사 캐릭터가 중음의 바리톤 음색으로 부드럽게 이야기할 때 의사의 신중함과 친절함이 나타나 40∼70대 성인에게 신뢰도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Character design studies only focus on the games and animations, targeting kids and teenager, but not for medical applications for the age of 40-70. This study designed a medical doctor character on a medical application for middle-aged ‘Non-Cardiac Chest Discomfort’ patients. As designers create doctor characters for the application, the most important issue is the credibility on the character. The credibility of doctor can be measured by the communication style, the clinical experience and treatment accuracy. I measured those 3 items by 4 factors which are the body ratio, expression style, sex and age of character for the credibility of a doctor character. As a result, the credibility increased on a character, which is a male, looks over 40 years with a well-proportioned figured cartoon or illustrated style, and seems to have lots clinical experience. Voicewise, when the character speaks slowly in a rich baritone voice, the credibility increased.

      • KCI등재후보

        애니메이션 〈파워퍼프걸〉과 〈파워퍼프걸z〉 시청자 성별 선호도 연구

        김지윤(Jeeyoun Kim),홍성욱(Sungwook Hong)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0 애니메이션연구 Vol.6 No.4

        방송사에서 애니메이션 편성 시 코믹물, 액션물 등의 장르로 콘텐츠를 구분하기도 하지만 남아물, 여아물 등 시청대상의 성별로도 타깃별 콘텐츠를 구분한다. 제작사 역시 애니메이션 기획 시 성별 타깃을 정의하고 그에 맞게 주제를 선택하여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데, 이때의 주제는 어린이들의 심리학적, 사회학적인 감성적 욕구를 기본으로 한다. 남자 아이들의 경우는 파워, 대결, 용맹, 성공 등을 통해 감성적 욕구를 충족하며 여자 아이들의 경우는 아름다움, 매력, 사랑, 모성애 등을 통해 감성적 기본 욕구를 충족함으로써 즐거움을 느낀다. 그렇다면 이런 감성적 욕구를 주제로 타깃 성별을 정의하여 제작한 애니메이션이 방송되었을 때 실제 시청 결과와 제작 시타깃 성별과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이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아직 미비한 것이 사실이다. 이 논문에서는 기방영되었던 애니메이션의 시청률을 분석해 제작 시 의도한 성별 타깃과 실제 남녀 시청자들의 호감도에 대해 연구하려고 한다. 또한 카툰네트워크의 <파워퍼프걸>과 <파워퍼프걸z>의 성별 시청률 분석을 통해 남아의 감성적 욕구를 이끄는 주제에 여아의 감성적 표현방법을 가미했을 경우 일어날 수 있는 시청 사이즈의 확대에 관해 연구하려고 한다. The broadcaster classifies the content of animation not only by genre such as comedy and action but also by target gender who will watch the animation, for example, animation for boy or girl. The producer also sets the target of audience by gender at the time of initial planning and selects the subject according to its target to produce an animation. At this time, the subject is selected based on the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emotional needs of children. The boys satisfy their emotional needs through power, confrontation, bravery and success while the girls do through attractiveness, love and maternal affection. Then,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al audience and the original targeted gender when the animation that was made by defining target gender with the subject of emotional needs is televised? It is true that few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is. Therefore,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preference of male and female audience and target gender which was intended at the time of produc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animation gender ratings. Also, it is to observe the change on the ratings which may be affected when the emotional expression of girl is added to the subject attracting emotional needs of boys through Power Puff Girls series of Cartoon Network. It is to analyze the male and female preference for the Power Puff Girls, the story of heroine in which a female was set as heroine with the subject of emotional needs of boys and ratings pattern of Power Puff Girls z , the remake of Power Puff Girls with feminine expression in spite that it has the same story with Power Puff Girl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단기 지연검사를 통한 유아 흡연예방용 애니메이션의 교육 효과 연구

        김지윤(Jeeyoun Kim),최유미(Yoomi Choi)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7 애니메이션연구 Vol.13 No.2

        간접흡연은 유아에게 치명적이다. 영유아의 간접흡연은 기침, 감기, 중이염, 천식, 알레르기, 호흡기 질환의 위험을 초래한다. 이러한 심각성으로 인해 정부도 2015년부터 대대적인 유아 흡연예방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아이쿠맨, 뽀로로 등 인기 캐릭터를 활용한 애니메이션을 본격적으로 활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흡연예방교육에 사용한 애니메이션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검증은 미비하다. 유아 흡연예방 교육의 주요 목적은 흡연예방조기교육을 통해 청소년기에 흡연 권유를 거부하게 하여 비흡연자로 양성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유아기에 한번 교육을 받고 잊어버리게 되면 무용지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애니메이션을 통해 흡연예방 교육을 받은 4∼6세의 유아들이 시간이 지나도 그 내용을 기억하고 있는지 1주 지연검사를 통해 흡연인식, 흡연지식, 대처사항, 흡연폐해에 대한 기억회상률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애니메이션을 통한 유아 흡연예방 학습에서 1주의 지연간격 후 기억회상률의 변화는 그 수치가 미미하기 때문에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으며, 4∼6세별 연령에 따른 기억회상률 또한 미미한 변화로 인해 그 차이점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애니메이션으로 학습한 흡연예방 교육 내용은 1주 후에도 유아에게 유효하게 기억되고 있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연간격을 1주로 설정하였는데 이는 장기 기억수행 연구를 위한 초석을 다졌다는 것에 의미가 있으나, 장기 기억 수행에 대한 결론을 도출함에는 한계가 있다. 유아의 기억수행에 대한 추이를 관찰하려면,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지연간격에 대한 변수를 여러 조건으로 설정하여 기억수행 연구를 진행해야 하겠다. Passive smoke is fatal for preschoolers. The passive smoke causes coughs, colds, ear infections, asthma, allergies, and risk of pneumonia in preschoolers. Based on this context,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as started smoking prevention for preschoolers with big budgets since 2015 and created smoking prevention animations with popular Korean animation characters such as Ikooman and Pororo. However, there has been insufficient research 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animation. One of main purposes of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is to raise preschoolers to non-smokers through educating preschoolers on a negative perception of smoking. Therefore, when preschoolers grow up, if they forget what they learned about th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the education will be totally useless. On above reason this research examined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Awareness of Smoke, the knowledge about the harms of smoke, the coping with secondhand smoke, the harmful effects of secondhand smoke in smoking prevention animation for preschoolers (age 4 to 6) by 1 week delayed recall. As a result, 1 week delayed recall on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by the animation has no substantial differences, comparing to immediate recall. In addition, age-specific recall from four to six years old has also no significant changes. These result indicates that one week later preschoolers still remember about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by the animation. This research verified the educational effect of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animation for preschoolers by 1 week delayed recall. It is meaningful as a fundamental research for long term recall memory studies. However, to observe the progress of preschooler’s recall memory further researches that set several delayed intervals will b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